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와 아들러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프로이트.jpg|200픽셀]]
[[파일:프로이트.jpg|200픽셀]]
  '''베스트셀러,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55606651?cat_id=50005779&frm=PBOKPRO&query=%EA%BF%88%EC%9D%98%ED%95%B4%EC%84%9D&NaPm=ct%3Dlb7ou534%7Cci%3D3238e663ba8a1591513091098a191be579f70b90%7Ctr%3Dboknx%7Csn%3D95694%7Chk%3D0135a8d6eec086b8905697b9a57ea675f7a54d3b 꿈의해석]"의 저자'''
  '''베스트셀러,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55606651?cat_id=50005779&frm=PBOKPRO&query=%EA%BF%88%EC%9D%98%ED%95%B4%EC%84%9D&NaPm=ct%3Dlb7ou534%7Cci%3D3238e663ba8a1591513091098a191be579f70b90%7Ctr%3Dboknx%7Csn%3D95694%7Chk%3D0135a8d6eec086b8905697b9a57ea675f7a54d3b 꿈의해석]"의 저자'''
 
;
* '''精神分析學 Psychoanalysis 정신의학, 심리학의 한 갈래.'''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제시한 학문이다.
;
인간의 행동을 개인 내적인, 사회적인 욕구의 표출 및 조화/부조화로 인한 갈등에 의한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프로이트는 이런 욕구들을 성적 욕구로 이해했지만 이후의 정신분석학자들은 다양한 다른 견해를 내놓았다. 정신분석학이 주류 심리학과 구별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의식의 연구 여부와 과학적 방법론이다. 심리학은 일반적으로 인간 의식의 영역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지만, 정신분석학에서는 감정과 욕망 생각 등이 의식에 의해 억압된 부분이 있다고 보며, 그 부분을 무의식이라고 설정하여 이 부분을 굉장히 중요시 여기며 연구한다(의식은 단순히 빙산의 일각이라고까지 표현한다). 물론 주류 심리학의 여러 갈래들이 모두 무의식을 완전히 무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무의식 개념을 사용하더라도 정신분석학의 그것과는 상당히 다른 개념인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혼동을 피하기 위해 무의식(unconscious)이 아닌 비의식(nonconscious)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서 사용한다.
*
*
*


==알프레드 아들러==
==알프레드 아들러==

제타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타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