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계정 생성 useradd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리눅스 계정 만들기
;리눅스 계정 만들기
;리눅스 계정 생성
;리눅스 계정 생성
;useradd, adduser
{{메타|리눅스 계정만들기}}
;/usr/sbin/useradd, /usr/sbin/adduser<ref>adduser는 useradd로 연결됨(심볼릭링크)</ref>


==계정이 있는지 확인==
==계정이 있는지 확인==
<syntaxhighlight lang='bash'>
<source lang='bash'>
cat /etc/passwd | grep 계정명
cat /etc/passwd | grep 계정명
</syntaxhighlight>
</source>
<syntaxhighlight lang='console'>
<source lang='dos'>
[root@zetawiki ~]# cat /etc/passwd | grep testuser
[root@jmnote ~]# cat /etc/passwd | grep testuser
</syntaxhighlight>
</source>
:→ 결과 없음. 즉 testuser 계정 없음.
:→ 결과 없음. 즉 testuser 계정 없음.


==홈폴더+쉘환경 지정 ★==
==계정+홈 생성==
{{소스헤더|우분투, SUSE, Arch의 경우}}
<source lang='bash'>
<syntaxhighlight lang='bash'>
useradd -m -s /bin/bash 계정명
</syntaxhighlight>
:→ <code>-m</code> 옵션을 명시해야 홈 디렉토리가 생성됨
:→ <code>-s /bin/bash</code> 옵션을 명시해야 쉘 환경이 설정됨
{{소스헤더|CentOS}}
<syntaxhighlight lang='bash'>
useradd 계정명
useradd 계정명
</syntaxhighlight>
</source>
:→ CentOS 등 [[레드햇 계열]]에서는 아무 옵션을 주지 않아도 디렉토리 생성되고 쉘 환경이 설정됨
:레드햇 계열이 이러하고, SUSE의 경우에는 -m 옵션을 붙여서 디렉토리가 함께 생성된다.


===실행예시===
===실행예시===
<syntaxhighlight lang='console'>
<source lang='dos'>
[root@zetawiki ~]# useradd testuser
[root@jmnote ~]# useradd testuser
[root@zetawiki ~]# cat /etc/passwd | grep testuser
[root@jmnote ~]# cat /etc/passwd | grep testuser
testuser:x:500:500::/home/testuser:/bin/bash
testuser:x:500:500::/home/testuser:/bin/bash
</syntaxhighlight>
</source>
:→ testuser 계정을 만들었다. [[UID]]와 [[GID]]는 500, 홈폴더는 /home/testuser 이고, bash 셸 사용이 가능하다.
:→ testuser 계정을 만들었다. [[UID]]와 [[GID]]는 500, 홈폴더는 /home/testuser 이고, bash 셸 사용이 가능하다.
<syntaxhighlight lang='console'>
<source lang='dos'>
[root@zetawiki~]# echo 'P@ssw0rd' | passwd --stdin testuser
[root@jmnote~]# echo 'P@ssw0rd' | passwd --stdin testuser
Changing password for user testuser.
Changing password for user testuser.
passwd: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
passwd: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
</syntaxhighlight>
</source>
:→ testuser 계정의 패스워드를 [[P@ssw0rd]] 로 설정하였다.
:→ testuser 계정의 패스워드를 [[P@ssw0rd]] 로 설정하였다.


==그룹 지정하여 만들기==
==그룹 지정하여 만들기==
{{참고|리눅스 useradd 그룹 지정하여 만들기}}
;명령어
{{소스헤더|명령어}}
<source lang='bash'>
<syntaxhighlight lang='bash'>
useradd 계정명 -G 그룹명
useradd 계정명 -G 그룹명
</syntaxhighlight>
</source>
:<code>-G</code> 옵션: 그룹명이 없을 경우 사용(생성)
:<code>-g</code> 옵션: 기존 그룹이 있을 경우 사용


==UID 지정하여 만들기==
==UID 지정하여 만들기==
사용자아이디(User ID; UID)는 숫자이다.
사용자아이디(User ID; UID)는 숫자이다.
<syntaxhighlight lang='bash'>
<source lang='bash'>
useradd 계정명 -u 사용자아이디
useradd 계정명 -u 사용자아이디
</syntaxhighlight>
</source>


==같이 보기==
==같이 보기==
*[[리눅스 쉘권한 없는 계정 생성]]
*[[리눅스 여러 그룹에 속한 계정 생성]]
*[[리눅스 홈디렉토리 없이 계정 만들기]]
*[[리눅스 홈디렉토리 변경]] (usermod 사용)
*[[리눅스 계정 있는지 확인]]
*[[리눅스 계정 있는지 확인]]
*[[리눅스 계정 삭제 userdel]]
*[[리눅스 계정 삭제하기]]
*[[리눅스 계정 변경 usermod]]
*[[리눅스 계정 그룹 변경하기]]
*[[리눅스 계정 그룹 변경하기]]
*[[리눅스 계정 목록 확인하기]]
*[[리눅스 계정 목록 확인하기]]
*[[리눅스 특정 파일 보기 권한 주기]]
*[[리눅스 특정 파일 보기 권한 주기]]
*[[리눅스 파일 소유자 변경 chown]]
 
*[[/etc/default/useradd]]
*[[윈도우 계정 생성]]
*[[윈도우 계정 생성]]
==참고==
*http://kazmax.zpp.jp/linux_beginner/useradd.html


[[분류:리눅스 계정]]
[[분류:리눅스 계정]]

제타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타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