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항검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二項檢定
;二項檢定
;이항검정
;이항검정
==예제 1==
* 주사위를 235회 던져 6이 51회 나왔다.
* 주사위가 공정하다면 235/6 = 39.17회 나올 것이 기대된다.
* 주사위가 공정하다는 영가설을 기각할 정도로 6이 유의미하게 많이 나온 것인가?
==예제 2==
* 출근유연제에 대해 직원의 50% 이상이 찬성하면 시행하려고 한다.
* 임의로 추출한 100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의견을 조사한 결과 67명이 찬성하였다.
* 적절한 가설을 설정하고 α=.05 수준에서 검정하라.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카이제곱 검정]]
* [[카이제곱 검정]]
* [[G-검정]]
* [[G-검정]]
* [[P값]]
* [[통계방법 목록]]
* [[통계방법 목록]]
* [[binom.test()]]
* [[이항 binomial]]


==참고==
==참고==
14번째 줄: 27번째 줄:


[[분류: 통계]]
[[분류: 통계]]
[[분류: 이항분포]]

2017년 7월 2일 (일) 22:23 기준 최신판

1 개요[ | ]

binominal test
二項檢定
이항검정

2 예제 1[ | ]

  • 주사위를 235회 던져 6이 51회 나왔다.
  • 주사위가 공정하다면 235/6 = 39.17회 나올 것이 기대된다.
  • 주사위가 공정하다는 영가설을 기각할 정도로 6이 유의미하게 많이 나온 것인가?

3 예제 2[ | ]

  • 출근유연제에 대해 직원의 50% 이상이 찬성하면 시행하려고 한다.
  • 임의로 추출한 100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의견을 조사한 결과 67명이 찬성하였다.
  • 적절한 가설을 설정하고 α=.05 수준에서 검정하라.

4 같이 보기[ | ]

5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