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분석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analysis of variance; ANOVA
;분산분석, 변량분석
==개요==
==개요==
;analysis of variance (ANOVA)
*동일한 모집단에 속하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증
;분산분석, 변량분석, 아노바
*집단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분석
*분산의 근원을 찾고 통계적 유의도를 확인
*분산의 근원을 찾고 통계적 유의도를 확인
* 동일한 모집단에 속하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증
* 여러 모집단의 평균을 동시에 비교하는 통계분석
* 집단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지를 검증
* 2집단일 때는 [[t 검정]]과 동일함
{| class='wikitable'
| 영가설 || <math>H_0: μ_1 = μ_2 = μ_3 = … =  μ_k</math>
|-
| 대립가설 || <math>H_1: μ_i ≠ μ_j</math>
|}


==개념==
==개념==
19번째 줄: 12번째 줄:
*종속변수 Y: 학업성취도
*종속변수 Y: 학업성취도


측정된 수업방식별 성취도 평균이 강의식 46점, 토론식 50점, 실습식 54점이라고 하자. 분산에 따라 A(분산 작음) 혹은 B(분산 큼)와 같은 분포로 나타날 수 있다.<ref>이해를 돕기 위해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나는 예시를 들었다.</ref>
측정된 수업방식별 성취도 평균이 강의식 46점, 토론식 50점, 실습식 54점이라고 하자. 분산에 따라 A(분산 작음) 혹은 B(분산 큼)와 같은 분포로 나타날 수 있다.<ref>이해를 돕기 위해 과장되게 표현되었다.</ref>


[[파일:anova_data_case.png]]
[[파일:anova_data_case.png]]
26번째 줄: 19번째 줄:
*자료 A는 분산이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집단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자료 A는 분산이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집단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자료 B는 분산이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집단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자료 B는 분산이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집단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 기본적으로 분산이 워낙 크기 때문에, 표본을 추출하다보면 이 정도의 평균 차이는 흔한 일이다. 즉 수업방식이 성취도에 영향을 준다고 확신하기 어렵다.
:→ 기본적으로 분산이 워낙 크기 때문에, 표본을 추출하다보면 이 정도의 평균 차이는 흔한 일이다(=수업방식이 성취도에 영향을 준다고 확신하기 어렵다).
 
==종류==
*[[일원분산분석]]
*[[이원분산분석]]
*[[다변량분산분석]]
 
==같이 보기==
* [[t 검증]]
* [[공분산분석]]
* [[영가설, 대립가설]]
* [[가설검정]]
* [[Hoyt 신뢰도]]
* [[사후분석]]


==참고==
==주석==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5384&cid=3622&categoryId=3888
<references/>


[[분류:분산분석]]
[[분류: 통계]]

제타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타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