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원격 포트 점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6번째 줄: 6번째 줄:
*즉 출발지가 리눅스, 원격지는 리눅스든 윈도우든 상관없음
*즉 출발지가 리눅스, 원격지는 리눅스든 윈도우든 상관없음
*리눅스 서버 자신의 포트를 점검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리눅스 포트 점검]]''' 문서를 참고하시라.
*리눅스 서버 자신의 포트를 점검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리눅스 포트 점검]]''' 문서를 참고하시라.
*[[nc]]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1회 확인==
==1회 확인==

2012년 7월 18일 (수) 14:39 판

리눅스에서 원격지 포트 점검
리눅스 tcping
linux tcping (alternative)
linux ping port
  • 이 문서는 리눅스에서 다른 서버를 점검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 즉 출발지가 리눅스, 원격지는 리눅스든 윈도우든 상관없음
  • 리눅스 서버 자신의 포트를 점검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리눅스 포트 점검 문서를 참고하시라.
  • nc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1 1회 확인

명령어
nc -zv -w타임아웃 서버주소 포트
실행예시 (포트 열림)
[root@localhost ~]# nc -zv -w1 8.8.8.8 53
Connection to 8.8.8.8 53 port [tcp/domain] succeeded!
→ 8.8.8.8은 구글의 DNS이다. DNS는 53포트를 사용하므로 열려 있다.
[root@localhost ~]# nc -zv -w1 daum.net 80
Connection to daum.net 80 port [tcp/http] succeeded!
→ daum.net의 80포트는 열려 있다. 닫혀 있다면 큰일이겠지...
실행예시 (포트 닫힘)
[root@localhost ~]# nc -zv -w1 8.8.8.8 21
nc: connect to 8.8.8.8 port 21 (tcp) timed out: Operation now in progress
[root@localhost ~]# nc -zv -w1 daum.net 81
nc: connect to daum.net port 81 (tcp) timed out: Operation now in progress
nc: connect to daum.net port 81 (tcp) timed out: Operation now in progress
nc: connect to daum.net port 81 (tcp) timed out: Operation now in progress
nc: connect to daum.net port 81 (tcp) timed out: Operation now in progress

2 연속 확인

명령어
while true; do nc -zv -w타임아웃 서버주소 포트; done

계속 반복 점검한다. 중지하고 싶을 때는 Ctrl+C를 누르면 된다.

실행예시 (포트 열림)
[root@localhost ~]# while true; do nc -zv -w2 8.8.8.8 53; done
Connection to 8.8.8.8 53 port [tcp/domain] succeeded!
Connection to 8.8.8.8 53 port [tcp/domain] succeeded!
Connection to 8.8.8.8 53 port [tcp/domain] succeeded!
... (생략)
실행예시 (포트 닫힘)
[root@localhost ~]# while true; do nc -zv -w2 8.8.8.8 51; done
nc: connect to 8.8.8.8 port 51 (tcp) timed out: Operation now in progress
nc: connect to 8.8.8.8 port 51 (tcp) timed out: Operation now in progress
nc: connect to 8.8.8.8 port 51 (tcp) timed out: Operation now in progress
... (생략)

3 같이 보기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