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항편파성, 차별문항기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뜻|편향, 인지편향}}
;bias, item bias
;bias, item bias
;편파성, 문항 편파성
;편파성, 문항 편파성
4번째 줄: 5번째 줄: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차별 문항 기능
;차별 문항 기능
==개요==
*문항(또는 검사)이 특정 집단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성질
*문항(또는 검사)이 특정 집단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성질
*같은 능력을 가진 피험자들이라도 속한 집단에 따라 정답반응 확률이 다르게 나타는 현상
*같은 능력을 가진 피험자들이라도 속한 집단에 따라 정답반응 확률이 다르게 나타는 현상
10번째 줄: 13번째 줄:
==차이점==
==차이점==
어떤 문항이 특정 집단에 유불리한 현상(DIF)이 있더라도 능력측정에 타당한 것이라면 편파적(bias)이라고 할 수는 없다.
어떤 문항이 특정 집단에 유불리한 현상(DIF)이 있더라도 능력측정에 타당한 것이라면 편파적(bias)이라고 할 수는 없다.
*예: 흑인학생들이 제곱근 문항에 약한 현상 → DIF 있지만, 편파적인 것은 아님.
*예: 흑인학생들이 제곱근 문항에 약한 현상<ref>수학(math) 능력이 같을 때(!), 문항간 차이가 있다는 것</ref> → DIF 있지만, 편파적인 것은 아님.<ref>측정의 문제는 아님. 제곱근 과목 교육을 살펴볼 필요는 있음.</ref>
 
==같이 보기==
*[[공정성]]
 
==주석==
<references/>


[[분류: 측정평가]]
[[분류: 검사]]

2015년 1월 20일 (화) 23:06 기준 최신판

  다른 뜻에 대해서는 편향, 인지편향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bias, item bias
편파성, 문항 편파성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차별 문항 기능

1 개요[ | ]

  • 문항(또는 검사)이 특정 집단에 유리하거나 불리한 성질
  • 같은 능력을 가진 피험자들이라도 속한 집단에 따라 정답반응 확률이 다르게 나타는 현상
  • 예시: 남자와 여자, 백인과 흑인, 상류층과 하류층에 따라 특정문항이 유리하거나 불리할 수 있다.

2 차이점[ | ]

어떤 문항이 특정 집단에 유불리한 현상(DIF)이 있더라도 능력측정에 타당한 것이라면 편파적(bias)이라고 할 수는 없다.

  • 예: 흑인학생들이 제곱근 문항에 약한 현상[1] → DIF 있지만, 편파적인 것은 아님.[2]

3 같이 보기[ | ]

4 주석[ | ]

  1. 수학(math) 능력이 같을 때(!), 문항간 차이가 있다는 것
  2. 측정의 문제는 아님. 제곱근 과목 교육을 살펴볼 필요는 있음.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