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m 차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4번째 줄: 4번째 줄:
;차트
;차트
https://helm.sh/docs/topics/charts/
https://helm.sh/docs/topics/charts/
==차트 파일 구조==
==Chart.yaml 파일==
===차트와 버전 관리===
===apiVersion 필드===
===appVersion 필드===
===kubeVersion 필드===
===차트 지원중단===
===차트 유형===
==차트 LICENSE, README, NOTES==
==차트 의존성==
===dependencies 필드로 의존성 관리===
====dependencies에서 Alias 필드====
====dependencies에서 Tags와 Condition 필드====
=====Tags, Conditions와 함께 CLI 사용=====
=====Tags, Condition 해결=====
====dependencies를 통해 자식 값 가져오기====
=====exports 형식 사용=====
=====child-parent 형식 사용=====
===charts/ 디렉토리를 통한 종속성 수동 관리===
===의존성 사용에 대한 운영 측면===
==템플릿과 Values==
===템플릿 파일===
===사전정의된 Values===
===Values 파일===
===스코프, 의존성, Values===
====전역 Values====
===스키마 파일===
===참고자료===
==커스텀 리소스 정의 (CRD)==
===CRD 제한사항===
==헬름을 사용한 차트 관리==
==차트 리포지토리==
==차트 스타터 팩==

2024년 6월 24일 (월) 03:48 판

1 개요

Charts
차트

https://helm.sh/docs/topics/charts/

2 차트 파일 구조

3 Chart.yaml 파일

3.1 차트와 버전 관리

3.2 apiVersion 필드

3.3 appVersion 필드

3.4 kubeVersion 필드

3.5 차트 지원중단

3.6 차트 유형

4 차트 LICENSE, README, NOTES

5 차트 의존성

5.1 dependencies 필드로 의존성 관리

5.1.1 dependencies에서 Alias 필드

5.1.2 dependencies에서 Tags와 Condition 필드

5.1.2.1 Tags, Conditions와 함께 CLI 사용
5.1.2.2 Tags, Condition 해결

5.1.3 dependencies를 통해 자식 값 가져오기

5.1.3.1 exports 형식 사용
5.1.3.2 child-parent 형식 사용

5.2 charts/ 디렉토리를 통한 종속성 수동 관리

5.3 의존성 사용에 대한 운영 측면

6 템플릿과 Values

6.1 템플릿 파일

6.2 사전정의된 Values

6.3 Values 파일

6.4 스코프, 의존성, Values

6.4.1 전역 Values

6.5 스키마 파일

6.6 참고자료

7 커스텀 리소스 정의 (CRD)

7.1 CRD 제한사항

8 헬름을 사용한 차트 관리

9 차트 리포지토리

10 차트 스타터 팩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