"벼락치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참고 자료== +==참고==))
21번째 줄: 21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참고 자료==
==참고==
*http://en.wikipedia.org/wiki/Cramming_(education)
*http://en.wikipedia.org/wiki/Cramming_(education)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33&contents_id=58376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33&contents_id=58376

2017년 7월 15일 (토) 02:54 판

1 개요

cramming, mugging, swotting
벼락치기 공부; 벼락치기
  • 시험 등에 임박하여 밤을 새거나 하면서 짧은 시간에 갑자기 많은 정보를 암기하려 하는 공부 방식
  • 시험이 끝나면 모두 까먹는다.
  • 그래도 공부를 안하는 것보다는 낫다!

… 우리나라에서 3년으로 과거하는 법이 그 유래가 이미 오래 되었사오나, 학문하는 자들이 미리 시험볼 시기를 알고서 한가히 놀고 공부를 폐하고 있다가, 임시해서 주워 모아 가지고 요행이나 바라고 일찍부터 상시로 학교에 있어서 학업을 익히려는 뜻이 없게 되오니 … – 세종실록 61권 , "인재와 학교에 관한 성균관 대사성 권채 등의 상서문"[1]

2 같이 보기

3 주석

  1. 세종15년(1433년) 8월 22일(음력) 2번째기사

4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