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성씨)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이 (성씨)|이씨]]'''(발음의 성씨:'''[[이 (성씨)|이]])'''는 [[한국의 성씨]]다. 본관은 문헌에 451본 또는 546본이 전해지나 시조가 밝혀진 것은 120본 안팎이며, 100본 정도가 현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중에서도 전주(全州)·경주(慶州)·연안(延安)·전의(全義)·광주(廣州)·한산(韓山)·덕수(德水)·용인(龍仁)·여주(驪州)·성주(星州)·벽진(碧珍)·고성(固城)·우봉(牛峰)·진성(眞城)·함평(咸平)·영천(永川)·평창(平昌)·합천(陜川)·인천(仁川)·청해(靑海)·공주(公州)·양성(陽城)·부평(富平)·단양(丹陽)·수안(遂安)·광산(光山)·원주(原州)·재령(載寧)·우계(羽溪)·청주(淸州)·성산(星山)·함안(咸安)·안성(安城)·흥양(興陽)·홍주(洪州)·신평(新平)·덕산(德山)·고부(古阜)·청안(淸安)·수원(水原)·하빈(河濱)·안악(安岳)·진위(振威)·충주(忠州)·양산(陽山)·단성(丹城)·장수(長水)·사천(泗川)·진주(晉州)·봉산(鳳山)·가평(加平:朝宗)·상산(商山)·고령(高靈)·익흥(益興)·양산(梁山)·익산(益山)·태안(泰安)·정주(貞州)·아산(牙山)·평양(平壤)·영천(寧川)·순천(順天)·경산(京山)·창녕(昌寧)·개성(開城)·서림(西林)·금구(金溝)·영춘(永春)·담양(潭陽)·보은(報恩) 등이 주요 본으로 꼽힌다.
'''[[이 (성씨)|이씨]]'''는 [[한국의 성씨]]다. 본관은 문헌에 451본 또는 546본이 전해지나 시조가 밝혀진 것은 120본 안팎이며, 100본 정도가 현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중에서도 전주(全州)·경주(慶州)·연안(延安)·전의(全義)·광주(廣州)·한산(韓山)·덕수(德水)·용인(龍仁)·여주(驪州)·성주(星州)·벽진(碧珍)·고성(固城)·우봉(牛峰)·진성(眞城)·함평(咸平)·영천(永川)·평창(平昌)·합천(陜川)·인천(仁川)·청해(靑海)·공주(公州)·양성(陽城)·부평(富平)·단양(丹陽)·수안(遂安)·광산(光山)·원주(原州)·재령(載寧)·우계(羽溪)·청주(淸州)·성산(星山)·함안(咸安)·안성(安城)·흥양(興陽)·홍주(洪州)·신평(新平)·덕산(德山)·고부(古阜)·청안(淸安)·수원(水原)·하빈(河濱)·안악(安岳)·진위(振威)·충주(忠州)·양산(陽山)·단성(丹城)·장수(長水)·사천(泗川)·진주(晉州)·봉산(鳳山)·가평(加平:朝宗)·상산(商山)·고령(高靈)·익흥(益興)·양산(梁山)·익산(益山)·태안(泰安)·정주(貞州)·아산(牙山)·평양(平壤)·영천(寧川)·순천(順天)·경산(京山)·창녕(昌寧)·개성(開城)·서림(西林)·금구(金溝)·영춘(永春)·담양(潭陽)·보은(報恩) 등이 주요 본으로 꼽힌다.


조선에서 문과 급제자 총 1만 5547명 중 이씨가 3,190명으로 5분의 1 이상을 차지하며, 또 상신 총 370명 중 약 19%인 68명, 대제학(문형)은 총 133명 중 23%인 30명을 차지한다. 통계를 보면 이씨 가운데서도 각 본관별 우열이 드러나며, 100여 본이 되는 이씨 중에서 그 주류를 이루는 것은 30본 미만이다. 그 중에서 전주이씨(璿派)를 비롯하여 이름난 가문으로는 연안이씨의 월사(月沙) 가문을 들 수 있다. 월사 이정구(李廷龜)의 자손에서만 3대 대제학과 부자 대제학 등 6명의 대제학이 배출되었다.
조선에서 문과 급제자 총 1만 5547명 중 이씨가 3,190명으로 5분의 1 이상을 차지하며, 또 상신 총 370명 중 약 19%인 68명, 대제학(문형)은 총 133명 중 23%인 30명을 차지한다. 통계를 보면 이씨 가운데서도 각 본관별 우열이 드러나며, 100여 본이 되는 이씨 중에서 그 주류를 이루는 것은 30본 미만이다. 그 중에서 전주이씨(璿派)를 비롯하여 이름난 가문으로는 연안이씨의 월사(月沙) 가문을 들 수 있다. 월사 이정구(李廷龜)의 자손에서만 3대 대제학과 부자 대제학 등 6명의 대제학이 배출되었다.


그밖에 덕수이씨·경주이씨·광주이씨·한산이씨·전의이씨·용인이씨 등 이름난 가문들이 많다. 통계청의 '인구주택 총조사(2000년 12월)'에 따르면 이씨가 211만 3007가구에 679만 4637명이었으며 전국 인구구성비 14.8%로 286성(귀화성씨 제외) 가운데 김씨(992만 5949명)에 이어 2위를 나타냈다. 이중 서울에 22.1%, 경기도에 20.7%가 거주하고, 나머지는 각 도(道)와 광역시에 고루 분포한다.
그밖에 덕수이씨·경주이씨·광주이씨·한산이씨·전의이씨·용인이씨 등 이름난 가문들이 많다. 통계청의 '인구주택 총조사(2000년 12월)'에 따르면 이씨가 211만 3007가구에 679만 4637명이었으며 전국 인구구성비 14.8%로 286성(귀화성씨 제외) 가운데 김씨(992만 5949명)에 이어 2위를 나타냈다. 이중 서울에 22.1%, 경기도에 20.7%가 거주하고, 나머지는 각 도(道)와 광역시에 고루 분포한다.

제타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타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