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nk Floyd AI

핑크 플로이드(Pink Floyd)는 철학적인 가사, 음향 실험, 정교한 라이브 공연으로 유명한 영국의 록 밴드이다. 이들은 사이키델릭 록의 선구자 중 하나로 출발하여 프로그레시브 록의 대표적인 밴드로 발전했으며,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상업적으로 성공하고 문화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미친 그룹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2] 총 2억 5천만 장 이상의 음반 판매고를 기록하며 역대 음반 판매량 순위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1973년 발매된 The Dark Side of the Moon은 전 세계적으로 4,500만 장 이상 판매되어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앨범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3][4]

초기 밴드는 창립 멤버이자 독창적인 리더였던 시드 배럿(Syd Barrett)의 주도하에 1960년대 런던의 언더그라운드 씬에서 사이키델릭 록의 선구자로 명성을 얻었다.[5][6] 배럿의 기발한 동요 같은 팝 감성과 아방가르드한 우주적 즉흥 연주가 결합된 데뷔 앨범 The Piper at the Gates of Dawn(1967)은 영국 사이키델리아의 정수로 평가받는다.[7][8] 그러나 배럿이 약물 남용과 정신 건강 문제로 밴드를 떠나면서, 핑크 플로이드는 기타리스트 데이비드 길모어(David Gilmour)를 영입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모색하는 과도기에 접어들었다.[9][10] 이 시기 밴드는 영화 사운드트랙 작업과 실험적인 앨범들을 통해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감행했으며, Meddle(1971)에 수록된 대곡 'Echoes'를 통해 이후 그들의 사운드를 정의할 서사적이고 공간감 있는 스타일의 초석을 다졌다.[11][12]

1973년 The Dark Side of the Moon의 전 세계적인 성공으로 핑크 플로이드는 슈퍼스타의 반열에 올랐다. 이 앨범을 기점으로 베이시스트 로저 워터스(Roger Waters)는 밴드의 주요 작사가이자 개념적 리더로 부상했으며, 이후 Wish You Were Here(1975), Animals(1977), The Wall(1979)에 이르는 일련의 콘셉트 앨범을 통해 현대 사회의 소외, 광기, 탐욕, 권력 비판 등 철학적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었다.[13][14] 이 시기 핑크 플로이드는 최첨단 스튜디오 기술과 힙노시스(Hipgnosis), 제럴드 스카프(Gerald Scarfe) 등이 참여한 상징적인 시각 디자인을 결합하여 음악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었다.[15][16] 그러나 워터스의 창의적 독재는 밴드 내 갈등을 심화시켰고, 결국 1985년 그의 탈퇴로 이어졌다. 이후 길모어의 주도하에 밴드는 활동을 이어갔으며, 2005년 라이브 8(Live 8) 콘서트에서의 역사적인 재결합과 리처드 라이트(Richard Wright)를 추모하는 마지막 앨범 The Endless River(2014)를 발표하며 대장정의 막을 내렸다.[17][18]

1 밴드 역사[ | ]

결성 및 초기 (1965–1968)
시드 배럿 시대

핑크 플로이드의 뿌리는 1960년대 초반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시작되었다. 시드 배럿, 로저 워터스, 데이비드 길모어는 같은 거리에 위치한 각기 다른 학교에 다니며 교류했다.[19] 이후 런던 리젠트 스트리트 폴리테크닉 건축학과에 재학 중이던 워터스, 닉 메이슨(Nick Mason), 리처드 라이트가 주축이 되어 결성한 '시그마 6(Sigma 6)', '티 세트(The Tea Set)' 등의 전신 밴드를 거쳤다.[20][21] 1965년, 독창적이고 카리스마 넘치는 예술학도 시드 배럿이 밴드에 합류하면서 그룹의 정체성이 확립되기 시작했다.[22] 배럿은 블루스 뮤지션 핑크 앤더슨(Pink Anderson)과 플로이드 카운슬(Floyd Council)의 이름을 조합하여 '핑크 플로이드 사운드(The Pink Floyd Sound)'라는 새로운 밴드명을 만들었고, 이는 곧 '핑크 플로이드'로 축약되었다.[23][24][25]

배럿의 주도하에 핑크 플로이드는 런던 언더그라운드 문화의 중심지였던 UFO 클럽(UFO Club)의 하우스 밴드로 활동하며 명성을 쌓았다.[26][27] 이곳에서 그들은 즉흥 연주와 결합된 환각적인 조명 쇼, 아방가르드 영화 상영 등 실험적인 라이브 공연을 선보이며 영국 사이키델릭 록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했다.[28][29][30] 1967년, 밴드는 EMI와 계약을 맺고 데뷔 싱글 'Arnold Layne'을 발표했다. 이 곡은 여성 속옷을 훔치는 트랜스베스타이트에 대한 노래로, 실제 워터스와 배럿의 고향에 있었던 인물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31][32][33] 논쟁적인 가사 때문에 라디오 런던에서 방송이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 차트 20위에 오르는 성공을 거두었다.[34][35] 이어 발표된 두 번째 싱글 'See Emily Play'는 영국 차트 6위를 기록하며 밴드의 상업적 잠재력을 입증했다.[36][37]

같은 해 8월, 밴드의 데뷔 앨범 The Piper at the Gates of Dawn이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비틀즈가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를 녹음하던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동시에 제작되었으며, 두 밴드는 서로의 작업 세션을 참관하기도 했다.[38] 앨범은 배럿의 동화적이고 기발한 상상력과 우주적이고 실험적인 사운드가 결합된 영국 사이키델리아의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39][40] 'Astronomy Domine'와 'Interstellar Overdrive' 같은 긴 연주곡들은 라이브 무대에서 보여준 즉흥 연주의 정수를 담고 있었고, 'The Gnome'과 같은 짧은 곡들은 배럿 특유의 팝 감각을 보여주었다.[41]

배럿의 창의성은 팝적인 감수성과 전위적인 실험성이라는 두 가지 상반된 충동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밴드의 초기 정체성을 규정하는 핵심적인 긴장감이었다. 그러나 데뷔 앨범의 성공과 함께 배럿의 정신 건강은 급격히 악화되기 시작했다. LSD의 과도한 사용과 스타덤의 압박이 겹치면서 그의 행동은 예측 불가능해졌고, 무대에서 연주를 멈추거나 멍하니 서 있는 일이 잦아졌다.[42][43][44] 결국 밴드는 1967년 말, 배럿의 오랜 친구이자 기타리스트인 데이비드 길모어를 제5의 멤버로 영입하여 배럿의 역할을 보완하고자 했다.[45][46] 하지만 배럿의 상태가 호전되지 않자, 밴드는 1968년 4월 그의 탈퇴를 공식적으로 발표했다.[47] 배럿의 비극적인 퇴장은 이후 수십 년간 핑크 플로이드의 음악에 깊은 그림자를 드리우며, 그의 부재는 밴드의 가장 중요한 예술적 신화이자 창작의 원천이 되었다.

과도기 및 실험 (1968–1972)
새로운 정체성 탐색

시드 배럿이라는 창의적 구심점을 잃은 핑크 플로이드는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하는 중대한 기로에 섰다. 이 시기 밴드는 특정 리더 없이 워터스, 길모어, 라이트가 각자의 역할을 분담하며 집단 창작 체제로 운영되었다.[48][49] 이 '민주적 실험'의 시기는 때로 방향성을 잃고 헤매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밴드가 자신들만의 고유한 사운드를 구축하는 필수적인 과정이 되었다.

1968년 발매된 두 번째 앨범 A Saucerful of Secrets는 과도기적 성격을 명확히 보여준다. 앨범에는 배럿의 마지막 참여곡인 'Jugband Blues'가 수록되어 있는데, 이 곡의 가사("당신들이 여기 나를 생각해주는 건 정말 사려 깊은 일이야 / 하지만 난 여기에 없어")는 자신의 상황에 대한 섬뜩할 정도의 자기 인식을 드러낸다.[50][51] 이 앨범은 길모어가 참여한 첫 앨범이자 5인조 라인업이 모두 참여한 유일한 앨범이다.[52] 특히 12분 길이의 타이틀 트랙은 여러 부분으로 구성된 아방가르드한 연주곡으로, 길모어는 이 곡이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고 회고하며 'Atom Heart Mother'나 'Echoes' 같은 이후의 대곡들의 원형이 되었음을 시사했다.[53][54]

이후 밴드는 영화 사운드트랙 작업을 통해 음악적 실험을 이어갔다. 바벳 슈로더 감독의 영화 More(1969)와 La Vallée(1972, 앨범명 Obscured by Clouds)의 사운드트랙은 정규 앨범의 압박에서 벗어나 다양한 스타일을 시도할 수 있는 자유로운 실험실 역할을 했다.[55] More에서는 'The Nile Song'과 같은 강렬한 하드 록부터 'Green Is the Colour'와 같은 서정적인 어쿠스틱 발라드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선보였다.[56][57] Obscured by Clouds는 보다 간결한 곡들로 구성되었으며, The Dark Side of the Moon에서 만개할 사운드와 주제 의식의 초기 형태를 담고 있어 차기작의 전주곡으로 평가받는다.[58]

1969년에는 라이브 앨범과 각 멤버의 솔로 작품을 담은 더블 앨범 Ummagumma를 발표했다.[59] 라이브 파트는 당시 밴드의 강력한 연주력을 보여주었지만, 스튜디오 파트는 각 멤버가 고립되어 작업한 결과물로, 훗날 멤버들 스스로 "강요된" "가식적인" 시도였다고 혹평했다.[60][61] 이러한 집단 창작의 한계는 역설적으로 강력한 단일 비전을 제시할 리더의 필요성을 부각시켰고, 이는 곧 로저 워터스가 그 역할을 맡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같은 해, 밴드는 'The Man and The Journey'라는 콘셉트의 라이브 공연을 선보였다. 이는 기존 곡과 신곡을 엮어 한 남자의 하루를 묘사하는 서사적인 공연으로, 무대 위에서 가구를 만들고 차를 마시는 등 연극적인 요소를 도입했다.[62][63] 이는 The Wall의 거대한 스케일과 The Dark Side of the Moon의 주제 의식을 예고하는 초기 형태의 콘셉트 쇼였다.[64][65]

1970년작 Atom Heart Mother는 아방가르드 작곡가 론 기신(Ron Geesin)과의 협업으로 탄생한 앨범으로, 앨범 한 면을 가득 채우는 동명의 타이틀곡에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을 도입한 대담한 시도였다.[66] 이 앨범으로 밴드는 처음으로 영국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했지만, 멤버들은 이 작품 역시 "쓰레기"라며 강한 불만을 표했다.[67][68]

마침내 1971년, 밴드는 Meddle을 통해 과도기의 방황을 끝내고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했다. 이 앨범은 멤버들이 개별적으로 녹음한 음악적 단편들, 이른바 'Nothings'를 조합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제작되었다.[69] 그 결정체가 바로 앨범의 B면 전체를 차지하는 23분 길이의 대곡 'Echoes'이다. 이 곡은 리처드 라이트가 레슬리 스피커와 빈슨 에코렉을 통해 만들어낸 단 하나의 피아노 '핑' 소리에서 시작되었다는 일화로 유명하다.[70][71] 'Echoes'는 밴드 네 명의 창의력이 완벽하게 조화된 결과물로, 공간감 넘치는 사운드, 서정적인 멜로디, 확장된 연주를 통해 이후 핑크 플로이드 사운드의 청사진을 제시했다.[72][73]

세계적 성공과 로저 워터스의 주도 (1973–1985)
클래식 시대

Meddle을 통해 확립된 음악적 방향성은 1973년 The Dark Side of the Moon의 발매와 함께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폭발했다. 이 앨범은 갈등, 탐욕, 시간, 죽음, 그리고 광기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하나의 유기적인 콘셉트로 엮어냈다.[74][75] 특히 광기라는 주제는 시드 배럿의 비극에서 직접적인 영감을 얻은 것이었으며, 베이시스트 로저 워터스는 앨범의 모든 가사를 도맡아 쓰면서 밴드의 개념적 설계자로서의 역할을 확고히 했다.[76][77]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엔지니어 앨런 파슨스(Alan Parsons)와 함께 작업한 이 앨범은 당시 최첨단이었던 16트랙 녹음 기술, 'Money'의 계산기 소리 같은 테이프 루프, 'On the Run'의 EMS VCS 3 신시사이저 등 혁신적인 스튜디오 기술의 집약체였다.[78][79][80] 특히 'The Great Gig in the Sky'에서 세션 보컬리스트 클레어 토리(Clare Torry)가 즉흥적으로 선보인 경이로운 스캣은 앨범의 백미로 꼽히며, 그녀는 훗날 소송을 통해 공동 작곡가로 인정받았다.[81][82][83] 힙노시스가 디자인한 프리즘 커버는 밴드의 조명 쇼와 앨범의 주제를 단순하고 강렬하게 시각화한 것으로, 앨범 자체만큼이나 상징적인 아이콘이 되었다.[84][85] The Dark Side of the Moon은 상업적으로 엄청난 성공을 거두어 빌보드 앨범 차트에 15년 이상 머무르며 4,5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는 등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앨범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86][87][88]

이 거대한 성공 이후, 밴드는 창조적 공허함과 음악 산업에 대한 환멸에 시달렸고, 이는 1975년 앨범 Wish You Were Here의 주된 테마가 되었다.[89][90] 앨범은 시드 배럿의 부재와 그에 대한 그리움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앨범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9부작 대곡 'Shine On You Crazy Diamond'는 배럿에게 바치는 노골적인 찬가이자 비가(悲歌)였다.[91] 녹음 세션 중이던 1975년 6월 5일, 머리와 눈썹을 모두 밀고 비대해진 모습의 배럿이 예고 없이 스튜디오를 방문한 사건은 앨범의 주제 의식을 극적으로 현실화했다. 멤버들은 처음에는 그를 알아보지 못했으며, 이 충격적인 재회는 밴드에게 깊은 상실감을 각인시켰다.[92][93] 앨범의 또 다른 곡들인 'Welcome to the Machine'과 'Have a Cigar'는 거대화된 음악 산업의 비인간성과 위선을 날카롭게 비판했다.[94] 특히 'Have a Cigar'의 보컬은 워터스와 길모어가 모두 소화하기 어려워하자 옆 스튜디오에서 녹음 중이던 포크 가수 로이 하퍼(Roy Harper)가 맡았다.[95] 힙노시스가 디자인한 앨범 커버는 불타는 남자, 악수하는 모습, 검은 비닐 포장 등을 통해 '부재'라는 주제를 시각적으로 구현했다.[96][97][98]

1977년 발표된 Animals는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에서 영감을 얻었지만, 스탈린주의 비판 대신 자본주의 사회의 계급 구조를 겨냥했다.[99][100] 사회는 무자비한 사업가 계층인 '개(Dogs)', 부패하고 위선적인 권력층인 '돼지(Pigs)', 그리고 수동적이고 맹목적인 대중인 '양(Sheep)'으로 묘사되었다.[101][102] 앨범은 이전 작품들의 공간감 있는 사운드에서 벗어나 훨씬 더 거칠고 기타 중심적인 하드 록 사운드를 선보였다.[103] 런던의 배터시 발전소 위를 나는 거대한 돼지 풍선 '앨지(Algie)'가 담긴 앨범 커버는 촬영 중 풍선이 바람에 날아가 히드로 공항의 항공편을 마비시키는 소동을 일으키며 그 자체로 전설이 되었다.[104][105] 펑크 록이 정점에 달했던 시기에 발매된 이 앨범의 냉소적이고 공격적인 메시지는 역설적으로 펑크의 분노와 맞닿아 있었다.[106]

워터스의 창의적 지배력은 1979년 록 오페라 The Wall에서 절정에 달했다. 앨범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아버지를 잃고, 과보호하는 어머니와 억압적인 교육 시스템 속에서 자란 록 스타 '핑크'가 자신을 세상과 격리하기 위해 심리적인 '벽'을 쌓아 올리는 과정을 그린다.[107][108][109] 이는 워터스 자신의 경험과 배럿의 붕괴 과정에서 영감을 얻은,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였다.[110] 프로듀서 밥 에즈린(Bob Ezrin)은 워터스의 방대한 아이디어를 극적인 서사로 엮어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길모어와의 갈등을 중재하는 역할도 맡았다.[111][112] 앨범의 수록곡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2'는 이즐링턴 그린 스쿨 어린이 합창단의 참여로 영국과 미국에서 1위 싱글이 되었지만, 훗날 로열티 지급 문제로 논란이 일었다.[113][114] 이 앨범 작업 중 워터스와의 갈등이 극에 달한 리처드 라이트는 결국 밴드에서 해고되었고, 이후 투어에는 월급을 받는 세션 뮤지션으로 참여했다.[115][116][117]

1983년 발매된 The Final Cut은 사실상 워터스의 솔로 앨범에 가까웠다.[118][119] 포클랜드 전쟁에 대한 반전 메시지와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개인적인 고뇌를 담은 이 앨범에서 길모어의 참여는 극히 제한적이었고, 이는 두 사람의 파트너십이 완전히 끝났음을 알리는 신호였다.[120][121] 이 앨범을 끝으로 워터스는 핑크 플로이드의 해체를 선언하며 밴드를 떠났다.

데이비드 길모어 시대와 법적 분쟁 (1985–1995)
재편성

1985년 로저 워터스는 핑크 플로이드를 "창조적으로 소진된 세력"이라 규정하며 공식적으로 탈퇴를 선언했고, 밴드가 해체될 것이라 예상했다.[122][123] 그러나 데이비드 길모어와 닉 메이슨이 핑크 플로이드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계속하기로 결정하자, 워터스는 밴드 이름의 사용권을 두고 소송을 제기했다.[124] 이 격렬한 법적 다툼은 1987년 법정 밖에서 합의되었고, 길모어와 메이슨이 핑크 플로이드 이름에 대한 권리를 갖는 대신, 워터스는 The Wall 콘셉트에 대한 권리를 확보했다.[125]

이러한 분쟁 속에서 1987년, 길모어 주도의 첫 핑크 플로이드 앨범 A Momentary Lapse of Reason이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본래 길모어의 세 번째 솔로 앨범으로 기획되었으나, 상업적인 무게감을 고려하여 핑크 플로이드 프로젝트로 전환되었다.[126][127] 앨범 제작에는 The Wall의 공동 프로듀서였던 밥 에즈린이 참여했으며, 베이시스트 토니 레빈(Tony Levin), 드러머 카마인 어피스(Carmine Appice) 등 다수의 세션 뮤지션이 기용되어 워터스의 공백을 메웠다.[128] 이 앨범은 1980년대 특유의 스튜디오 프로덕션 사운드가 강하게 반영되어 일부 팬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129][130] 한편, The Wall 작업 중 해고되었던 리처드 라이트가 이 앨범을 통해 복귀했지만, 법적인 문제로 인해 정식 멤버가 아닌 급여를 받는 세션 뮤지션으로 참여해야 했다.[131][132]

1994년에 발표된 The Division Bell은 이전 앨범보다 훨씬 더 공동 작업의 성격이 강했다. 리처드 라이트는 정식 멤버로 완전히 복귀하여 작곡에 상당 부분 기여했으며, 밴드는 다시 트리오로서의 화학 작용을 보여주었다.[133][134] 앨범의 중심 주제는 '소통' 또는 '소통의 부재'로, 인간 관계의 단절과 그로 인해 생기는 장벽들을 탐구했다.[135] 길모어의 당시 약혼자였던 소설가 폴리 샘슨(Polly Samson)이 많은 곡의 가사를 공동으로 작사했다.[136] 스티븐 호킹의 음성 샘플이 사용된 'Keep Talking'은 소통의 단절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며, 'Poles Apart'는 시드 배럿과 로저 워터스 두 사람 모두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137] 앨범의 주제는 워터스 시대의 '소외'와 '단절'에 대한 일종의 반론이자 치유의 시도로 볼 수 있다. 밴드 자신의 분열과 갈등의 역사를 음악을 통해 성찰하고 소통의 중요성을 역설함으로써, 예술이 밴드 자체를 위한 치료적 행위가 된 것이다. 스톰 소거슨이 디자인한 앨범 커버의 거대한 두 금속 두상은 서로 대화하는 두 사람이거나 하나의 제3의 얼굴로 보이도록 하여 앨범의 주제를 시각적으로 구현했다.[138][139]

The Division Bell은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앨범 발매 후 진행된 월드 투어는 엄청난 흥행을 기록했다. 이 투어의 실황은 1995년 라이브 앨범과 영상물 Pulse로 발매되었으며, 여기에는 밴드가 20년 만에 처음으로 The Dark Side of the Moon 전곡을 라이브로 연주한 공연이 담겨 있다.[140][141]

후기 활동 및 재결합 (1996–현재)

The Division Bell 투어 이후 핑크 플로이드는 사실상 활동을 중단하고 긴 휴지기에 들어갔다. 멤버들은 각자의 솔로 프로젝트에 집중했다.[142][143][144] 2005년 7월 2일, 밥 겔도프(Bob Geldof)가 주최한 자선 콘서트 라이브 8(Live 8) 런던 공연에서 데이비드 길모어, 로저 워터스, 닉 메이슨, 리처드 라이트의 클래식 라인업이 24년 만에 재결합하여 무대에 섰다.[145][146] 이 역사적인 재회는 워터스와 길모어 사이의 오랜 불화를 잠시나마 봉합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전 세계 팬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147] 그들은 'Breathe (Reprise)', 'Money', 'Wish You Were Here', 'Comfortably Numb' 등 4곡을 연주했다.[148] 공연 이후 재결합 투어에 대한 1억 5천만 달러 규모의 제안이 있었지만, 길모어는 이것이 일회성 이벤트임을 분명히 하며 거절했다.[149]

이후 밴드의 재결합 가능성은 두 멤버의 죽음으로 영원히 사라졌다. 시드 배럿은 2006년 7월 7일 췌장암으로 세상을 떠났고,[150] 리처드 라이트는 2008년 9월 15일 암으로 사망했다.[151] 길모어는 라이트의 죽음에 대해 "그의 부재는 핑크 플로이드의 재결합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고 말하며, 라이트가 밴드 사운드의 필수적인 부분이었음을 강조했다.[152]

2014년 11월, 핑크 플로이드는 리처드 라이트를 추모하기 위한 마지막 정규 앨범 The Endless River를 발표했다.[153] 이 앨범은 1993-94년 The Division Bell 세션 당시 녹음되었던 20시간 분량의 미공개 연주곡들을 길모어와 메이슨이 재구성하여 만들었다.[154] 앨범은 거의 대부분이 연주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라이트의 키보드 연주를 중심으로 한 앰비언트하고 서정적인 분위기를 담고 있다.[155][156]

2022년, 길모어와 메이슨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저항하는 의미로 28년 만에 핑크 플로이드의 이름으로 신곡 'Hey, Hey, Rise Up!'을 발표했다. 이 곡은 우크라이나 밴드 붐박스(BoomBox)의 보컬 안드리 흘리우니우크(Andriy Khlyvnyuk)의 노래를 샘플링했으며, 수익금은 우크라이나 인도적 지원을 위해 기부되었다.[157][158] 이 프로젝트에는 로저 워터스가 참여하지 않았다.

2 음악적 스타일과 기술[ | ]

음악학적 분석
사이키델릭, 스페이스, 프로그레시브 록

핑크 플로이드의 음악은 하나의 장르로 규정하기 어려울 만큼 폭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주지만, 크게 사이키델릭 록, 스페이스 록, 프로그레시브 록이라는 세 가지 흐름으로 분석할 수 있다.

초기 밴드의 사운드를 정의한 것은 사이키델릭 록이었다.[159] 시드 배럿의 주도하에 그들은 확장된 즉흥 연주, 불협화음, 음향 실험, 그리고 환각적 상태를 묘사하는 가사를 특징으로 하는 음악을 선보였다.[160][161] 데뷔 앨범 The Piper at the Gates of Dawn의 'Interstellar Overdrive'는 이러한 특징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곡으로, 예측 불가능한 구조와 자유로운 연주를 통해 당시 런던 언더그라운드 씬의 실험 정신을 대표했다.[162]

배럿 탈퇴 이후, 밴드는 사이키델릭 사운드를 우주적인 공간감과 서사로 확장시킨 스페이스 록으로 나아갔다.[163] A Saucerful of SecretsMeddle과 같은 과도기 앨범들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는데, 이들은 전자 효과와 앰비언트 질감을 활용하여 광활하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했다.[164] 이 시기의 음악은 구체적인 멜로디나 구조보다는 소리의 질감과 분위기 자체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1970년대에 들어 핑크 플로이드는 프로그레시브 록의 대표 주자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165] 그러나 예스(Yes)나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ELP)와 같은 밴드들이 클래식 음악에 기반한 현란한 연주 기교를 강조했던 것과는 다른 길을 걸었다.[166] 핑크 플로이드의 프로그레시브 록은 철학적 주제를 담은 콘셉트 앨범, 'Echoes'나 'Shine On You Crazy Diamond'와 같은 장대한 길이의 곡 구성, 그리고 'Money'의 7/4박자와 같은 비전형적인 박자 사용 등을 특징으로 했다.[167] 학술적 분석에 따르면, 이들은 소수의 핵심적인 음악적 주제를 느린 화성 진행과 반복을 통해 극적으로 확장하여 장시간 동안 통일성과 방향성을 유지하는 독특한 구조를 만들어냈다.[168] 이들의 접근 방식은 기술적 과시보다는 분위기와 서사의 구축에 중점을 둔 '콘셉트 중심의 프로그레시브 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스튜디오 혁신
멀티트랙, 테이프 루프, 신시사이저

핑크 플로이드는 스튜디오를 단순한 녹음 공간이 아닌, 또 하나의 악기로 활용한 선구자였다. 그들의 사운드는 당시의 기술적 한계를 넘어서려는 끊임없는 실험의 결과물이었다. 이들의 혁신은 크게 멀티트랙 녹음, 테이프 루프 및 구체 음악(Musique concrète) 기법, 그리고 신시사이저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요약된다.

멀티트랙 녹음 기술의 발전은 핑크 플로이드 사운드의 복잡성과 깊이를 가능하게 한 핵심 요소였다. 특히 The Dark Side of the Moon 제작 당시 사용된 16트랙 녹음 기술은 밴드가 여러 소리를 겹겹이 쌓아 풍부하고 입체적인 음향 풍경을 창조할 수 있게 했다.[169][170]

악기 소리가 아닌 실제 소리를 녹음하여 음악의 일부로 사용하는 테이프 루프구체 음악 기법은 핑크 플로이드 사운드의 상징이 되었다. 가장 유명한 예는 The Dark Side of the Moon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심장 박동 소리와 'Money'의 도입부에 사용된, 동전과 계산기가 만들어내는 7/4박자의 리듬 루프이다.[171][172] 이러한 기법은 음악에 구체적인 현실감을 부여하고 앨범의 콘셉트를 청각적으로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173] 또한,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개발된 ADT(Automatic Double Tracking) 기술은 보컬과 악기 사운드에 풍부한 질감과 에코 효과를 더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174][175]

핑크 플로이드는 초창기부터 신시사이저를 음악에 적극적으로 도입한 밴드 중 하나였다. 특히 영국 EMS 사의 VCS 3Synthi AKS 신시사이저는 'On the Run'의 상징적인 시퀀서 패턴을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Welcome to the Machine'이나 'Time'과 같은 곡들에서도 독특한 질감을 만들어내는 데 사용되었다.[176][177][178]

마지막으로, 이탈리아제 빈슨 에코렉(Binson Echorec) 자기 드럼 딜레이는 1970년대 초반 길모어와 라이트 사운드의 핵심이었다. 이 장비는 'Echoes'의 도입부를 여는 신비로운 피아노 '핑' 소리를 만들어냈으며, 길모어 특유의 부드럽고 지속되는 '바이올린奏法' 기타 톤을 구현하는 데 필수적이었다.[179][180][181] 이처럼 핑크 플로이드는 기술을 단순히 음악을 꾸미는 도구가 아니라, 앨범의 개념적 세계를 구축하고 서사를 전달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사용하여 '음향 건축'이라는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

라이브 공연
조명, 원형 스크린, 콰드로포닉 사운드

핑크 플로이드의 라이브 공연은 단순한 음악 연주를 넘어, 음악, 시각 예술, 기술이 결합된 총체적 예술(Gesamtkunstwerk) 경험을 제공했다. 그들은 록 콘서트를 영화적이고 연극적인 이벤트로 재정의한 선구자였다.

초기 UFO 클럽 시절부터 밴드는 음악과 함께 역동적인 리퀴드 라이트 쇼(liquid light show)를 선보이며 시각적 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182][183] 1967년 'Games for May' 콘서트에서는 콰드로포닉(4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최초로 도입했다. 이후 '아지무스 코디네이터(Azimuth Co-ordinator)'라는 조이스틱 형태의 컨트롤러로 발전한 이 시스템은 소리를 공연장 곳곳으로 이동시키며 관객에게 몰입감 있는 청각 경험을 선사했다.[184][185][186]

1974년 The Dark Side of the Moon 투어에서 처음 등장한 거대한 원형 스크린, 일명 '미스터 스크린(Mr. Screen)'은 핑크 플로이드 공연의 상징이 되었다.[187][188] 이 스크린에는 힙노시스나 제럴드 스카프가 제작한 영화와 애니메이션이 투사되어 앨범의 주제를 시각적으로 강화했다.[189][190]

또한, 핑크 플로이드는 거대한 스케일의 무대 장치와 특수 효과로도 유명했다. Animals 투어에서 처음 등장한 거대한 돼지 풍선은 이후 밴드의 마스코트가 되었으며, The Wall 투어에서는 공연이 진행되는 동안 무대 위에 거대한 이 실제로 세워졌다가 마지막에 무너지는 장관을 연출했다.[191][192] 이 외에도 무대 위로 추락하는 비행기, 공중을 나는 침대, 거대한 인형 등은 핑크 플로이드의 공연을 단순한 콘서트가 아닌 하나의 거대한 스펙터클로 만들었다.[193] 이러한 시도들은 록 공연의 시각적 표현 가능성을 한 단계 끌어올린 혁신으로 평가받는다.

3 테마와 영향[ | ]

철학적 및 사회적 주제
소외, 광기, 자본주의 비판

핑크 플로이드의 음악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현대 사회의 근원적인 문제들을 탐구하는 철학적 텍스트로 기능했다. 특히 로저 워터스가 주도권을 잡은 1970년대 이후, 그들의 가사는 소외, 광기, 시간, 죽음, 그리고 권력과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 등 심오한 주제를 다루었다.[194][195]

소외는 밴드의 핵심 주제 중 하나였다.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이들의 음악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가 낳는 다양한 형태의 소외를 묘사한다. 'Welcome to the Machine'은 인간을 부품처럼 취급하는 음악 산업을 통해 노동으로부터의 소외를, 'Money'는 물질만능주의에 대한 비판을, 그리고 Animals는 계급 사회 속에서 서로를 착취하는 인간 관계의 소외를 그린다.[196] 이러한 소외는 궁극적으로 The Wall에서 주인공 핑크가 스스로를 세상과 단절시키는 심리적 벽으로 구체화된다.[197]

광기라는 주제는 시드 배럿의 비극적 경험에서 출발했지만, 밴드는 이를 현대인의 보편적인 불안과 심리적 압박에 대한 은유로 확장시켰다. The Dark Side of the Moon은 삶의 스트레스가 어떻게 개인을 광기로 몰아가는지에 대한 개념적 탐구이며,[198] 'Brain Damage'의 가사 "The lunatic is in my head"는 광기가 외부의 현상이 아닌 내면의 문제임을 암시한다.[199] The Wall은 한 개인의 트라우마가 어떻게 광기로 발전하고, 나아가 파시즘이라는 사회적 광기와 연결되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200]

권력과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은 워터스 시대 후기로 갈수록 더욱 노골적으로 드러난다. Animals는 사회를 '개(지배계급의 하수인)', '돼지(부패한 권력층)', '양(우매한 대중)'으로 나누어 자본주의 시스템의 비정함을 동물 우화 형식으로 고발한다.[201] The Wall의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2'는 획일적인 인간을 양산하는 억압적인 교육 시스템을 비판하며 전 세계적인 저항의 노래가 되었다.[202] 1983년작 The Final Cut은 포클랜드 전쟁을 직접적인 계기로 삼아 전쟁을 일으키는 정치 지도자들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반전(反戰) 앨범이다.[203] 이처럼 핑크 플로이드는 록 음악을 통해 개인의 실존적 고뇌를 사회 구조적 문제와 연결시키며, 대중음악의 지평을 철학적, 사회적 담론의 장으로 확장시켰다.

시각적 정체성
힙노시스와 제럴드 스카프

핑크 플로이드의 음악적 세계는 독창적인 시각적 정체성을 통해 완성되었다. 특히 디자인 그룹 힙노시스와 일러스트레이터 제럴드 스카프는 밴드의 신비롭고 상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스톰 소거슨과 오브리 "포" 파월이 이끈 힙노시스는 1968년 A Saucerful of Secrets 앨범 커버를 시작으로 1970년대 밴드의 모든 앨범 아트를 담당했다.[204] 그들의 작업은 단순히 앨범을 포장하는 것을 넘어, 음악의 개념적 깊이를 시각적으로 확장하는 예술 행위였다. 사진을 기반으로 한 초현실적인 이미지는 밴드의 익명성을 유지하면서도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The Dark Side of the Moon의 프리즘 이미지는 밴드의 조명 쇼와 앨범의 주제를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상징으로 압축했으며,[205][206] Wish You Were Here의 불타는 남자는 음악 산업의 비정한 계약과 '상처받는 것(getting burned)'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앨범의 핵심 주제인 '부재'를 시각적으로 구현했다.[207] Animals의 배터시 발전소 위를 나는 돼지 이미지는 로저 워터스의 아이디어를 힙노시스가 실행한 것으로, 밴드의 상징이 되었다.[208]

The Wall 프로젝트에서는 정치 풍자 만화가로 유명했던 제럴드 스카프가 참여하여 앨범의 시각적 세계를 창조했다. 그의 그로테스크하고 표현주의적인 그림체는 앨범의 주인공 핑크를 억압하는 인물들—교사, 어머니, 아내—에게 악몽과 같은 형상을 부여했다.[209][210] 특히 그가 창조한 '행진하는 망치들(Marching Hammers)' 애니메이션은 파시즘과 억압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으며, 영화와 라이브 공연의 핵심적인 시각 요소로 사용되었다.[211][212] 스카프의 강렬한 애니메이션은 The Wall이 담고 있는 심리적 공포와 사회적 비판을 극대화하며 음악과 완벽하게 결합된 시각적 서사를 만들어냈다.[213]

문화적 유산과 후대에 미친 영향

핑크 플로이드가 남긴 문화적 유산은 음악의 형식과 내용, 그리고 라이브 공연의 개념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그들의 영향력은 프로그레시브 록을 넘어 얼터너티브 록, 앰비언트, 일렉트로닉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나타난다.

라디오헤드(Radiohead), 나인 인치 네일스(Nine Inch Nails)와 같은 후대의 밴드들은 핑크 플로이드가 구축한 디스토피아적 분위기, 실험적인 사운드 디자인, 그리고 사회 비판적인 주제 의식에서 깊은 영향을 받았다.[214][215][216] 특히 라디오헤드의 OK ComputerThe Dark Side of the Moon과 비견되며 현대 사회의 기술적 소외라는 주제를 계승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217]

1977년 펑크 록의 등장은 핑크 플로이드를 '공룡 록(dinosaur rock)'의 상징으로 만들며 세대 간의 단절을 부각시켰다. 섹스 피스톨즈의 조니 로튼이 "I Hate Pink Floyd"라고 적은 티셔츠를 입은 것은 이러한 반감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었다.[218] 그러나 역설적으로 같은 해 발매된 핑크 플로이드의 Animals는 펑크 록이 표방했던 체제 전복적인 분노와 냉소주의를 공유하고 있었다.[219][220] 이는 핑크 플로이드가 단순한 기성세대의 상징이 아니라, 시대의 불안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표현했던 복합적인 존재였음을 보여준다.

핑크 플로이드가 대중음악에 미친 가장 큰 영향 중 하나는 콘셉트 앨범의 대중화이다. 그들이 콘셉트 앨범을 발명한 것은 아니지만, The Dark Side of the MoonThe Wall의 전례 없는 상업적 성공은 개별 곡의 모음이 아닌, 하나의 통일된 주제와 서사를 가진 앨범이 예술적, 상업적으로 거대한 성취를 이룰 수 있음을 증명했다.[221] 이는 이후 수많은 아티스트들에게 영감을 주며 앨범 단위의 예술적 창작을 장려하는 계기가 되었다.

4 멤버[ | ]

시드 배럿 (Syd Barrett)

창립 멤버이자 초기 리더, 리드 보컬, 기타리스트, 그리고 핵심 작곡가. 그의 혁신적이고 사이키델릭한 비전은 밴드의 초기 사운드를 정의했다. 1968년 정신 건강 악화로 밴드를 떠났지만, 이후 밴드의 작품에 강력한 주제적 영향을 미쳤다.[222][223][224] 그는 The Madcap LaughsBarrett이라는 두 장의 솔로 앨범을 남겼다.[225][226]

로저 워터스 (Roger Waters)

베이시스트, 공동 리드 보컬, 그리고 1968년부터 1985년까지 밴드의 주요 작사가이자 개념적 리더. 밴드의 클래식 콘셉트 앨범들을 주도한 창의적 원동력이었다. 1985년 격렬한 갈등 끝에 밴드를 떠났으며, 이후 성공적인 솔로 활동을 이어가며 The Wall을 라이브로 공연하고 있다.[227][228][229]

데이비드 길모어 (David Gilmour)

1967년 말 시드 배럿을 대체하기 위해 합류했다. 리드 기타리스트이자 공동 리드 보컬로서, 그의 서정적이고 블루스에 기반한 솔로와 부드러운 목소리는 핑크 플로이드 사운드의 상징이 되었다. 1985년 워터스 탈퇴 후 밴드의 리더가 되었다.[230][231][232]

리처드 라이트 (Richard Wright)

키보디스트이자 보컬. 그의 재즈적 영향이 깃든 연주와 공간감 있는 사운드 텍스처는 'Echoes', 'Shine On You Crazy Diamond'와 같은 곡들에서 드러나듯 핑크 플로이드 사운드의 핵심 요소였다.[233][234][235][236] The Wall 세션 중 워터스에 의해 해고되었으나 이후 밴드에 복귀했다.[237] Wet DreamBroken China 두 장의 솔로 앨범을 발표했다.[238][239]

닉 메이슨 (Nick Mason)

드러머이자 핑크 플로이드의 모든 앨범에 참여한 유일한 멤버. 그의 절제되고 질감 중심의 연주 스타일은 밴드 사운드의 중요한 구성 요소였다. 그는 밴드의 내부 역사를 담은 책 Inside Out: A Personal History of Pink Floyd의 저자이다. 현재 자신의 밴드 '닉 메이슨의 소서풀 오브 시크릿츠(Nick Mason's Saucerful of Secrets)'와 함께 초기 핑크 플로이드 음악을 연주하며 투어 활동을 하고 있다.[240][241][242][243]

5 디스코그래피[ | ]

핑크 플로이드 정규 스튜디오 앨범
발매 연도 앨범명 영국 차트 미국 차트 비고
1967 The Piper at the Gates of Dawn 6 131 시드 배럿이 참여한 유일한 정규 앨범.
1968 A Saucerful of Secrets 9 - 시드 배럿이 한 곡에 참여한 5인조 시절 앨범.
1969 Music from the Film More 9 153 영화 사운드트랙 앨범.
1969 Ummagumma 5 74 라이브와 스튜디오 솔로 곡으로 구성된 더블 앨범.
1970 Atom Heart Mother 1 55 론 기신과 협업한 오케스트라 및 합창단 참여.
1971 Meddle 3 70 대곡 'Echoes' 수록.
1972 Obscured by Clouds 6 46 영화 사운드트랙 앨범.
1973 The Dark Side of the Moon 2 1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빌보드 차트에 950주 이상 머무름.
1975 Wish You Were Here 1 1 시드 배럿을 위한 헌정 및 음악 산업 비판.
1977 Animals 2 3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에 기반한 자본주의 비판.
1979 The Wall 3 1 로저 워터스의 록 오페라; 가장 많이 팔린 더블 앨범 중 하나.
1983 The Final Cut 1 6 로저 워터스가 참여한 마지막 앨범; 사실상 그의 솔로 프로젝트.
1987 A Momentary Lapse of Reason 3 3 로저 워터스 없이 데이비드 길모어가 주도한 첫 앨범.
1994 The Division Bell 1 1 길모어/메이슨/라이트 라인업의 마지막 신곡 앨범.
2014 The Endless River 1
  1. [1](https://de.wikipedia.org/wiki/Pink_Floyd)
  2. [2](https://ko.wikipedia.org/wiki/%ED%95%91%ED%81%AC_%ED%94%8C%EB%A1%9C%EC%9D%B4%EB%93%9C)
  3. [3](https://ja.wikipedia.org/wiki/%E3%83%94%E3%83%B3%E3%82%AF%E3%83%BB%E3%83%95%E3%83%AD%E3%82%A4%E3%83%89)
  4. [4](https://www.reddit.com/r/OldSchoolCool/comments/1cf6gu1/april_28th_1973_the_album_the_dark_side_of_the/)
  5. [5](https://de.wikipedia.org/wiki/Pink_Floyd)
  6. [6](https://www.britannica.com/topic/Pink-Floyd)
  7. [7](https://en.wikipedia.org/wiki/The_Piper_at_the_Gates_of_Dawn)
  8. [8](https://www.progarchives.com/album.asp?id=1433)
  9. [9](https://simple.wikipedia.org/wiki/Pink_Floyd)
  10. [10](https://namu.wiki/w/%ED%95%91%ED%81%AC%20%ED%94%8C%EB%A1%9C%EC%9D%B4%EB%93%9C)
  11. [11](https://classicrockreview.wordpress.com/2014/01/01/pink-floyd-meddle-1971/)
  12. [12](https://en.wikipedia.org/wiki/Echoes_(Pink_Floyd_song))
  13. [13](https://de.wikipedia.org/wiki/Pink_Floyd)
  14. [14](https://www.britannica.com/topic/Pink-Floyd)
  15. [15](https://ja.wikipedia.org/wiki/%E7%8B%82%E6%B0%97_(%E3%83%94%E3%83%B3%E3%82%AF%E3%83%BB%E3%83%95%E3%83%AD%E3%82%A4%E3%83%89%E3%81%AE%E3%82%A2%E3%83%AB%E3%83%90%E3%83%A0))
  16. [16](https://en.wikipedia.org/wiki/Gerald_Scarfe)
  17. [17](https://simple.wikipedia.org/wiki/Pink_Floyd)
  18. [18](https://ultimateclassicrock.com/pink-floyd-live-8-reunion/)
  19. [19](https://de.wikipedia.org/wiki/Pink_Floyd)
  20. [20](https://de.wikipedia.org/wiki/Pink_Floyd)
  21. [21](https://namu.wiki/w/%ED%95%91%ED%81%AC%20%ED%94%8C%EB%A1%9C%EC%9D%B4%EB%93%9C)
  22. [22](https://de.wikipedia.org/wiki/Pink_Floyd)
  23. [23](https://simple.wikipedia.org/wiki/Pink_Floyd)
  24. [24](https://www.britannica.com/topic/Pink-Floyd)
  25. [25](https://ja.wikipedia.org/wiki/%E3%83%94%E3%83%B3%E3%82%AF%E3%83%BB%E3%83%95%E3%83%AD%E3%82%A4%E3%83%89)
  26. [26](https://de.wikipedia.org/wiki/Pink_Floyd)
  27. [27](https://ja.wikipedia.org/wiki/%E3%83%94%E3%83%B3%E3%82%AF%E3%83%BB%E3%83%95%E3%83%AD%E3%82%A4%E3%83%89)
  28. [28](https://en.wikipedia.org/wiki/A_Momentary_Lapse_of_Reason)
  29. [29](http://www.pinkfloydarchives.com/posters/PFpost/1967/UFO0667/UFO0667.htm)
  30. [30](https://en.wikipedia.org/wiki/UFO_Club)
  31. [31](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3xv3ys/how_did_pink_floyd_influence_music/?tl=ko)
  32. [32](https://www.britannica.com/topic/Pink-Floyd)
  33. [33](https://no.wikipedia.org/wiki/Pink_Floyd)
  34. [34](https://ja.wikipedia.org/wiki/%E3%83%94%E3%83%B3%E3%82%AF%E3%83%BB%E3%83%95%E3%83%AD%E3%82%A4%E3%83%89)
  35. [35](https://namu.wiki/w/%ED%95%91%ED%81%AC%20%ED%94%8C%EB%A1%9C%EC%9D%B4%EB%93%9C)
  36. [36](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3xv3ys/how_did_pink_floyd_influence_music/?tl=ko)
  37. [37](https://namu.wiki/w/%ED%95%91%ED%81%AC%20%ED%94%8C%EB%A1%9C%EC%9D%B4%EB%93%9C)
  38. [38](https://note.com/zep4/n/n65da13092ae7)
  39. [39](https://en.wikipedia.org/wiki/The_Piper_at_the_Gates_of_Dawn)
  40. [40](https://www.progarchives.com/album.asp?id=1433)
  41. [41](https://www.progarchives.com/album.asp?id=1433)
  42. [42](https://simple.wikipedia.org/wiki/Pink_Floyd)
  43. [43](https://ja.wikipedia.org/wiki/%E3%83%94%E3%83%B3%E3%82%AF%E3%83%BB%E3%83%95%E3%83%AD%E3%82%A4%E3%83%89)
  44. [44](https://namu.wiki/w/%ED%95%91%ED%81%AC%20%ED%94%8C%EB%A1%9C%EC%9D%B4%EB%93%9C)
  45. [45](https://en.wikipedia.org/wiki/A_Momentary_Lapse_of_Reason)
  46. [46](https://namu.wiki/w/%ED%95%91%ED%81%AC%20%ED%94%8C%EB%A1%9C%EC%9D%B4%EB%93%9C)
  47. [47](https://namu.wiki/w/%ED%95%91%ED%81%AC%20%ED%94%8C%EB%A1%9C%EC%9D%B4%EB%93%9C)
  48. [48](https://ko.wikipedia.org/wiki/%ED%95%91%ED%81%AC_%ED%94%8C%EB%A1%9C%EC%9D%B4%EB%93%9C)
  49. [49](https://namu.wiki/w/%ED%95%91%ED%81%AC%20%ED%94%8C%EB%A1%9C%EC%9D%B4%EB%93%9C)
  50. [50](https://namu.wiki/w/%ED%95%91%ED%81%AC%20%ED%94%8C%EB%A1%9C%EC%9D%B4%EB%93%9C)
  51. [51](https://note.com/zep4/n/n65da13092ae7)
  52. [52](https://www.sputnikmusic.com/review/88777/Pink-Floyd-A-Saucerful-Of-Secrets/)
  53. [53](https://ultimateclassicrock.com/pink-floyd-saucerful-of-secrets/)
  54. [54](https://www.classicrockreview.com/2013/11/1968-pink-floyd-saucerful-of-secrets/)
  55. [55](https://ko.wikipedia.org/wiki/%ED%95%91%ED%81%AC_%ED%94%8C%EB%A1%9C%EC%9D%B4%EB%93%9C)
  56. [56](https://ko.wikipedia.org/wiki/%ED%95%91%ED%81%AC_%ED%94%8C%EB%A1%9C%EC%9D%B4%EB%93%9C)
  57. [57](https://blog.musoscribe.com/index.php/2019/07/30/a-look-back-at-pink-floyds-more-soundtrack-part-1/)
  58. [58](https://www.progarchives.com/album.asp?id=1439)
  59. [59](https://en.wikipedia.org/wiki/Ummagumma)
  60. [60](https://ultimateclassicrock.com/pink-floyd-atom-heart-mother/)
  61. [61](https://www.youtube.com/watch?v=p8f5933o000)
  62. [62](https://www.classicrockreview.com/2013/11/1968-pink-floyd-saucerful-of-secrets/)
  63. [63](https://en.wikipedia.org/wiki/The_Man_and_The_Journey_Tour)
  64. [64](https://journals.openedition.org/volume/3145)
  65. [65](https://www.classicrockreview.com/2013/11/1968-pink-floyd-saucerful-of-secrets/)
  66. [66](https://en.wikipedia.org/wiki/Atom_Heart_Mother_(suite))
  67. [67](https://ultimateclassicrock.com/pink-floyd-atom-heart-mother/)
  68. [68](https://www.loudersound.com/features/50-years-of-floyd-david-gilmour)
  69. [69](https://altrockchick.com/2023/05/25/pink-floyd-meddle-classic-music-review/)
  70. [70](https://en.wikipedia.org/wiki/Echoes_(Pink_Floyd_song))
  71. [71](http://richardwright.net/richard_wright_bio/)
  72. [72](https://rollingstonejapan.com/articles/detail/39423/3/1/1)
  73. [73](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1622fg7/what_are_the_lyrics_to_echoes_really_about/)
  74. [74](https://en.wikipedia.org/wiki/A_Momentary_Lapse_of_Reason)
  75. [75](https://ja.wikipedia.org/wiki/%E7%8B%82%E6%B0%97_(%E3%83%94%E3%83%B3%E3%82%AF%E3%83%BB%E3%83%95%E3%83%AD%E3%82%A4%E3%83%89%E3%81%AE%E3%82%A2%E3%83%AB%E3%83%90%E3%83%A0))
  76. [76](https://de.wikipedia.org/wiki/Pink_Floyd)
  77. [77](https://namu.wiki/w/%ED%95%91%ED%81%AC%20%ED%94%8C%EB%A1%9C%EC%9D%B4%EB%93%9C)
  78. [78](https://en.wikipedia.org/wiki/The_Great_Gig_in_the_Sky)
  79. [79](https://www.bartleby.com/essay/Recording-Techniques-for-Pink-Floyds-Dark-Side-FK49YJ6AWG8AX)
  80. [80](https://www.bartleby.com/essay/Recording-Techniques-for-Pink-Floyds-Dark-Side-FK49YJ6AWG8AX)
  81. [81](https://en.wikipedia.org/wiki/The_Great_Gig_in_the_Sky)
  82. [82](https://www.reddit.com/r/todayilearned/comments/17fgb31/til_that_25_yearold_clare_torry_who_provided_the/)
  83. [83](https://en.wikipedia.org/wiki/Ummagumma)
  84. [84](https://ja.wikipedia.org/wiki/%E7%8B%82%E6%B0%97_(%E3%83%94%E3%83%B3%E3%82%AF%E3%83%BB%E3%83%95%E3%83%AD%E3%82%A4%E3%83%89%E3%81%AE%E3%82%A2%E3%83%AB%E3%83%90%E3%83%A0))
  85. [85](https://davidjdeal.medium.com/pink-floyds-the-dark-side-of-the-moon-how-an-album-cover-became-an-icon-e95bae0bdc32)
  86. [86](https://namu.wiki/w/%ED%95%91%ED%81%AC%20%ED%94%8C%EB%A1%9C%EC%9D%B4%EB%93%9C)
  87. [87](https://www.thecurrent.org/feature/2018/10/25/today-in-music-history-the-dark-side-of-the-moon-breaks-chart-records)
  88. [88](https://www.google.com/search?q=https://www.youtube.com/watch%3Fv%3DecySLWXQIYc)
  89. [89](https://www.reddit.com/r/todayilearned/comments/17fgb31/til_that_25_yearold_clare_torry_who_provided_the/)
  90. [90](https://www.britannica.com/topic/Pink-Floyd)
  91. [91](https://www.progarchives.com/album.asp?id=1441)
  92. [92](https://www.musicradar.com/artists/i-dont-hear-the-song-as-being-about-syd-barrett-i-hear-it-as-describing-the-failed-bromance-between-david-gilmour-and-roger-waters-a-music-professor-breaks-down-pink-floyds-wish-you-were-here)
  93. [93](https://www.reddit.com/r/todayilearned/comments/3vkdyc/til_that_violinist_st%C3%A9phane_grappelli_played_on/)
  94. [94](https://musicaficionado.blog/2019/11/30/pink-floyds-the-wall-visuals-by-gerald-scarfe/)
  95. [95](https://en.wikipedia.org/wiki/Have_a_Cigar)
  96. [96](https://en.wikipedia.org/wiki/Ummagumma)
  97. [97](https://en.wikipedia.org/wiki/Ummagumma)
  98. [98](https://musicaficionado.blog/2019/11/30/pink-floyds-the-wall-visuals-by-gerald-scarfe/)
  99. [99](https://en.wikipedia.org/wiki/The_Piper_at_the_Gates_of_Dawn)
  100. [100](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79602107_Echoes_of_Dystopia_A_Comparative_Analysis_of_Pink_Floyd's_Animals_and_Orwell's_Animal_Farm)
  101. [101](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10lyifj/on_animals_whowhat_are_the_pigs_on_the_wing_and/)
  102. [102](https://alliesbibleblog.wordpress.com/2012/11/05/allusion-3-pink-floyds-sheep/)
  103. [103](https://www.classicrockreview.com/2012/01/1977-pink-floyd-animals/)
  104. [104](https://en.wikipedia.org/wiki/Animals_(Pink_Floyd_album))
  105. [105](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18y349j/1976_a_40_foot_inflatable_pig_was_being/)
  106. [106](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15gy3xg/which_one_could_be_called_the_punk_album_animals/)
  107. [107](https://en.wikipedia.org/wiki/Animals_(Pink_Floyd_album))
  108. [108](https://de.wikipedia.org/wiki/Pink_Floyd)
  109. [109](https://farleyfloyd.wordpress.com/2020/04/21/a-track-by-track-listening-guide-to-pink-floyds-the-wall/)
  110. [110](https://de.wikipedia.org/wiki/Pink_Floyd)
  111. [111](https://pfco.neptunepinkfloyd.co.uk/band/interviews/other/otherezrin.html)
  112. [112](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cp0xa2/why_did_pink_floyd_hire_bob_ezrin_to_produce/)
  113. [113](https://en.wikipedia.org/wiki/Another_Brick_in_the_Wall)
  114. [114](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z5y1f5/does_someone_know_who_sang_another_brick_in_the/)
  115. [115](https://americansongwriter.com/remember-when-keyboardist-rick-wright-got-fired-for-a-while-from-pink-floyd/)
  116. [116](https://www.grunge.com/228491/the-real-reason-pink-floyd-fired-richard-wright/)
  117. [117](https://www.reddit.com/r/todayilearned/comments/1c0jca3/til_pink_floyd_keyboardist_richard_wright_was/)
  118. [118](https://www.angelfire.com/punk/kissme/wall.htm)
  119. [119](https://amass.jp/161663/)
  120. [120](https://joesiegler.blog/2024/12/pink-floyd-the-final-cut/)
  121. [121](https://spectrumculture.com/2024/04/03/revisit-pink-floyd-the-final-cut/)
  122. [122](https://en.wikipedia.org/wiki/A_Momentary_Lapse_of_Reason)
  123. [123](https://ultimateclassicrock.com/roger-waters-pink-floyd-infamous-rock-lawsuits/)
  124. [124](https://ultimateclassicrock.com/roger-waters-pink-floyd-infamous-rock-lawsuits/)
  125. [125](https://en.wikipedia.org/wiki/A_Momentary_Lapse_of_Reason)
  126. [126](https://ultimateclassicrock.com/roger-waters-pink-floyd-infamous-rock-lawsuits/)
  127. [127](https://en.wikipedia.org/wiki/Richard_Wright_(musician))
  128. [128](https://ja.wikipedia.org/wiki/%E9%AC%B1_(%E3%82%A2%E3%83%AB%E3%83%90%E3%83%A0))
  129. [129](https://www.google.com/search?q=https://tetch-review.com/entry/music-20250211-pinkfloyd)
  130. [130](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13ggdr2/a_momentary_lapse_of_reason_pink_floyd_album/?tl=ja)
  131. [131](https://en.wikipedia.org/wiki/Richard_Wright_(musician))
  132. [132](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1me2sqx/i_formed_this_band_for_gods_sake_and_i_helped/)
  133. [133](https://en.wikipedia.org/wiki/Richard_Wright_(musician))
  134. [134](https://www.thisisvinylcollector.com/features/25-years-division-bell-pink-floyd-33341)
  135. [135](https://en.wikipedia.org/wiki/The_Division_Bell)
  136. [136](https://www.thisisvinylcollector.com/features/25-years-division-bell-pink-floyd-33341)
  137. [137](https://en.wikipedia.org/wiki/The_Division_Bell)
  138. [138](https://en.wikipedia.org/wiki/The_Division_Bell)
  139. [139](https://www.thisisvinylcollector.com/features/25-years-division-bell-pink-floyd-33341)
  140. [140](https://simple.wikipedia.org/wiki/Pink_Floyd_discography)
  141. [141](https://en.wikipedia.org/wiki/A_Momentary_Lapse_of_Reason)
  142. [142](https://journals.openedition.org/volume/3145?lang=en)
  143. [143](https://www.progarchives.com/album.asp?id=1433)
  144. [144](https://sobrief.com/books/pink-floyd-and-philosophy)
  145. [145](https://simple.wikipedia.org/wiki/Pink_Floyd)
  146. [146](https://the-trizjournal.com/wow-in-music-shine-on-you-crazy-diamond/)
  147. [147](https://ultimateclassicrock.com/pink-floyd-live-8-reunion/)
  148. [148](https://www.progarchives.com/album.asp?id=1441)
  149. [149](https://ultimateclassicrock.com/pink-floyd-live-8-reunion/)
  150. [150](https://simple.wikipedia.org/wiki/Pink_Floyd)
  151. [151](https://www.britannica.com/topic/Pink-Floyd)
  152. [152](https://simple.wikipedia.org/wiki/Pink_Floyd)
  153. [153](https://mikeladano.com/2014/11/24/review-pink-floyd-the-endless-river-2014-cdblu-ray/)
  154. [154](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15tlx0u/the_endless_river_actually_has_some_pretty_good/)
  155. [155](https://brutallyhonestrockalbumreviews.wordpress.com/2019/02/10/album-review-pink-floyd-the-endless-river/)
  156. [156](https://kevinstephany.wordpress.com/2015/01/20/music-review-pink-floyd-the-endless-river/)
  157. [157](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3xv3ys/how_did_pink_floyd_influence_music/?tl=ko)
  158. [158](https://izm.co.kr/posts?id=23281)
  159. [159](https://shop.pinkfloyd.com/products/pink-floyd-their-mortal-remains-book-paperback)
  160. [160](https://www.britannica.com/topic/Pink-Floyd)
  161. [161](https://de.wikipedia.org/wiki/Pink_Floyd)
  162. [162](https://www.progarchives.com/album.asp?id=1433)
  163. [163](https://simple.wikipedia.org/wiki/Pink_Floyd)
  164. [164](https://openingnight.online/pink-floyd-dark-side-of-the-moon-progressive-rock-masterpiece/)
  165. [165](https://ja.wikipedia.org/wiki/%E3%83%94%E3%83%B3%E3%82%AF%E3%83%BB%E3%83%95%E3%83%AD%E3%82%A4%E3%83%89)
  166. [166](https://ja.wikipedia.org/wiki/%E3%83%94%E3%83%B3%E3%82%AF%E3%83%BB%E3%83%95%E3%83%AD%E3%82%A4%E3%83%89)
  167. [167](https://openingnight.online/pink-floyd-dark-side-of-the-moon-progressive-rock-masterpiece/)
  168. [168](https://dataspace.princeton.edu/handle/88435/dsp01hx11xh571)
  169. [169](https://en.wikipedia.org/wiki/The_Great_Gig_in_the_Sky)
  170. [170](https://www.bartleby.com/essay/Recording-Techniques-for-Pink-Floyds-Dark-Side-FK49YJ6AWG8AX)
  171. [171](https://www.bartleby.com/essay/Recording-Techniques-for-Pink-Floyds-Dark-Side-FK49YJ6AWG8AX)
  172. [172](https://ja.wikipedia.org/wiki/%E7%8B%82%E6%B0%97_(%E3%83%94%E3%83%B3%E3%82%AF%E3%83%BB%E3%83%95%E3%83%AD%E3%82%A4%E3%83%89%E3%81%AE%E3%82%A2%E3%83%AB%E3%83%90%E3%83%A0))
  173. [173](https://www.loc.gov/static/programs/national-recording-preservation-board/documents/dark-side-of-the-moon.pdf)
  174. [174](https://note.com/zep4/n/n65da13092ae7)
  175. [175](https://www.bartleby.com/essay/Recording-Techniques-for-Pink-Floyds-Dark-Side-FK49YJ6AWG8AX)
  176. [176](https://en.wikipedia.org/wiki/On_the_Run_(instrumental))
  177. [177](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59mxlp/vcs3_in_the_dark_side_of_the_moon/)
  178. [178](https://reverb.com/news/ems-and-the-vcs-3-the-first-portable-synthesizer)
  179. [179](http://www.kitrae.net/music/David_Gilmour_Tone_Building_3.html)
  180. [180](https://www.gilmourish.com/?page_id=74)
  181. [181](https://www.t-rex-effects.com/binson-echorec)
  182. [182](https://en.wikipedia.org/wiki/A_Momentary_Lapse_of_Reason)
  183. [183](https://en.wikipedia.org/wiki/Pink_Floyd_live_performances)
  184. [184](https://www.quora.com/What-is-the-video-used-in-Pink-floyd%C2%B4s-Division-Bell-tour-Pulse-on-the-Mr-screen-large-projection-circular-panel-in-the-song-Shine-on-you-crazy-diamond)
  185. [185](https://www.reddit.com/r/todayilearned/comments/1flq27e/til_in_1967_pink_floyd_held_the_first_significant/)
  186. [186](https://www.youtube.com/watch?v=Y0ZA9wLALP0)
  187. [187](https://simple.wikipedia.org/wiki/Pink_Floyd)
  188. [188](https://en.wikipedia.org/wiki/Pink_Floyd_live_performances)
  189. [189](https://en.wikipedia.org/wiki/See_Emily_Play)
  190. [190](https://books.google.com/books/about/Pink_Floyd_and_Philosophy.html?id=qxlBF7G5tjcC)
  191. [191](https://simple.wikipedia.org/wiki/Pink_Floyd)
  192. [192](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12y69kd/the_wall_main_message_theory/?tl=ja)
  193. [193](https://en.wikipedia.org/wiki/Pink_Floyd_live_performances)
  194. [194](https://sobrief.com/books/pink-floyd-and-philosophy)
  195. [195](https://www.google.com/search?q=https://dergipark.org.tr/en/download/article-file/4745394)
  196. [196](https://sobrief.com/books/pink-floyd-and-philosophy)
  197. [197](https://izm.co.kr/posts?id=23281)
  198. [198](https://ja.wikipedia.org/wiki/%E7%8B%82%E6%B0%97_(%E3%83%94%E3%83%B3%E3%82%AF%E3%83%BB%E3%83%95%E3%83%AD%E3%82%A4%E3%83%89%E3%81%AE%E3%82%A2%E3%83%AB%E3%83%90%E3%83%A0))
  199. [199](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1auqnqs/waters_said_in_an_interview_that_the_song_wish/)
  200. [200](https://digitalcommons.georgiasouthern.edu/cgi/viewcontent.cgi?article=1382&context=honors-theses)
  201. [201](https://en.wikipedia.org/wiki/The_Piper_at_the_Gates_of_Dawn)
  202. [202](https://izm.co.kr/posts?id=23281)
  203. [203](https://simple.wikipedia.org/wiki/Pink_Floyd)
  204. [204](https://www.quora.com/What-is-the-video-used-in-Pink-floyd%C2%B4s-Division-Bell-tour-Pulse-on-the-Mr-screen-large-projection-circular-panel-in-the-song-Shine-on-you-crazy-diamond)
  205. [205](https://ja.wikipedia.org/wiki/%E7%8B%82%E6%B0%97_(%E3%83%94%E3%83%B3%E3%82%AF%E3%83%BB%E3%83%95%E3%83%AD%E3%82%A4%E3%83%89%E3%81%AE%E3%82%A2%E3%83%AB%E3%83%90%E3%83%A0))
  206. [206](https://davidjdeal.medium.com/pink-floyds-the-dark-side-of-the-moon-how-an-album-cover-became-an-icon-e95bae0bdc32)
  207. [207](https://musicaficionado.blog/2019/11/30/pink-floyds-the-wall-visuals-by-gerald-scarfe/)
  208. [208](https://en.wikipedia.org/wiki/Animals_(Pink_Floyd_album))
  209. [209](https://tunetempest.co.uk/pink-floyds-animals-relevant-today/)
  210. [210](https://en.wikipedia.org/wiki/Gerald_Scarfe)
  211. [211](https://www.neptunepinkfloyd.co.uk/forum/viewtopic.php?t=15560)
  212. [212](https://en.wikipedia.org/wiki/Gerald_Scarfe)
  213. [213](https://www.ebay.com/itm/316845365356)
  214. [214](https://www.google.com/search?q=https://tetch-review.com/entry/music-20250211-pinkfloyd)
  215. [215](https://www.youtube.com/watch?v=lZonMxnisMg)
  216. [216](https://www.reddit.com/r/MusicaBR/comments/1ncv80d/o_que_radiohead_tem_a_ver_com_pink_floyd/?tl=en)
  217. [217](https://openingnight.online/pink-floyd-dark-side-of-the-moon-progressive-rock-masterpiece/)
  218. [218](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15gy3xg/which_one_could_be_called_the_punk_album_animals/)
  219. [219](https://www.neptunepinkfloyd.co.uk/forum/viewtopic.php?t=12595)
  220. [220](https://kdarchive.wordpress.com/2013/02/18/february-4-1977-punk-floyd/)
  221. [221](https://openingnight.online/pink-floyd-dark-side-of-the-moon-progressive-rock-masterpiece/)
  222. [222](https://simple.wikipedia.org/wiki/Pink_Floyd)
  223. [223](https://www.britannica.com/topic/Pink-Floyd)
  224. [224](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qr8822/so_whats_the_story_behind_animals_what_does_the/)
  225. [225](https://www.google.com/search?q=http://sydbarrett.net/subpages/books/syd_barrett_books.htm)
  226. [226](https://ja.wikipedia.org/wiki/%E3%83%94%E3%83%B3%E3%82%AF%E3%83%BB%E3%83%95%E3%83%AD%E3%82%A4%E3%83%89)
  227. [227](https://www.reddit.com/r/LetsTalkMusic/comments/u85hm5/lets_talk_about_meddle_by_pink_floyd/)
  228. [228](https://www.reddit.com/r/MusicaBR/comments/1ncv80d/o_que_radiohead_tem_a_ver_com_pink_floyd/?tl=en)
  229. [229](https://ray.yorksj.ac.uk/id/eprint/2449/1/The%20Pink%20Floyd%20Intensity%20v2%20Mar18.pdf)
  230. [230](https://www.britannica.com/topic/Pink-Floyd)
  231. [231](https://en.wikipedia.org/wiki/Gerald_Scarfe)
  232. [232](https://journals.openedition.org/volume/3145?lang=en)
  233. [233](https://www.britannica.com/topic/Pink-Floyd)
  234. [234](https://www.reddit.com/r/pinkfloyd/comments/x0o5cf/hello_there_can_someone_give_me_exact/)
  235. [235](https://www.youtube.com/watch?v=NuDEnF9zgEA)
  236. [236](http://richardwright.net/richard_wright_bio/)
  237. [237](https://en.wikipedia.org/wiki/Richard_Wright_(musician))
  238. [238](https://en.wikipedia.org/wiki/Wet_Dream_(album))
  239. [239](https://www.progarchives.com/album.asp?id=6126)
  240. [240](https://en.wikipedia.org/wiki/Nick_Mason)
  241. [241](https://www.goodreads.com/book/show/265734.Inside_Out)
  242. [242](https://www.thesaucerfulofsecrets.com/)
  243. [243](https://amass.jp/161663/)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