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블 제약조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6번째 줄: 6번째 줄:
==종류==
==종류==
*[[PRIMARY KEY]]([[기본키]]): 완전한 행 식별자. 유일키+NOT NULL.
*[[PRIMARY KEY]]([[기본키]]): 완전한 행 식별자. 유일키+NOT NULL.
*[[NOT NULL]](널 아님): NULL값 사용 금지(즉, 입력 필수)
*[[NOT NULL]](널 아님): NULL값 사용 금지<ref>미입력시 자료형에 따라 기본값이 결정됨. 문자열이라면 "", 숫자라면 0</ref>
*[[UNIQUE]]([[유일키]]): 같은 컬럼 내에서 중복되는 값이 없도록 함<ref>단, NULL은 여러개 허용가능. [[UNIQUE 조건과 NULL 허용 조건의 양립]] 참고</ref>
*[[UNIQUE]]([[유일키]]): 같은 컬럼 내에서 중복되는 값이 없도록 함<ref>단, NULL은 여러개 허용가능. [[UNIQUE 조건과 NULL 허용 조건의 양립]] 참고</ref>
*[[CHECK]]: 값의 범위 제한
*[[CHECK]]: 값의 범위 제한

2016년 11월 4일 (금) 15:29 판

1 개요

SQL Constraints; constraint
테이블 제약조건; SQL 제약조건, 제약조건; 제약
  • 테이블의 데이터를 구체화하는 규칙

2 종류

3 같이 보기

4 주석

  1. 미입력시 자료형에 따라 기본값이 결정됨. 문자열이라면 "", 숫자라면 0
  2. 단, NULL은 여러개 허용가능. UNIQUE 조건과 NULL 허용 조건의 양립 참고

5 참고 자료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