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ol Vuh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Popol Vuh (Norway)}}
*  [http://cafe.daum.net/sarf/MYsN/707 Popol Vuh -  【AR Review _ 4,120】]
* [http://www.sobaworld.co.kr/18742 Popol Vuh - Einsjager and Siebenjager【sb】]
* [http://wivern.tistory.com/m/125 Popol Vuh - Hosianna Mantra[2009/02/15]【wi】]
* [http://wivern.tistory.com/m/125 Popol Vuh - Hosianna Mantra[2009/02/15]【wi】]
* [http://wivern.tistory.com/m/2048 Popol Vuh - Hosianna Mantra[2013/07/23]【wi】]
* [http://wivern.tistory.com/m/2048 Popol Vuh - Hosianna Mantra[2013/07/23]【wi】]
* [http://m.blog.naver.com/hallart/90072329924 Popol Vuh - In Den Garten Pharaos (1971, Germany)[오늘의 음반]【ha】]
* [http://m.blog.naver.com/hallart/90072329924 Popol Vuh - In Den Garten Pharaos (1971, Germany)[오늘의 음반]【ha】]
* [http://www.sobaworld.co.kr/50618 Popol Vuh - Nosferatu【sb】]
* [http://www.sobaworld.co.kr/50618 Popol Vuh - Nosferatu【sb】]
* [http://wivern.tistory.com/m/2025 Popol Vuh - Popol Vuh (2)[2013/07/04]【wi】]
* [http://www.sobaworld.co.kr/8736 Popol Vuh - Popol Vuh【sb】]
* [http://m.blog.naver.com/hallart/90037469736 Popol Vuh - Quiche Maya (1973, Norway)[오늘의 음반]【ha】]
* [http://m.blog.naver.com/chedragon/50104587390 Popol Vuh - Werner Herzog Soundtracks (2011)【ch】]
* [http://m.blog.naver.com/chedragon/50104587390 Popol Vuh - Werner Herzog Soundtracks (2011)【ch】]


==개요==
==개요==
38번째 줄: 43번째 줄:
* Various – Fitzcarraldo (1982)
* Various – Fitzcarraldo (1982)
* Popol Vuh - Cobra Verde (OST) (1987)
* Popol Vuh - Cobra Verde (OST) (1987)
== Einsjager & Sibenjager ==
* [http://www.sobaworld.co.kr/18742 Popol Vuh - Einsjager and Siebenjager【sb】]
# 앨범 : Einsjager & Sibenjager (1975)
# 아티스트 : Popol Vuh
# 레이블 : Kosmische
# 장르 : 프로그레시브 록 (Progressive Rock)
* REVIEW
마야 문명의 성서에서 이름을 따 온 뽀불 부(Popol Vuh)는 동시대의 다른 독일 밴드들과 확연히 구분되는 독창적인 음악을 해 온 밴드이다. 이들의 음악은 70년대의 독일의 폭력적이고 장황한 사이키델릭(Psychedelic) 록인 크라우트 록(Kraut Rock)이나, 프로그레시브 록의 보편적인 모델이라 할 수 있는 심포닉 록(Symphonic Rock), 혹은 아방가르드(Avantgarde)나 탄제린 드림(Tangerine Dream), 크라프트베르크(Kraftwerk)류의 일렉트로닉스(Electronics)도 아니다. 리더인 플로리안 프릭케(Florian Fricke)의 경건한 음악관이 반영된 종교색 짙은 분위기와 은둔적인 요소는 지금의 뉴 에이지(New Age) 음악과 어느 정도 통하는 바가 있기는 하지만, 뉴 에이지 음악과 같은 뚜렷한 목적성이나 자연 친화적이거나 묘사적인 음악과는 또 상당한 거리가 있다. 이들은 극히 절제된 음악성으로 프로그레시브 록 씬에서도 고고한 위치를 차지해왔으며, 특히 국내에선 재독 작곡가인 고 윤이상의 딸인 윤정이 세 번째 앨범 「Hosianna Mantra」에서부터 참여하여 친숙해진 밴드이기도 하다.
* Song Description
아몽 듈 II의 기타리스트 겸 건반 주자 데이빗 피헬셔 (David Fichelscher)가 참여한 「Einsjager Und Sibenjager」는 이전의 포볼 부의 앨범들보다는 보다 록적인 요소가 강하게 느껴진다. 덕분에 「Einsjager Und Sibenjager」는 이들의 앨범중에서는 비교적 접근하기 쉬운 작품이면서, 또한 뽀볼 부의 절제된 미학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음반이 되고 있다. <Kliner Krieger>와 를 제외한 나머지 네 곡은 플로리안 프릭케의 작품으로, 19분 30초의 타이틀 트랙 <Einsjager & Siebenjager>는 본작과 뽀볼 부의 매력을 함축하고 있다. 윤 정의 성스러운 보컬이 돋보이는 이 곡은 본작과 더불어 뽀볼 부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Hosianna Mantra」에서의 종교적인 경건함과 섬세함, 그리고 데이빗 피헬셔가 주도하는 역동성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 감상 포인트 및 평가
데이빗 피헬셔의 가담으로 증가된 역동성은 본작을 뽀볼 부의 가장 유명한 앨범인 「Hosianna Mantra」보다도 이들에게 처음 접근하는 사람들에겐 더욱 적합한 앨범으로 만들고 있다. 어쿠스틱과 피아노의 정적이고 심미적인 음악과 일렉트릭 기타와 퍼커션의 역동성, 그리고 윤 정의 성스러운 목소리가 만들어낸 경건한 서사시적인 음반.        (조영래, 1999.8, [http://musicisland.org 아일랜드])
★★★★
* 관련 추천 앨범
:Eela Craig 「Missa Universalis」
:Carpe Diem 「En Regardant Passer Le Temps」
:Harmonium 「L'heptade」


==같이 보기==
==같이 보기==
66번째 줄: 48번째 줄:


==참고==
==참고==
* https://en.wikipedia.org/wiki/Popol_Vuh_(band)
*https://en.wikipedia.org/wiki/Popol_Vuh_(band)
* 방대한 아카이브 https://www.popolvuh.nl/


[[분류:독일 록]]
[[분류:독일 록]]

제타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타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