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개요)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설립일 : 1954년 | * 설립일 : 1954년 | ||
* 설립목적 : 육·해·공군의 지휘통합, 군의 최고 통수권자를 보좌 | * 설립목적 : 육·해·공군의 지휘통합, 군의 최고 통수권자를 보좌 | ||
* | * 주요업무 : 군령에 관한 보필, 국방정책 및 국방계획의 건의 각군간의 협조, 합동기획 문서의 작성 등 | ||
* 1954년, '연합참모본부'로 발족 | |||
* 5·16군사정변 후 합동참모본부로 개칭됨 | |||
==다른 나라== | ==다른 나라== |
2017년 4월 20일 (목) 23:30 판
1 개요
- Joint Chiefs of Staff
- 合同參謀本部
- 합동참모본부
- 육·해·공군의 지휘를 통합하고, 국군의 통수에 관해서 군의 최고 통수권자를 보좌하기 위한 참모기관
- 설립일 : 1954년
- 설립목적 : 육·해·공군의 지휘통합, 군의 최고 통수권자를 보좌
- 주요업무 : 군령에 관한 보필, 국방정책 및 국방계획의 건의 각군간의 협조, 합동기획 문서의 작성 등
- 1954년, '연합참모본부'로 발족
- 5·16군사정변 후 합동참모본부로 개칭됨
2 다른 나라
명칭·구성·임무·권한 등은 국가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음
- 미국: 1903년에 육·해군 합동위원회(Joint Army and Navy Board)라는 명칭으로 발족하였고, 1942년에 3군통합법의 제정으로 공군이 포함되자, 합동참모본부(Joint Chiefs of Staff)로 개칭됨
- 3군 참모총장과 해병대사령관 및 합동참모회의 의장으로 구성됨
- 최고 지휘관인 대통령과 그 자문기관인 국가안전보장회의 및 국방장관에게 국방·용병 및 군대의 유지에 관해서 조언을 할 뿐만 아니라, 합동작전을 직접 지휘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음
- 영국: 1942년에 설치된 육·해·공 3군참모총장회의(Chiefs of Staff Committee)가 이에 해당함
- 전략적인 군사기획에 관해서 내각과 국방위원회에 의견을 제출함
- 러시아: 러시아군 참모본부가 이에 해당함
- 러시아군 참모총장은 평시의 최고 지휘관인 국방장관에 예속되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