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 일본사상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 KCI로 연결
* KCI로 연결


 
== 30~ ==
== 40~ ==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69455 가지오후미타케  _ 1 _ 전후일본에서 문예비평의 굴절— 한국전쟁의 문학적 영향 —  _ 5~40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69472 김경리  _ 2 _ 일본의 제1회 국세조사 홍보와 자각하는 ‘근대’  _ 41~74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69483 김선희  _ 3 _ 일제강점기 철도안내서로 보는 ‘조선’ 인식— ‘명승’의 발견을 중심으로 —  _ 75~106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69497 이경희  _ 4 _ 신국가 건설과 문화국가론의 전개— 패전후 일본, 해방후 한국 —  _ 107~138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69500 이은경  _ 5 _ 일본국 헌법 제24조와 ‘가족보호’— 현대 일본 보수․우익의 헌법개정 움직임에 즈음하여 —  _ 139~168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69510 조아라  _ 6 _ 일본문학 속 ‘거절하는 여성’ 고찰—다케토리모노가타리(竹取物語)와 가구야공주 이야기(かぐや姫の物語)를 중심으로 —  _ 169~193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15995 김경옥  _ 1 _ 아동학대 실태와 대처에 관한 한․일 비교 — 유형별 분석과 대응 과정 비교를 중심으로 —  _ 5~33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15999 김경옥  _ 2 _ 하니 세쓰코(羽仁説子)의 여성해방과 봉건주의  _ 35~56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16001 김홍겸  _ 3 _ 한․중․일 요괴 이야기의 가치성과문화콘텐츠적 활용양상 연구  _ 57~80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16004 박이진  _ 4 _ 《20세기 소년》의 ‘1970년 일본세계박람회’트라우마 재현과 그 의미  _ 82~111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16005 양익모  _ 5 _ 에도시대 공인 유곽의 성립과 유녀봉공의 문제점  _ 113~131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16006 오승희  _ 6 _ 일본의 기획 정체성과 중국 인식의 중층성 — 가치 외교, 대만 문제, ‘하나의 중국’ —  _ 133~156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16007 유지혜  _ 7 _ 쓰보이 사카에(壺井栄) 작품에 나타난 ‘도한’의 내재된 의미 — 『아침(朝)』과 『벼랑을 치는 파도(岸うつ波)』를 중심으로 —  _ 157~182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16009 윤석상  _ 8 _ 일본 정치사회의 인정문제와 공공성의 위기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를 사례로 —  _ 183~209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16011 이권희  _ 9 _ 근대 일본사회의 ‘장해자’ 인식에 관한 고찰 — 메이지 시대의 장해자 교육를 중심으로 —  _ 212~231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16014 이승준  _ 10 _ 子ども一人の恐怖 — 古井由吉「赤牛」と1970年代の空襲体験 —  _ 233~257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16017 조주희  _ 11 _ 근대 일본의 여성동성애 담론 — 신문 보도 프레임을 중심으로 —  _ 259~281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52539 김경옥  _ 1 _ 제도(制度)가 지닌 문화권력과 서발턴 — 일본 개호보험제도를 중심으로 —  _ 5~30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52604 김병진  _ 2 _ 서브컬처가 그리는 도시 — 《공각기동대》의 ‘도시’와 아나키즘 —  _ 31~59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52625 박수현  _ 3 _ 무라카미 하루키의 『신의 아이들은 모두 춤춘다 (神の子どもたちはみな踊る)』 小考 — ‘재해’라는 거대한 폭력의 기억 —  _ 61~84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52684 최규리  _ 4 _ ‘가쿠레키리시탄’ 신앙의 혼종성 —이키쓰키시마(生月島)를 중심으로 —  _ 85~108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52707 송혜경  _ 5 _ 일본인의 한반도 이주와 여성중등교육의 형성 — 식민 초기, 경성고등여학교를 중심으로 —  _ 109~132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53015 송휘영  _ 6 _ 일본 고문헌 및 고지도에 나타난 울릉도 지명과 독도 『竹島圖說, 竹島雜誌』를 중심으로  _ 133~162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52832 엄석인  _ 7 _ 소라이(徂徠) 학파의 훈독론과 한문 번역  _ 163~188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52869 엄현섭  _ 8 _ 근대 동경방송국(JOAK)의자기조직화(self-organization) 연구  _ 189~221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52909 이지현  _ 9 _ 전후 일본 암시장의 기억과 표상 — 일본 단편선 『闇市』의 편집 방향과 관련하여 —  _ 223~243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52961 이현주  _ 10 _ 『경성일보』의 연재만화연구 — 아소 유타카(麻生豊)의 국책연재만화 「노력부대」를 중심으로 —  _ 245~267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89685 강소영  _ 1 _ 히로시마․나가사키의 피폭 조선인 표상 — ‘까마귀’를 중심으로 —  _ 5~28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89694 김지훈  _ 2 _ 후지타 도코 『홍도관기술의』의 사상 연구 — 유학(儒學)의 관점에서 —  _ 29~66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89698 남상욱  _ 3 _ 전후 일본문학 속의 주일 미군기지 표상과 한국전쟁  _ 67~94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89699 박은영  _ 4 _ 근대전환기 일본 여성의 정치참여와 자기인식 — 니지마 야에(新島八重)를 중심으로 —  _ 95~115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89703 박이진  _ 5 _ 일본 태교론의 전통과 근대  _ 117~146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89724 박홍규  _ 6 _ ‘책임론적 화해’를 넘어서 — ‘한일화해3.0’을 위한 철학적 토대 —  _ 147~174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89737 오성숙  _ 7 _ 사회적 차별과 서벌턴(나가사키 피폭자) — 가톨릭 신자 나가이 다카시(永井隆)의 『나가사키의 종(長崎の鐘)을 중심으로 —  _ 175~198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90319 이가혜  _ 8 _ 식민지기 출판매체에 나타난 재조일본인 예기의 표상 — ‘미인(美人)’과 ‘보균자(保菌者)’의 경계 —  _ 200~229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89742 이경희  _ 9 _ 다시 보는 괴수 영화 <신 고질라>(2016) — ‘특촬’의 관점 —  _ 231~257 _ 3]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89758 이권희  _ 10 _ 근대 일본의 전시기 칙어교육에 관한 고찰 — 학교의식과 의식창가(儀式唱歌)를 중심으로 —  _ 259~285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89762 이기원  _ 11 _ 고의학에서 보는 도덕과 그 권역 — 이토 진사이의 『논어고의』를 중심으로 —  _ 287~312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89767 전성곤  _ 12 _ ‘역사 없는 민족’의 국민화와 프롤레타리아 내셔널리즘의 조정(措定)  _ 313~349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89776 홍보석  _ 13 _ 도사카 준(戸坂潤)의 상식 개념과 저널리즘의 역할  _ 349~375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30269 김경리  _ 1 _ 근대일본의 건강담론과 자양강장제 폴리타민 — 1925~1945 요미우리신문광고를 중심으로 —  _ 5~35 _ 2]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30308 김병진  _ 2 _ 다이쇼기 여성 대중의 탄생 — 대중 여성잡지와 소비주의 —  _ 37~61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30359 김선희  _ 3 _ 인삼에서 ‘Ginseng’으로 — Made in Choseon의 ‘해피 드러그’ —  _ 63~94 _ 3]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30386 김태진  _ 4 _ 천황의 세 신체 — 메이지 천황은 어떻게 재현되는가 —  _ 95~129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30416 무라마츠 마사아키  _ 5 _ 『懐風藻』に見られる神仙思想  _ 131~154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30435 양익모  _ 6 _ 하치오지센닌도신(八王子千人同心)을 통해 본 에도시대 신분제의 모순  _ 155~175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30459 유수정  _ 7 _ 만주국 시기 노가와 다카시와 합작사 운동  _ 177~201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30479 이권희  _ 8 _ 서벌턴으로서의 ‘재한 일본인처’에 관한 고찰  _ 203~229 _ 2]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30497 이영섭  _ 9 _ 욕망과 과학의 근대적 만남, 발모제(發毛劑)  _ 231~263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30513 허지향  _ 10 _ 『니시 아마네 철학 저작집(西周哲学著作集)』편찬 배경 — 아소 요시테루(麻生義輝)의 전회와 메이지 일본 —  _ 263~294 _ 1]
 
 
== 30~39 ==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6897 김용철  _ 1 _ 오카쿠라 덴신(岡倉天心)의 일본미의식 탐구  _ 7~30 _ 2]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6929 김지영  _ 2 _ 냉전기 미일친선과 ‘미국’ 표상의 수사학 — 점령자에서 친밀한 ‘이웃’으로 —  _ 31~66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6978 박규태  _ 3 _ 야나기 무네요시의 비애미와 ‘모노’ — 모노노아와레와 한(恨)의 미학 서설 —  _ 67~93 _ 2]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7006 심희찬  _ 4 _ 조선적인 것과 ‘모노노아와레’ — 식민지에서 상징계 구축하기 —  _ 95~130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7062 김선희  _ 5 _ 일본 오키군 아마초의 지역 활성화 사례 고찰  _ 133~158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7122 박상도  _ 6 _ 나카하라 츄야 문학의 종교성  _ 159~183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7142 박은영  _ 7 _ 15년전쟁 하 일본 기독교의 전쟁 협력 — 전후 ‘전쟁책임’ 문제와 관련하여 —  _ 185~210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7162 박홍규  _ 8 _ 한일 역사화해의 전개 과정 — ‘책임론적 화해’에서 ‘포용론적 화해’로 —  _ 211~239 _ 2]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7241 오성숙  _ 9 _ 패전·점령의 여성해방과 가스토리(カストリ)잡지 시대 — ‘성(性)’, ‘폭력’, ‘팡팡’을 중심으로 —  _ 242~263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7303 이지현  _ 10 _ 대중 문화에 나타난 일본 내셔널리즘 표현 구조 — 미야자키 하야오의 <바람이 분다> 재고 —  _ 265~286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7350 전성곤  _ 11 _ 세계주의의 편승이라는 ‘식민주의’와 도립적(倒立的) 내셔널리즘 — 『계간삼천리』와 내재성 문제를 중심으로 —  _ 287~323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7411 최민혁  _ 12 _ 아리가 나가오의 국체론 — 메이지기 사회진화론에 대한 연구 —  _ 325~348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67437 최종길  _ 13 _ 전후의 시작과 진보진영의 전쟁책임 문제 — ‘정치와 문학’ 논쟁을 중심으로 —  _ 349~381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98515 곽형덕  _ 1 _ 일본 전후문학과 노벨문학상 — 현실 부정과 아시아와의 연대를 중심으로 —  _ 5~23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98528 김경리  _ 2 _ 근대 일본의 그림엽서 문화사 담론  _ 25~54 _ 7]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98565 김영  _ 3 _ 福本義亮의 『요시다쇼인 대륙․남진론』을 통해 본 조선침탈 — 울릉도론을 중심으로 —  _ 55~79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98581 김영호  _ 4 _ 『안세이 견문록(安政見聞録)』 시론(試論) — 안세이 대지진에 대한 생생한 기억과 교훈 —  _ 81~102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98595 박규태  _ 5 _ <17조헌법>의 화(和)와 원효의 화쟁(和諍) — 한일문화비교의 인식론적 고찰 —  _ 103~134 _ 1]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98701 이경미  _ 6 _ 3.1운동과 제국일본의 위기 — 아베 미쓰이에의 전환론과 식민지조선의 합법적 정치공간 —  _ 135~160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98717 이권희  _ 7 _ 일본군 위안부의 ‘주체화’에 관한 고찰  _ 161~185 _ 3]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98765 이기용  _ 8 _ 우치무라 간조사상의 특색과 한국에 끼친 영향 — 한일화합과 평화행보를 중심으로 —  _ 187~226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98805 이현주  _ 9 _ 太宰治の『お伽草紙』論 — 『お伽草紙』における架空の世界と古典意識 —  _ 227~249 _ 0]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98839 송휘영  _ 10 _ 근대 울릉도 사회경제 구조의 변천과 독도 인식  _ 251~283 _ 3]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35624#listCita 서동주 _ 1 현대일본의 ‘특공’ 서사와 새로운 ‘공공’의 상상력 — 소설 󰡔영원의 제로󰡕를 중심으로 — _ 7~31 ]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35624#listCita 서동주 _ 1 현대일본의 ‘특공’ 서사와 새로운 ‘공공’의 상상력 — 소설 󰡔영원의 제로󰡕를 중심으로 — _ 7~31 ]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35627#listCita 스기모토쇼고 _ 2 現代日本におけるキャラクター表現の位相 — 参加・拡散・未成熟 — _ 33~58 ]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35627#listCita 스기모토쇼고 _ 2 現代日本におけるキャラクター表現の位相 — 参加・拡散・未成熟 — _ 33~58 ]
437번째 줄: 360번째 줄:
* [http://www.kajt.co.kr/html/sub0301.html?journal=1&year=2004&issue=22734&searchType=title&searchValue= 오바타 미치히로 _ 10__일본과 동양의 분리의 논리 - 스테판 다나카 지음, 「일본 동양학의 구조」(박영재ㆍ함동주 옮김, 문학과 지성사, 2004년) _ 제6호 | 2004.04| pp.248-253 ]
* [http://www.kajt.co.kr/html/sub0301.html?journal=1&year=2004&issue=22734&searchType=title&searchValue= 오바타 미치히로 _ 10__일본과 동양의 분리의 논리 - 스테판 다나카 지음, 「일본 동양학의 구조」(박영재ㆍ함동주 옮김, 문학과 지성사, 2004년) _ 제6호 | 2004.04| pp.248-253 ]
* [http://www.kajt.co.kr/html/sub0301.html?journal=1&year=2004&issue=22734&searchType=title&searchValue= 사노 마사토 _ 11__미타니 노리마사(三谷憲正) 著, 『온돌과 다다미의 나라-근대 일본의 <조선관>』 _ 제6호 | 2004.04| pp.254-258 ]
* [http://www.kajt.co.kr/html/sub0301.html?journal=1&year=2004&issue=22734&searchType=title&searchValue= 사노 마사토 _ 11__미타니 노리마사(三谷憲正) 著, 『온돌과 다다미의 나라-근대 일본의 <조선관>』 _ 제6호 | 2004.04| pp.254-258 ]
* [http://www.kajt.co.kr/html/sub0301.html?journal=1&year=2004&issue=22733 한국일본사상사학회 _ 1__(고 송휘칠 교수 유고) 동아시아(한중일)문화의 상호이해와 대화의 지평 _ 제5호 | 2003.07| pp.13-21 ]
* [http://www.kajt.co.kr/html/sub0301.html?journal=1&year=2004&issue=22733 한국일본사상사학회 _ 1__[고 송휘칠 교수 유고] 동아시아(한중일)문화의 상호이해와 대화의 지평 _ 제5호 | 2003.07| pp.13-21 ]
* [http://www.kajt.co.kr/html/sub0301.html?journal=1&year=2004&issue=22733 김태호 _ 2__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와 민족주의 - 18C 일본 '國'學 사상론의 구성 요인과 통합 원리를 중심으로 - _ 제5호 | 2003.07| pp.23-51 ]
* [http://www.kajt.co.kr/html/sub0301.html?journal=1&year=2004&issue=22733 김태호 _ 2__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와 민족주의 - 18C 일본 '國'學 사상론의 구성 요인과 통합 원리를 중심으로 - _ 제5호 | 2003.07| pp.23-51 ]
* [http://www.kajt.co.kr/html/sub0301.html?journal=1&year=2004&issue=22733 임태홍 _ 3__천리교 교조 나카야마 미키의 빙의체험 - 체험의 구조와 사상을 중심으로 - _ 제5호 | 2003.07| pp.53-90 ]
* [http://www.kajt.co.kr/html/sub0301.html?journal=1&year=2004&issue=22733 임태홍 _ 3__천리교 교조 나카야마 미키의 빙의체험 - 체험의 구조와 사상을 중심으로 - _ 제5호 | 2003.07| pp.53-90 ]

제타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타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