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켈 규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개요 == ;Hückel's rule ;휘켈 규칙 ; 독일의 물리화학자 에리히 휘켈이 만든 법칙 ; 평면 고리 분자의 방향족성을 설명 ; 평면 고...)
 
잔글
2번째 줄: 2번째 줄:
;Hückel's rule
;Hückel's rule
;휘켈 규칙
;휘켈 규칙
; [[독일]]의 물리화학자 [[에리히 휘켈]]이 만든 법칙
* [[독일]]의 물리화학자 [[에리히 휘켈]]이 만든 법칙
; 평면 고리 분자의 [[방향족성]]을 설명
* 평면 고리 분자의 [[방향족성]]을 설명
; 평면 [[고리 화합물]]은 4n+2개의 원자를 가질 때 [[방향족성]]을 띔
* 평면 [[고리 화합물]]은 4n+2개의 원자를 가질 때 [[방향족성]]을 띔
; 반대로 4n개의 원자를 가지면 [[반방향족성]]을 띔.
* 반대로 4n개의 원자를 가지면 [[반방향족성]]을 띔.
; 고리는 평면이어야 하고, p 오비탈을 따라 전자가 비편재화될 수 있어야 함.
* 고리는 평면이어야 하고, p 오비탈을 따라 전자가 비편재화될 수 있어야 함.
; [[나프탈렌]]과 같은 물질은 분자 구조에서 분자 전체의 탄소를 한번씩 지나도록 고리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이지만 휘켈 규칙이 적용됨. 따라서 [[펜탈렌]]과 [[헵탈렌]]은 반방향족
* [[나프탈렌]]과 같은 물질은 분자 구조에서 분자 전체의 탄소를 한번씩 지나도록 고리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이지만 휘켈 규칙이 적용됨
:따라서 [[펜탈렌]]과 [[헵탈렌]]은 반방향족
 
== 예외 ==
== 예외 ==
;[[사이클로도데카펜타엔]]과 같이 평면 구조를 가지려면 결합각 무리가 너무 커지는 분자는 방향족이 아님
* [[사이클로도데카펜타엔]]과 같이 평면 구조를 가지려면 결합각 무리가 너무 커지는 분자는 방향족이 아님
;[[파이렌]]이나 [[코로넨]]과 같이 방향족 고리 3개에 둘러싸인 원자가 있는 분자에는 적용되지 않음.
* [[파이렌]]이나 [[코로넨]]과 같이 방향족 고리 3개에 둘러싸인 원자가 있는 분자에는 적용되지 않음.
;짝수개의 고리가 각각 개별적으로 4n+2 규칙을 만족해 방향족을 띌 수 있는 경우 분자 전체는 4n개의 pi 전자를 가지고 있어도 방향족이 될 수 있음.
* 짝수개의 고리가 각각 개별적으로 4n+2 규칙을 만족해 방향족을 띌 수 있는 경우 분자 전체는 4n개의 pi 전자를 가지고 있어도 방향족이 될 수 있음.
;분자가 [[뫼비우스의 띠]] 형태를 띈 분자는 4n일때 방향족이 됨.
* 분자가 [[뫼비우스의 띠]] 형태를 띈 분자는 4n일때 방향족이 됨.
;휘켈 규칙은 [[단일항]] 분자에 한정됨. [[삼중항]] 분자는 [[베어드 규칙]]에 의거하여 4n 전자일 때 전자가 분자 전체에 비편재화됨.
* 휘켈 규칙은 [[단일항]] 분자에 한정됨. [[삼중항]] 분자는 [[베어드 규칙]]에 의거하여 4n 전자일 때 전자가 분자 전체에 비편재화됨.
 
== 이론적 설명 ==
== 이론적 설명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6/Frostcircle.svg/320px-Frostcircle.svg.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6/Frostcircle.svg/320px-Frostcircle.svg.png


;고리 콘주게이션 분자의 [[분자 오비탈]]을 계산해보면 바닥 상태에 하나, 그 위 상태에 에너지마다 각각 2개씩의 [[축퇴]]된 분자 오비탈이 존재함.
* 고리 콘주게이션 분자의 [[분자 오비탈]]을 계산해보면 바닥 상태에 하나, 그 위 상태에 에너지마다 각각 2개씩의 [[축퇴]]된 분자 오비탈이 존재함.
;4n+2개의 전자를 가진 화합물은 특정 에너지 준위까지의 오비탈이 모두 차므로 비편재화됨
* 4n+2개의 전자를 가진 화합물은 특정 에너지 준위까지의 오비탈이 모두 차므로 비편재화됨
;4n개의 전자를 가진 화합물은 에너지가 같은 준위의 오비탈이 하나씩 들어차는데, 축퇴된 각각의 오비탈에 하나씩 차는 것이 안정함.
* 4n개의 전자를 가진 화합물은 에너지가 같은 준위의 오비탈이 하나씩 들어차는데, 축퇴된 각각의 오비탈에 하나씩 차는 것이 안정함.
;[[휘켈법]]에 의한 계산을 해보면, 4n개의 전자를 가진 화합물은 [[공명 안정화 에너지]]가 크지 않음([[사이클로뷰타다이엔]]에서는 0)
* [[휘켈법]]에 의한 계산을 해보면, 4n개의 전자를 가진 화합물은 [[공명 안정화 에너지]]가 크지 않음([[사이클로뷰타다이엔]]에서는 0)
;[[얀-텔러 효과]]에 의해 찌그러지면 축퇴된 오비탈 중 하나는 에너지가 낮아지고, 하나는 에너지가 높아짐.
* [[얀-텔러 효과]]에 의해 찌그러지면 축퇴된 오비탈 중 하나는 에너지가 낮아지고, 하나는 에너지가 높아짐.
;따라서 일반적으로 2개의 축퇴된 오비탈에 전자가 하나씩 차는 것보다 분자가 찌그러지는 것이 더 안정함  
:따라서 일반적으로 2개의 축퇴된 오비탈에 전자가 하나씩 차는 것보다 분자가 찌그러지는 것이 더 안정함  
;[[사이클로옥타테트라엔]]은 공명 안정화 에너지가 어느정도 존재하기는 하나, 결합각을 135도로 벌리기 위해 상당한 에너지가 소모됨.
* [[사이클로옥타테트라엔]]은 공명 안정화 에너지가 어느정도 존재하기는 하나, 결합각을 135도로 벌리기 위해 상당한 에너지가 소모됨.
;따라서 방향족성을 띄지 않음
:따라서 방향족성을 띄지 않음
;[[사이클로옥타테트라엔]] 2가 음이온은 방향족성이 아니라고 가정할 때의 편재화된 상태에서는 3개의 이중결합밖에 형성할 수 없으므로, 방향족성을 띄는 평면 구조가 상대적으로 안정해져서 방향족 구조를 가짐.
* [[사이클로옥타테트라엔]] 2가 음이온은 방향족성이 아니라고 가정할 때의 편재화된 상태에서는 3개의 이중결합밖에 형성할 수 없으므로, 방향족성을 띄는 평면 구조가 상대적으로 안정해져서 방향족 구조를 가짐.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트로필륨 이온]]
*[[트로필륨 이온]]
32번째 줄: 36번째 줄:
*[[아눌렌]]
*[[아눌렌]]
*[[뫼비우스 방향족성]]
*[[뫼비우스 방향족성]]
*[[방향족성]]


==참고 자료==
==참고 자료==

2016년 1월 12일 (화) 16:22 판

1 개요

Hückel's rule
휘켈 규칙
  • 독일의 물리화학자 에리히 휘켈이 만든 법칙
  • 평면 고리 분자의 방향족성을 설명
  • 평면 고리 화합물은 4n+2개의 원자를 가질 때 방향족성을 띔
  • 반대로 4n개의 원자를 가지면 반방향족성을 띔.
  • 고리는 평면이어야 하고, p 오비탈을 따라 전자가 비편재화될 수 있어야 함.
  • 나프탈렌과 같은 물질은 분자 구조에서 분자 전체의 탄소를 한번씩 지나도록 고리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이지만 휘켈 규칙이 적용됨
따라서 펜탈렌헵탈렌은 반방향족

2 예외

  • 사이클로도데카펜타엔과 같이 평면 구조를 가지려면 결합각 무리가 너무 커지는 분자는 방향족이 아님
  • 파이렌이나 코로넨과 같이 방향족 고리 3개에 둘러싸인 원자가 있는 분자에는 적용되지 않음.
  • 짝수개의 고리가 각각 개별적으로 4n+2 규칙을 만족해 방향족을 띌 수 있는 경우 분자 전체는 4n개의 pi 전자를 가지고 있어도 방향족이 될 수 있음.
  • 분자가 뫼비우스의 띠 형태를 띈 분자는 4n일때 방향족이 됨.
  • 휘켈 규칙은 단일항 분자에 한정됨. 삼중항 분자는 베어드 규칙에 의거하여 4n 전자일 때 전자가 분자 전체에 비편재화됨.

3 이론적 설명

 

  • 고리 콘주게이션 분자의 분자 오비탈을 계산해보면 바닥 상태에 하나, 그 위 상태에 에너지마다 각각 2개씩의 축퇴된 분자 오비탈이 존재함.
  • 4n+2개의 전자를 가진 화합물은 특정 에너지 준위까지의 오비탈이 모두 차므로 비편재화됨
  • 4n개의 전자를 가진 화합물은 에너지가 같은 준위의 오비탈이 하나씩 들어차는데, 축퇴된 각각의 오비탈에 하나씩 차는 것이 안정함.
  • 휘켈법에 의한 계산을 해보면, 4n개의 전자를 가진 화합물은 공명 안정화 에너지가 크지 않음(사이클로뷰타다이엔에서는 0)
  • 얀-텔러 효과에 의해 찌그러지면 축퇴된 오비탈 중 하나는 에너지가 낮아지고, 하나는 에너지가 높아짐.
따라서 일반적으로 2개의 축퇴된 오비탈에 전자가 하나씩 차는 것보다 분자가 찌그러지는 것이 더 안정함
  • 사이클로옥타테트라엔은 공명 안정화 에너지가 어느정도 존재하기는 하나, 결합각을 135도로 벌리기 위해 상당한 에너지가 소모됨.
따라서 방향족성을 띄지 않음
  • 사이클로옥타테트라엔 2가 음이온은 방향족성이 아니라고 가정할 때의 편재화된 상태에서는 3개의 이중결합밖에 형성할 수 없으므로, 방향족성을 띄는 평면 구조가 상대적으로 안정해져서 방향족 구조를 가짐.

4 같이 보기

5 참고 자료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