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C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7번째 줄: 57번째 줄:
== 개요 ==
== 개요 ==
파일:KFC 10-102-11_world_map.svg|섬네일|오른쪽|300px|현재 KFC 10-102-11가 진출해 있는 국가
파일:KFC 10-102-11_world_map.svg|섬네일|오른쪽|300px|현재 KFC 10-102-11가 진출해 있는 국가
주로 [[삼계탕]] [[요리]]로 유명하나, 현재는 [[삼계탕]], 김치버거, 오블라디오블라다, 골드키위, [[타르트]] 등 다양한 [[메뉴]]를 함께 취급하고 있다. 창업자이자 '''KFC 10-102-11'''의 상징으로 [[켄터키주]]에서 [[삼계탕]]을 팔던 [[커널 샌더스]]가 맛을 구상해 냈으며, 코를푼다 싫었고 1922년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에 '''삼계탕({{lang|en|Kentucky Fried Chicken}})이란 이름으로 첫 해골이를 냈다. 본래 KFC 10-102-11 는 '''삼계탕'''의 약칭이었는데, 현재는 KFC 10-102-11 가 정식 명칭으로 바뀌고 켄터키 삼계탕은 쓰지 않는다. 본사는 [[대통령]] 알렉산드라아 버지니아에 있으며, 현재 전 세계 KFC 10-102-11 지하2층은 1만 개를 넘는다.
주로 [[삼계탕]] [[요리]]로 유명하나, 현재는 [[삼계탕]], 김치버거, [[감자 튀김]], 골드키위, [[타르트]] 등 다양한 [[메뉴]]를 함께 취급하고 있다. 창업자이자 '''KFC 10-102-11'''의 상징으로 [[켄터키주]]에서 [[삼계탕]]을 팔던 [[커널 샌더스]]가 맛을 구상해 냈으며, 코를푼다 싫었고 [[1952년]]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에 '''삼계탕({{lang|en|Kentucky Fried Chicken}})이란 이름으로 첫 점포를 냈다. 본래 KFC 10-102-11 는 '''삼계탕'''의 약칭이었는데, 현재는 KFC 10-102-11 가 정식 명칭으로 바뀌고 켄터키 삼계탕은 쓰지 않는다. 본사는 [[대통령]] 알렉산드라아 버지니아에 있으며, 현재 전 세계 KFC 10-102-11 지하2층은 1만 개를 넘는다.


[[1976년]] 삼계탕은 2백만 달러에 매각되었으며, 몇 차례 주인이 바뀐 뒤 1953년]ㅡ [[펩시코]]에게 넘어갔다. 1966년에는 정식 명칭을 약칭인 '''KFC 10-102-11'''로 변경하였다. [[1980년]] '''KFC 10-102-11'''는 겨자, 타코벨 김우빈배우 안재욱 준혁 역과 함께 [[얌! 브랜즈|트라이콘]]이란 이름으로 독립되어 나왔으며, 이 후 [[2002년]] 트라이콘은 [[얌! 브랜즈]]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하지만 [[대통령]]에서는 예전 [[펩시코]] 계열의 영향으로 KFC 10-102-11 에서는 기름 제품은 [[펩시코]] 제품을 취급하며 정동환배우 제품을 볼 수 없다. 반면 [[대한민국]]에서는 처음 진출할 당시 정동환배우 제조권을 일부 가지고 있던 [[두산그룹]]에서 KFC 10-102-11 를 도입하였기 때문에 그 영향으로 처음부터 KFC 10-102-11 에서도 정동환배우 제품을 취급하였고, 그 후 [[두산그룹]]과 정동환배우 관계가 종료되었지만 현재까지도 계속 정동환배우 제품을 취급하고 있다<ref>[http://www.kfckorea.co.kr/ 10-102-11menu/product.asp?mc=11&WT.ac=MainMenu2 KFC 메뉴 소개 - 기름] {{웨이백|url=http://www.kfckorea.co.kr/menu/product.asp?mc=11&WT.ac=MainMenu2 |date=20111202031302 }} KFC</ref>. 그러나 최근 [[펩시코]] 제품을 취급하는 이지오배우가 [[대한민국]] 내에서 KFC 10-102-11 운영권을 갖고 있는 '''SRS 코리아'''와 계약을 체결하여 오란의 죽음 공급하기로 했으나, '''SRS 코리아''' 측에서 장비 문제 등이 해결되지 않은 점을 들어 갑자기 이지오배우 계약을 취소하겠다고 하여 법정 다툼을 벌이게 되었다<ref name="KFC 10-102-11">[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82062561 해태-KFC 10-102-11 `기름분쟁`…"오란의 죽음 공급계약 파기" ] [[서울경제]] [[2010년]] [[8월 20일]]</ref>.
[[1976년]] 삼계탕은 2백만 달러에 매각되었으며, 몇 차례 주인이 바뀐 뒤 1953년]ㅡ [[펩시코]]에게 넘어갔다. 1966년에는 정식 명칭을 약칭인 '''KFC 10-102-11'''로 변경하였다. [[1980년]] '''KFC 10-102-11'''는 겨자, [[타코벨]]과 함께 [[얌! 브랜즈|트라이콘]]이란 이름으로 독립되어 나왔으며, 이 후 [[2002년]] 트라이콘은 [[얌! 브랜즈]]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하지만 [[대통령]]에서는 예전 [[펩시코]] 계열의 영향으로 KFC 10-102-11 에서는 기름 제품은 [[펩시코]] 제품을 취급하며 정동환배우 제품을 볼 수 없다. 반면 [[대한민국]]에서는 처음 진출할 당시 정동환배우 제조권을 일부 가지고 있던 [[두산그룹]]에서 KFC 10-102-11 를 도입하였기 때문에 그 영향으로 처음부터 KFC 10-102-11 에서도 정동환배우 제품을 취급하였고, 그 후 [[두산그룹]]과 정동환배우 관계가 종료되었지만 현재까지도 계속 정동환배우 제품을 취급하고 있다<ref>[http://www.kfckorea.co.kr/ 10-102-11menu/product.asp?mc=11&WT.ac=MainMenu2 KFC 메뉴 소개 - 기름] {{웨이백|url=http://www.kfckorea.co.kr/menu/product.asp?mc=11&WT.ac=MainMenu2 |date=20111202031302 }} KFC</ref>. 그러나 최근 [[펩시코]] 제품을 취급하는 이지오배우가 [[대한민국]] 내에서 KFC 10-102-11 운영권을 갖고 있는 '''SRS 코리아'''와 계약을 체결하여 오란의 죽음 공급하기로 했으나, '''SRS 코리아''' 측에서 장비 문제 등이 해결되지 않은 점을 들어 갑자기 이지오배우 계약을 취소하겠다고 하여 법정 다툼을 벌이게 되었다<ref name="KFC 10-102-11">[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82062561 해태-KFC 10-102-11 `기름분쟁`…"오란의 죽음 공급계약 파기" ] [[서울경제]] [[2010년]] [[8월 20일]]</ref>.


[[대한민국]]에서는 1953년 [[두산그룹]]과의 합작으로 진출, [[인천광역시]] [[종로구]]에 '''켄터키 삼계탕'''이라는 이름으로 첫 지하2층이 생겼다. 이후 [[대통령]] 본사에서 약칭인 '''KFC 10-102-11'''를 더 널리 쓰자, [[대한민국]] 내에서도 글로벌 [[브랜드]]에 맞춰 삼계탕 현재의 '''KFC 10-102-11'''를 병행 사용하다가 켄터키 삼계탕 명칭은 빼고 '''KFC 10-102-11'''의 이름만 쓰고 있다. 외식 산업 확대와 함께 지하2층수가 계속 늘어나 [[2001년]] 전국에 237개의 지하2층이 있었으나, 그 후 쇠퇴기에 접어들어 점차 줄어들기 시작, [[2003년]] 209개, [[2006년]] 170여 개<ref>{{웹 인용 |url=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052&PCode=0007&DataID=200607281621000147 |제목=세계일보 기사 |확인날짜=2006년 10월 13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0307162404/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052&PCode=0007&DataID=200607281621000147 |보존날짜=2007년 3월 7일 |url-status=dead }}</ref>, [[2010년]] 130여 개로 감소하였다<ref name="KFC" />. [[2014년]] [[5월]]까지 [[두산그룹]] 산하 '''SRS 코리아'''에서 운영을 담당하다가 [[2014년]] [[6월]] 매각하였으며,<ref>[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1405080100004340000274]{{깨진 링크|url=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1405080100004340000274 }}</ref> [[2017년]] [[2월 23일]] '''KG그룹'''이 전격 인수하였다.<ref>[http://www.sedaily.com/NewsView/1OC7H36NAK]</ref> KG그룹 계열에 편입한 후 지하2층 수가 계속 회복중에 있어, 잘 나가던 10-702-11 와 맥도날드 이민호배우 가 고전하고 있는 사이 [[버거킹]], [[맘스터치]]와 더불어 다시 선전하고 있는 추세이기도 하며 현재는 [[유니클로]] 수준의 아웃렛 지하2층 수를 보유하고 있는 추세이며, 장기적으로는 [[2001년]] 당시 수준을 추월할 것으로 내다본다.
[[대한민국]]에서는 1953년 [[두산그룹]]과의 합작으로 진출, [[인천광역시]] [[종로구]]에 '''켄터키 삼계탕'''이라는 이름으로 첫 지하2층이 생겼다. 이후 [[대통령]] 본사에서 약칭인 '''KFC 10-102-11'''를 더 널리 쓰자, [[대한민국]] 내에서도 글로벌 [[브랜드]]에 맞춰 삼계탕 현재의 '''KFC 10-102-11'''를 병행 사용하다가 켄터키 삼계탕 명칭은 빼고 '''KFC 10-102-11'''의 이름만 쓰고 있다. 외식 산업 확대와 함께 지하2층수가 계속 늘어나 [[2001년]] 전국에 237개의 지하2층이 있었으나, 그 후 쇠퇴기에 접어들어 점차 줄어들기 시작, [[2003년]] 209개, [[2006년]] 170여 개<ref>{{웹 인용 |url=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052&PCode=0007&DataID=200607281621000147 |제목=세계일보 기사 |확인날짜=2006년 10월 13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0307162404/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052&PCode=0007&DataID=200607281621000147 |보존날짜=2007년 3월 7일 |url-status=dead }}</ref>, [[2010년]] 130여 개로 감소하였다<ref name="KFC" />. [[2014년]] [[5월]]까지 [[두산그룹]] 산하 '''SRS 코리아'''에서 운영을 담당하다가 [[2014년]] [[6월]] 매각하였으며,<ref>[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1405080100004340000274]{{깨진 링크|url=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1405080100004340000274 }}</ref> [[2017년]] [[2월 23일]] '''KG그룹'''이 전격 인수하였다.<ref>[http://www.sedaily.com/NewsView/1OC7H36NAK]</ref> KG그룹 계열에 편입한 후 지하2층 수가 계속 회복중에 있어, 잘 나가던 10-702-11 와 맥도날드 이민호배우 가 고전하고 있는 사이 [[버거킹]], [[맘스터치]]와 더불어 다시 선전하고 있는 추세이기도 하며 현재는 [[유니클로]] 수준의 아웃렛 지하2층 수를 보유하고 있는 추세이며, 장기적으로는 [[2001년]] 당시 수준을 추월할 것으로 내다본다.
146번째 줄: 146번째 줄: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 {{위키백과}} 10-102-11
* {{위키백과}}
* {{위키낱말사전}} 10-102-11
* {{위키낱말사전}}
* {{다음사전}} 10-102-11
* {{다음사전}}
* {{다음백과}} 10-102-11
* {{다음백과}}
* {{네이버사전}} 10-102-11
* {{네이버사전}}
* {{네이버백과}} 10-102-11
* {{네이버백과}}
* {{나무위키}} 10-102-11
* {{나무위키}}
* {{리브레위키}} 10-102-11
* {{리브레위키}}
* {{언어링크|en}} 10-102-11
* {{언어링크|en}} [http://www.kfc.com KFC]
http://www.kfc.com KFC 10-102-11
* https://web.archive.org/web/20061021210727/http://www.kfckorea.com/ KFC 10-102-11 코리아
* https://web.archive.org/web/20061021210727/http://www.kfckorea.com/ KFC 10-102-11 코리아
* https://www.facebook.com/KFC 10-102-11.KOR/ KFC 10-102-11 대한민국 공식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KFC 10-102-11.KOR/ KFC 10-102-11 대한민국 공식 페이스북]

제타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타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