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다이제스트 인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5번째 줄: 5번째 줄:
*사용자명, 패스워드 등을 조합하여 MD5 값으로 인증
*사용자명, 패스워드 등을 조합하여 MD5 값으로 인증
*[[기본 인증]]에 비해 안전
*[[기본 인증]]에 비해 안전
==동작방식==
Digest 인증방식에서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단순히 패스워드를 받는 것이 아니다.
아래처럼 여러가지가 조합되고 MD5로 해시된 값(Response)을 받는다.
<source lang='c'>
HA1 = MD5( "사용자명:영역명:패스워드" )
HA2 = MD5( "HTTP요청방식:URI주소" )
Response = MD5( "HA1값:서버NONCE:요청카운터:클라이언트NONCE:보호품질코드:HA2값" )
</source>
서버에서 인증을 해주려면 알고 있는 값들을 가지고 위와 같은 방식으로 Response값을 만든 후, 클라이언트가 보내준 Response와 같은지 비교해야 한다.


==같이 보기==
==같이 보기==

2012년 10월 4일 (목) 00:46 판

1 개요

Digest access authentication, HTTP digest authentication
Digest 인증, HTTP digest 인증
  • HTTP에서 작동하는 인증 방식 중 하나
  • 사용자명, 패스워드 등을 조합하여 MD5 값으로 인증
  • 기본 인증에 비해 안전

2 동작방식

Digest 인증방식에서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단순히 패스워드를 받는 것이 아니다. 아래처럼 여러가지가 조합되고 MD5로 해시된 값(Response)을 받는다.

HA1 = MD5( "사용자명:영역명:패스워드" )
HA2 = MD5( "HTTP요청방식:URI주소" )
Response = MD5( "HA1값:서버NONCE:요청카운터:클라이언트NONCE:보호품질코드:HA2값" )

서버에서 인증을 해주려면 알고 있는 값들을 가지고 위와 같은 방식으로 Response값을 만든 후, 클라이언트가 보내준 Response와 같은지 비교해야 한다.

3 같이 보기

4 참고 자료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