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드 규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개요 == ;Baird's rule ;베어드 규칙 * 삼중항 평면 고리 분자가 방향족성을 띠게 되는 조건에 대한 규칙 * 1972년, 미국의 물리화학자 N....)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참고 자료== +==참고==))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 개요 ==
;Baird's rule
;Baird's rule
;베어드 규칙
;베어드 규칙, 베어드의 규칙
* [[삼중항]] 평면 고리 분자가 방향족성을 띠게 되는 조건에 대한 규칙
* [[삼중항]] 평면 고리 분자가 방향족성을 띠게 되는 조건에 대한 규칙
* 1972년, [[미국]]의 물리화학자 N. 콜린 베어드가 제안함
* 1972년, [[미국]]의 물리화학자 [[N. 콜린 베어드]]가 제안함
* 삼중항 평면 [[고리 화합물]]은 4n개의 원자를 가질 때 [[방향족성]]을 띔
* 삼중항 평면 [[고리 화합물]]은 4n개의 원자를 가질 때 [[방향족성]]을 띔
:반대로 4n+2개의 원자를 가지면 [[반방향족성]]을 띔
:반대로 4n+2개의 원자를 가지면 [[반방향족성]]을 띔
== 이론적 설명 ==
== 이론적 설명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6/Frostcircle.svg/320px-Frostcircle.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6/Frostcircle.svg/320px-Frostcircle.svg.png
13번째 줄: 14번째 줄:
* [[얀-텔러 효과]]에 의해 찌그러지면 축퇴가 깨져서 두 오비탈 중 하나는 에너지가 낮아지고, 하나는 에너지가 높아지므로, 일반적으로 찌그러져서 방향족성이 깨진 단일항 상태가 삼중항보다 안정.
* [[얀-텔러 효과]]에 의해 찌그러지면 축퇴가 깨져서 두 오비탈 중 하나는 에너지가 낮아지고, 하나는 에너지가 높아지므로, 일반적으로 찌그러져서 방향족성이 깨진 단일항 상태가 삼중항보다 안정.
* 바닥 상태에서 방향족 삼중항 상태가 안정한 화합물로는 [[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 양이온(Cp<sup>+</sup>)이 있음.
* 바닥 상태에서 방향족 삼중항 상태가 안정한 화합물로는 [[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 양이온(Cp<sup>+</sup>)이 있음.
* [[펜타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 양이온(Cp*<sup>+</sup>)이나 [[사이클로뷰타다이엔]] 등은 대칭성이 깨진 단일항 상태가 삼중항보다 안정.
* [[펜타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 양이온(Cp*<sup>+</sup>)이나 [[사이클로뷰타다이엔]] 등은 대칭성이 깨진 단일항 상태가 삼중항보다 안정
 
==같이 보기==
* [[뫼비우스 방향족성]]
* [[휘켈 규칙]]
 
==참고==
* https://en.wikipedia.org/wiki/Baird's_rule
 
[[분류:화학]]
[[분류:화학]]
[[분류: 법칙]]

2017년 7월 15일 (토) 02:45 기준 최신판

1 개요[ | ]

Baird's rule
베어드 규칙, 베어드의 규칙
반대로 4n+2개의 원자를 가지면 반방향족성을 띔

2 이론적 설명[ | ]

 

  • 고리 콘주게이션 분자의 분자 오비탈을 계산해보면 바닥 상태에 하나, 그 위 상태에 에너지마다 각각 2개씩의 축퇴된 분자 오비탈이 존재함.
  • 4n개의 전자를 가진 삼중항 화합물은 바닥부터 전자를 채워나가다보면 같은 에너지 준위인 두 개의 오비탈에 모두 두 전자가 같은 스핀으로 차게 되어, 파이 전자 밀도가 분자 전체에 고루 퍼지게 됨.
  • 얀-텔러 효과에 의해 찌그러지면 축퇴가 깨져서 두 오비탈 중 하나는 에너지가 낮아지고, 하나는 에너지가 높아지므로, 일반적으로 찌그러져서 방향족성이 깨진 단일항 상태가 삼중항보다 안정.
  • 바닥 상태에서 방향족 삼중항 상태가 안정한 화합물로는 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 양이온(Cp+)이 있음.
  • 펜타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 양이온(Cp*+)이나 사이클로뷰타다이엔 등은 대칭성이 깨진 단일항 상태가 삼중항보다 안정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