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로우 캔들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
;Mellow Candle
| align="center" | http://www.siwan.co.kr/2/image/0000/0021.jpg
;멜로우 캔들
|}
* 아일랜드의 프로그레시브 포크 록밴드
2. sheep Season <br/>
* 장르: 포크록, 프로그레시브록
3. Silver Song <br/>
* 활동시기: 1965년 ~ 1973년
4. The Poet And The Witch <br/>
*  [http://cafe.daum.net/sarf/MYsN/2266 Mellow Candle -  Virgin Prophet 【AR Review _ 13,92】]
5. Messenger Birds <br/>
* [http://wivern.tistory.com/m/1958 Mellow Candle - Swaddling Songs[2013/04/25]【wi】]
6. Dan The Wing <br/>
* [http://www.sobaworld.co.kr/18207 Mellow Candle - The Virgin Prophet【sb】]
7. Reverend Sisters <br/>
*  [http://cafe.daum.net/s7arf/MYsN/1141 Mwllow Candle -  Swaddling Songs 【AR Review _ 6,47】]
8. Break Your Token <br/>
9. Buy Or Beware <br/>
10. Vile Excess <br/>
11. Lonely Man <br/>
12. Boulders On My Grave ||


==Swaddling Songs==
== # The Virgin Prophet ==
* 1. Heaven Heath
HEAVEN HEATH
* 2. Sheep Season
SHEEP SEASON
* 3. Silver Song
SILVERSONG
* 4. The Poet And The Witch
THE POET AND THE WITCH
* 5. Messenger Birds
MESSENGER BIRDS
* 6. Dan The Wing
DAN THE WING
* 7. Reverend Sisters
REVEREND SISTERS
* 8. Break Your Token
BREAK TOUR TOKEN
* 9. Buy Or Beware
BUY OR BEWARE
* 10. Vile Excess
VILE EXCESSES
* 11. Lonely Man
LONELY MAN
* 12. Boulders On My Grave
BOULDERS ON MY GRAVE


=== # 맹한호 ===
Mellow Candle / The Virgin Prophet
Mellow Candle의 과거보기
 
3년, 바로 3년전 이맘때 국내 포크 매니아들은 시완 레코드에서 발표될 음반 리스트에 가슴을 설레여야만 했고, 그 여파는 오히려 따스한 열풍으로 불어왔었다. 그 열풍은 선택을 위한 갈등이나 고민 같은 핑계가 존재킬 원치 않았다. 그 당시의 라이센스화되는 브리티쉬 포크록 앨범들은 대부분 구하기 쉽지 않은 명반이란 울타리 안에 속하는 것들이었기에 더 그러했다.<br/>
오로지 열받게 하는 것은 왜 이렇게 한꺼번에 몰려나오는가에 대한 행복한 투정뿐이었다. 그 행복한 시간의 시작을 알렸던 Mellow Candle, 과연 그들의 미 발표 곡과 초기 버전의 곡들이 담긴 본작 (The Virgin Prophet)가, 이제는 거의 식어 버린 브리티쉬 포크 록의 열기에 새로운 불씨를 더해 줄 수 있을까? 그 답은 Kissing Spell의 Erewbon Underground Folk-Rock Series 1968-1978의 한 작품인 본 작에 연이어 1997년의 시작과 함께 소개될 작품, Mellow Candle의 David Williams과 Alison Williams이 South Africa에서 Filbbertigibbet을 결성하여 발표한 1978년작인 (Whistling Jigs To The Moon)에서 찾아보도록 하자.
 
총 15곡을 싣고 있는 이 앨범에서 우리가 완전히 새롭게 접할 수 있는 곡은 3분의 1에 해당하는 5곡이다. 나머지 10곡은 (Swaddling Songs)에서 Clodagh의 영롱한 피아노 음과 함께 빛을 발하고 있는 Alison의 목소리가 돋보였던 (Messenger Bird)와 이 앨범에서 그 중 기억 속에 평범한 곡으로 남아 있는 (Vile Excesses)가 빠진 곡들이다. 새롭지 않다는 이유로 본 작을 자세히 비교해 보지 않고 소홀히 감상하다 보면 (Swaddling Songs) 앨범과의 차이를 틀림없이 감지하지 못할 것이다. 물론 곡의 순서가 다르기 때문에 덜하리라 여겨지긴 하지만, 좀 더 새롭게 듣기 위해서 그럼 이번에는 곡 순서를 원곡이 실린 (Swaddling Songs)앨범과 같도록 CD 플레이어를 프로그램해서 다시 들어보자. 원곡보다 빠른 속도의 연주로 힘차게 시작되는 첫곡 (Heaven Health)는 원곡이 하프시코드를 주로 하여 연주한데 비해, 평범한 톤의 피아노 연주 위에 올라탄 굵직한 베이스 음이 강한 첫 인상을 심어 주며, 원곡에는 없던 기타와 남성 하모니가 새롭게 들리고 있다. 이 곡이 먼저 녹음되었다는 점을 감안해 보면, 그들 스스로 이런 훌륭한 편곡에 만족해하지 못했을 것이고 그래서 원곡을 다시 제작했을 거란 추측에 경이로움마저 느껴진다. 맛깔스런 기타의 끝마무리가 인상적이다.<br/>
Mellow Candle의 전도자라 해도 무방할 한 써클 선배형이 가장 좋아하는 (Sheep Season)을 필자는 이번에야 비로소 새롭게 그 진가를 깨달을 수 있었다. 피아노로 조용히 시작되어 부드러운 보컬과 이어지는 하모니, 잔잔한 기타와 피아노의 어울림은 종반으로 흐르면서 기타의 리드로 변하고 다시 Clodagh가 연주하는 피아노의 노련한 연주에 그 자리를 내준다. 이런 느낌은 계산되고 이펙트 처리된 기타 음과 다소 느린 곡 진행, 그리고 목관악기 음을 연상시키는 멜로트론 음향이 가미된 원곡의 원숙미와는 사뭇 다른 느낌을 준다.<br/>
(Silver Song)은 원곡이 피아노와 첼로의 굵은 톤이 가녀린 인상을 주는 여성보컬과 그녀의 속삭이는 듯한 기타 연주가 보호 본능을 자극한다면, 이 곡은 굵은 베이스와 담담한 톤의 여성보컬이 다소 건조한 느낌을 주긴 하지만 간주의 여성 스켓이 색다름을 전해 준다. 파도치는 바다 위를 날아다니는 갈매기 소리와 함께 Clodagh의 힘있는 목소리와 피아노 연주가 드럼이란 튼튼한 돌다리 위를 마치 뛰노는 듯한 느낌의 원곡과는 달리 (The Poet And The Witch)는 드럼이 빠져 있어 다소 그 힘을 잃은 듯 하다. (Dan The Wing)은 원곡과 거의 구별이 안되는 곡으로 굳이 차이가 있다면 기타 톤에서 다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언제 들어도 이 곡에서 두 여성은 서로 질 줄을 모르는 것 같다. 들을 때마다 르네상스를 연상시키는 (Reverend Sisters)는 원곡보다 더 단순하면서도 더 어두운 코드의 피아노 연주에서 마치 어린이가 보기에는 어렵고 무거운 주제의 일본 만화영화를 보는 듯한, 그러면서도 신비한 느낌이 들게 하는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이어지는 (Break Your Token)도 드럼 연주가 없다는 것 외에는 원곡과 차이가 없다. 전체적으로 원곡들이 연주보다는 보컬에 취중을 두고서 다소 여유 있는 곡의 흐름을 진행시켰던 것처럼, 이 곡 (Buy Or Beware)도 원곡보다는 더 두드러지고 강한 남성 보컬과 기타 연주를 들려준다. 초반부터 들리는 David의 기타 소리와 함께 원곡과 다름없는 (Lonely Man)>이 흐르고 난 다음, (Boulders on My Grave)가 원곡보다는 단순하지만 힘있게 들려 온다. 이만한 끝곡도 없지 하는 생각이 들게 하는 아쉬움을 남기는 곡이다.<br/>
이 앨범만의 고유 넘버인 5곡 중 차분하고 안정된 그러면서도 강한 파도의 힘이 느껴지는 (Waterman Weatherman)과 이 앨범의 타이틀 곡인 (The Virgin Prophet)에서 장엄한 피아노 연주와 함께 참회의 아름다음을 이야기해 주는 천사의 목소리도 들을 수 있다.
 
글/황상진
 
== # 맹한호 ==
Mellow Candle의 유일작 "Swaddling Songs"
Mellow Candle의 유일작 "Swaddling Songs"


44번째 줄: 61번째 줄:
글 - 맹한호
글 - 맹한호


=== # 조영래 ===
== # 조영래 ==
# 앨범 : Swaddling Songs (1972)
# 앨범 : Swaddling Songs (1972)
# 아티스트 : Mellow Candle
# 아티스트 : Mellow Candle
65번째 줄: 82번째 줄:
:Forest 「The Full Circle」
:Forest 「The Full Circle」


=== # 장태순  ===
== # 장태순  ==
영국 출신의 5인조 포크록 그룹 MellowCandle이 1972년에 발표한 그들의 유일작 <Swaddling Song>. 그들의 라인업을 잠깐 살펴보면, Clodagh Simonds(보컬, 피아노), Alison  Williams(보컬), David Williams(기타), Frank Boylan(베이스), William A. Murray(드럼) 등 모두 5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국 출신의 5인조 포크록 그룹 MellowCandle이 1972년에 발표한 그들의 유일작 <Swaddling Song>. 그들의 라인업을 잠깐 살펴보면, Clodagh Simonds(보컬, 피아노), Alison  Williams(보컬), David Williams(기타), Frank Boylan(베이스), William A. Murray(드럼) 등 모두 5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79번째 줄: 96번째 줄:
치 어둠을 밝히는 촛불처럼 아름답게 빛나고 있다.
치 어둠을 밝히는 촛불처럼 아름답게 빛나고 있다.


- LaFolia의음악노트, 1994.07.30
- [[LaFolia의음악노트]], 1994.07.30
 
== # The Virgin Prophet ==
HEAVEN HEATH
SHEEP SEASON
SILVERSONG
THE POET AND THE WITCH
MESSENGER BIRDS
DAN THE WING
REVEREND SISTERS
BREAK TOUR TOKEN
BUY OR BEWARE
VILE EXCESSES
LONELY MAN
BOULDERS ON MY GRAVE
 
Mellow Candle / The Virgin Prophet
Mellow Candle의 과거보기
 
3년, 바로 3년전 이맘때 국내 포크 매니아들은 시완 레코드에서 발표될 음반 리스트에 가슴을 설레여야만 했고, 그 여파는 오히려 따스한 열풍으로 불어왔었다. 그 열풍은 선택을 위한 갈등이나 고민 같은 핑계가 존재킬 원치 않았다. 그 당시의 라이센스화되는 브리티쉬 포크록 앨범들은 대부분 구하기 쉽지 않은 명반이란 울타리 안에 속하는 것들이었기에 더 그러했다.<br/>
오로지 열받게 하는 것은 왜 이렇게 한꺼번에 몰려나오는가에 대한 행복한 투정뿐이었다. 그 행복한 시간의 시작을 알렸던 Mellow Candle, 과연 그들의 미 발표 곡과 초기 버전의 곡들이 담긴 본작 (The Virgin Prophet)가, 이제는 거의 식어 버린 브리티쉬 포크 록의 열기에 새로운 불씨를 더해 줄 수 있을까? 그 답은 Kissing Spell의 Erewbon Underground Folk-Rock Series 1968-1978의 한 작품인 본 작에 연이어 1997년의 시작과 함께 소개될 작품, Mellow Candle의 David Williams과 Alison Williams이 South Africa에서 Filbbertigibbet을 결성하여 발표한 1978년작인 (Whistling Jigs To The Moon)에서 찾아보도록 하자.
 
총 15곡을 싣고 있는 이 앨범에서 우리가 완전히 새롭게 접할 수 있는 곡은 3분의 1에 해당하는 5곡이다. 나머지 10곡은 (Swaddling Songs)에서 Clodagh의 영롱한 피아노 음과 함께 빛을 발하고 있는 Alison의 목소리가 돋보였던 (Messenger Bird)와 이 앨범에서 그 중 기억 속에 평범한 곡으로 남아 있는 (Vile Excesses)가 빠진 곡들이다. 새롭지 않다는 이유로 본 작을 자세히 비교해 보지 않고 소홀히 감상하다 보면 (Swaddling Songs) 앨범과의 차이를 틀림없이 감지하지 못할 것이다. 물론 곡의 순서가 다르기 때문에 덜하리라 여겨지긴 하지만, 좀 더 새롭게 듣기 위해서 그럼 이번에는 곡 순서를 원곡이 실린 (Swaddling Songs)앨범과 같도록 CD 플레이어를 프로그램해서 다시 들어보자. 원곡보다 빠른 속도의 연주로 힘차게 시작되는 첫곡 (Heaven Health)는 원곡이 하프시코드를 주로 하여 연주한데 비해, 평범한 톤의 피아노 연주 위에 올라탄 굵직한 베이스 음이 강한 첫 인상을 심어 주며, 원곡에는 없던 기타와 남성 하모니가 새롭게 들리고 있다. 이 곡이 먼저 녹음되었다는 점을 감안해 보면, 그들 스스로 이런 훌륭한 편곡에 만족해하지 못했을 것이고 그래서 원곡을 다시 제작했을 거란 추측에 경이로움마저 느껴진다. 맛깔스런 기타의 끝마무리가 인상적이다.<br/>
Mellow Candle의 전도자라 해도 무방할 한 써클 선배형이 가장 좋아하는 (Sheep Season)을 필자는 이번에야 비로소 새롭게 그 진가를 깨달을 수 있었다. 피아노로 조용히 시작되어 부드러운 보컬과 이어지는 하모니, 잔잔한 기타와 피아노의 어울림은 종반으로 흐르면서 기타의 리드로 변하고 다시 Clodagh가 연주하는 피아노의 노련한 연주에 그 자리를 내준다. 이런 느낌은 계산되고 이펙트 처리된 기타 음과 다소 느린 곡 진행, 그리고 목관악기 음을 연상시키는 멜로트론 음향이 가미된 원곡의 원숙미와는 사뭇 다른 느낌을 준다.<br/>
(Silver Song)은 원곡이 피아노와 첼로의 굵은 톤이 가녀린 인상을 주는 여성보컬과 그녀의 속삭이는 듯한 기타 연주가 보호 본능을 자극한다면, 이 곡은 굵은 베이스와 담담한 톤의 여성보컬이 다소 건조한 느낌을 주긴 하지만 간주의 여성 스켓이 색다름을 전해 준다. 파도치는 바다 위를 날아다니는 갈매기 소리와 함께 Clodagh의 힘있는 목소리와 피아노 연주가 드럼이란 튼튼한 돌다리 위를 마치 뛰노는 듯한 느낌의 원곡과는 달리 (The Poet And The Witch)는 드럼이 빠져 있어 다소 그 힘을 잃은 듯 하다. (Dan The Wing)은 원곡과 거의 구별이 안되는 곡으로 굳이 차이가 있다면 기타 톤에서 다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언제 들어도 이 곡에서 두 여성은 서로 질 줄을 모르는 것 같다. 들을 때마다 르네상스를 연상시키는 (Reverend Sisters)는 원곡보다 더 단순하면서도 더 어두운 코드의 피아노 연주에서 마치 어린이가 보기에는 어렵고 무거운 주제의 일본 만화영화를 보는 듯한, 그러면서도 신비한 느낌이 들게 하는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이어지는 (Break Your Token)도 드럼 연주가 없다는 것 외에는 원곡과 차이가 없다. 전체적으로 원곡들이 연주보다는 보컬에 취중을 두고서 다소 여유 있는 곡의 흐름을 진행시켰던 것처럼, 이 곡 (Buy Or Beware)도 원곡보다는 더 두드러지고 강한 남성 보컬과 기타 연주를 들려준다. 초반부터 들리는 David의 기타 소리와 함께 원곡과 다름없는 (Lonely Man)>이 흐르고 난 다음, (Boulders on My Grave)가 원곡보다는 단순하지만 힘있게 들려 온다. 이만한 끝곡도 없지 하는 생각이 들게 하는 아쉬움을 남기는 곡이다.<br/>
이 앨범만의 고유 넘버인 5곡 중 차분하고 안정된 그러면서도 강한 파도의 힘이 느껴지는 (Waterman Weatherman)과 이 앨범의 타이틀 곡인 (The Virgin Prophet)에서 장엄한 피아노 연주와 함께 참회의 아름다음을 이야기해 주는 천사의 목소리도 들을 수 있다.
 
글/황상진
 
== 참고 ==
* [[Trees]]


==참고==
----
* {{영어위키백과|Mellow Candle}}


[[분류:영국 록]]
[[분류:대중음악]]
[[분류: 아일랜드 록]]
[[분류:LaFolia의음악노트]]
[[분류:LaFolia의음악노트]]

제타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타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