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야학독본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노동야학독본
;노동야학독본


* [[유길준]]의 저서
* [[유길준]]의 저서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9964950 조윤정 번역]


== 목차 비교 ==
== 목차 비교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과 !! 노동야학독본 !! 과 !! 노동야학
! 과 !! 노동야학 !! 노동야학독본
|-
| 1 || 人(사람) || 1 || 사람
|-
| 2 || 人(사람)의道理 || 2 || 사람의道理
|-
| 3 || 人(사람)의權利 || 3 || 사람의權利 ▲
|-
| 4 || 人(사람)의義務 || 4 || 사람의義務 ▲★
|-
| 5 || 人(사람)의資格 || 5 || 사람의資格
|-
| 6 || 人(사람)의職業 || 6 || 사람의職業 ▲
|-
| 7 || 人(사람)의福祿 || 7 || 사람의福祿
|-
| 8 || 六條歌 || 8 || 여섯가지노래
|-
| 9 || 我身(내몸) || 9 || 내몸
|-
| 10 || 我家(내집) || 10 || 내집
|-
| 11 || 吾君(우리님금) || 11 || 우리님금▼
|-
| 12 || 我國(우리나라) || 12 || 우리나라★
|-
| 13 || 愛國歌 ||  ||
|-
|  ||  || 13 || 父母에게孝ᄒᆞ라
|-
| 14 || 食(밥)과衣(옷)과家(집) || 14 || 밥과옷과집
|-
| 15 || 我活(나사)는노릇 || 15 || 나사는노릇
|-
| 16 || 力役(힘역사) || 16 || 힘역사
|-
| 17 || 勞動(로동)의定業(뎡업) || 17 || 勞動의定業
|-
| 18 || 勞動(로동)의雜業(잡업) || 18 || 勞動의雜業
|-
| 19 || 勞動(로동)의正直(졍딕) || 19 || 勞動의正直
|-
| 20 || 勞動(로동)의誠實(셩실) || 20 || 勞動의誠實
|-
| 21 || 勞動(로동)의勤勉(근면) || 21 || 勞動의勤勉
|-
| 22 || 勞動(로동)의巨祿(거록)ᄒᆞᆫ事(일) || 22 || 勞動의거록ᄒᆞᆷ
|-
| 23 || 勞動歌(로동가) || 23 || 勞動歌
|-
|  ||  || 24 || 樹木을심으라
|-
| 24 || 勞動演說(로동연셜) 一 || 25 || 勞動演說 一
|-
| 25 || 勞動演說 二 || 26 || 勞動演說 二
|-
| 26 || 勞動演說 三 || 27 || 勞動演說 三
|-
| 27 || 勞動演說 四 || 28 || 勞動演說 四
|-
| 28 || 勞動演說 五 || 29 || 勞動演說 五
|-
| 29 || 勞動演說 六 || 30 || 勞動演說 六
|-
| 30 || 演說(연셜)에對ᄒᆞ答辭 || 31 || 演說에대ᄒᆞ는답사
|-
| 31 || 高皇帝(고황뎨)의子孫되는國民 || 32 || 高皇帝의子孫되는國民
|-
| 32 || 國民되는義務 ||  ||
|-
|  ||  || 33 || 친구
|-
| 33 || 道德 ||  || 36장
|-
| 34 || 사람의自由 || 34 || 사람의自由 ▲
|-
|  ||  || 35 || 나라의法令
|-
|  ||  || 36 || 道德 ★
|-
| 35 || 人의相助(셔로도)음 || 37 || 사람의셔로도음
|-
| 36 || 錢(돈) || 38 || 돈(錢)
|-
|  ||  || 39 || 時間은財産이라
|-
| 37 || 儉約 || 40 || 儉約ᄒᆞ라 ▲
|-
|-
|   ||   || 41 || 貯蓄ᄒᆞ라
| 1 || 사람 || 人(사람)
|-
|-
| 38 || 約束 || 42 || 約束을직히라
| 2 || 사람의道理 || 人(사람)의道理
|-
|-
| 39 || 眞言(참말삼)ᄒᆞ는일 || 43 || 참말삼ᄒᆞ는일
| 3 || 사람의權利 ▲ || 人(사람)의權利
|-
|-
| 40 || 慈善(자션) ||  || 
| 4 || 사람의義務 ▲★ || 人(사람)의義務
|-
|-
| 41 || 淸潔 ||   || 
| 5 || 사람의資格 || 人(사람)의資格
|-
|-
| 42 || 勇氣(용긔) ||  || 
| 6 || 사람의職業 ▲ || 人(사람)의職業
|-
|-
| 43 || 團合 ||   || 
| 7 || 사람의福祿 || 人(사람)의福祿
|-
|-
| 44 || 奮發 ||   || 
| 8 || 여섯가지노래 || 六條歌
|-
|-
| 45 || 秩序(질셔) ||  || 
| 9 || 내몸 || 我身(내몸)
|-
|-
| 46 || 獨立 ||   || 
| 10 || 내집 || 我家(내집)
|-
|-
| 47 || 競爭 || 44 || 競爭
| 11 || 우리님금▼ || 吾君(우리님금)
|-
|-
| 48 || 競爭演說(경쟁연셜) || 45 || 競爭演說
| 12 || 우리나라★ || 我國(우리나라)
|-
|-
| 49 || 外國사람과交際(교졔)ᄒᆞ는事(일) || 46 || 外國사람과교졔ᄒᆞ는일
| 13 || 父母에게孝ᄒᆞ라 ||  
|-
|-
| 50 || 自(스사)로助()음 || 47 || 스사로도음
| 13 || || <strike>愛國歌(애국가)</strike>
|}
|}
* 조윤정. (2018). 유길준의 『노동야학독본』과 『노동야학』 비교 고찰. , (19), 245-282.
* ▼▲★ : 문장 단위 이상의 삭제 / 추가 / 대체가 있었던 장을 표시


==참고==
==참고==

제타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타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