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뭉치언어학 원론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 말뭉치는 언어를 실체로 접근할 수 있는 토대이다. 하지만 언어의 특성상 맥락에 따라 모호하며 객관적일 수는 없다. 상대적으로 객관성을 지향할 뿐이다.
** 말뭉치는 언어를 실체로 접근할 수 있는 토대이다. 하지만 언어의 특성상 맥락에 따라 모호하며 객관적일 수는 없다. 상대적으로 객관성을 지향할 뿐이다.
** 어휘는 사용되면서 의미를 획득해나간다. 실체가 아니라 과정이다. '''의미는 맥락에서 출현한다.'''
** 어휘는 사용되면서 의미를 획득해나간다. 실체가 아니라 과정이다. '''의미는 맥락에서 출현한다.'''
** white ↔ black | white wine ↔ red wine | white collar ↔ blue collar -- [[사용자:Pinkcrimson|거북이]] 2007-9-20 9:51 pm
** white ↔ black | white wine ↔ red wine | white collar ↔ blue collar -- [[거북이]] 2007-9-20 9:51 pm


==같이 보기==
==같이 보기==

제타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타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