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창업시장10대트렌드

2002 창업시장 10대 트렌드[ | ]

테이크아웃.복합화 거센 열풍 .. 2002 창업시장 10대 트렌드

올해 창업시장을 휩쓴 화두는 테이크아웃 복합화 리모델링 주5일근무제 등이었다.
한국창업전략연구소(소장 이경희)는 2002년 창업시장에서 이같은 트렌드가 뚜렷했다고 발표했다. 연구소가 선정한 10대 트렌드를 소개한다.

1.테이크아웃 열풍
테이크아웃 문화는 에스프레소 커피를 시초로 외식업 전반으로 확산됐다. 동네 치킨 전문점들도 테이크아웃 판매 방식을 적극 도입했으며 아이스크림 버블티 샌드위치 핫도그는 물론 비빔밥 칼국수 중국음식 같은 전문 음식점들도 테이크아웃 판매를 병행하는 게 유행이 됐다. 테이크아웃 열풍으로 전국에서는 때아닌 미니점포 구하기 전쟁이 벌어졌다.

2.멀티.복합화 물결
창업 시장의 "3고"로 꼽히는 고임대료 고원가 고인건비 현상이 점포 수익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대두되면서 수익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멀티화 복합화 현상이두드러졌다. 음료수와 샌드위치를 즐기면서 DVD 감상을 할 수 있는 DVD 카페,커피를 마시면서 친구를 만나고 피부관리 서비스를 받는 메이크업 카페,게임은 물론 패스트푸드를 즐기고 에스프레소 커피를 마실수 있으며 나만의 음악 CD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카페 등이 대표적 사례이다.

3.생활편의 트렌드
새로운 업종의 등장으로 가장 혜택을 많이 본 계층은 단연 주부다. 맞벌이 부부가 늘고 가사를 전문화된 업체에 맡기는 라이프 스타일이 확산되면서 생활편의 업종들이 대거 등장했다. 매일 아침 다른 종류의 국을 배달해주는 국배달사업에 이어 깔끔하게 손질한 생선을 배달해주는 생선배달업,아침마다 손질한 과일을 배달해주는 과일배달사업,즉석에서 만든 아기 이유식을 제공하는 핸드메이드 이유식 전문점 등이 바로 그것이다.

4.인테리어 업그레이드
창업 시장을 선도한 "스타 업종"이 없는 대신 기존 점포의 인테리어 업그레이드나 리모델링형 업종들이 등장해 창업시장을 달궜다. 이에 따라 인테리어와 디자인력이 경쟁요소로 부상했다. 주얼리 전문점처럼 고급 인테리어가 성공의 새로운 요건으로 등장한 것. PC방이 카페 분위기로 변신하는 것처럼 개성있는 인테리어로 바꾸는 경우가 많았다.

5.주5일 근무제 확산
주5일제 근무 확산에 따라 새롭게 부상하는 유망업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일본에서 마니아를 형성할 정도로 인기있는 애견전문점,허브용품 전문점,DIY(조립상품)전문점 등이 국내에도 주거지 주변에 속속 창업되고 있다. 1~2년 전부터 불기 시작한 골프 열풍은 주5일 근무제 영향으로 열기를 더하고 있다. 이밖에 찜질방,미용관련 사업,팬션렌탈업,스포츠용품점 등도 매출이 늘고 있는추세다.

6.환경.자연.건강 트렌드
쾌적함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 기왕이면 환경을 고려한 소비를 하겠다는 가치관이 확산되고 있다. 화장실 리폼 사업은 소비고급화는 물론 월드컵 덕을 톡톡히 본 업종이다. 이밖에 간판 클리닝이나 유리창 청소,외벽 클리닝 사업도 성장 추세다. 실내 클리닝 사업도 각광받고 있다. 건강 트렌드는 외식업 전반에 걸쳐 중요한 이슈로 등장했다.

7.아동교육사업
불황에 강한 업종으로 손꼽히는 아동교육사업은 올해도 강세를 보였다. 부모의 교육열과 조기교육 열풍 덕분이다. 최근 선보인 아동교육사업의 특징은 에듀테인먼트. 교육을 뜻하는 에듀케이션(education)과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의 합성어다. 어린이들이 재미있게 놀면서 자연스럽게 배우도록 한다는 것이다.

8.선진국형 라이프스타일
어떤 업종이든 해당 사업이 시장에 뿌리를 내리려면 그 시장이 일정 수준의 소득에 도달해야 한다. 선진국에서 인기를 얻는 다양한 선진국 라이프 스타일형 업종이 많이 확산된게2002년이었다. 네일아트 전문점,허브 전문점,애완동물 백화점,시터 파견업,파티복 대여점 등을사례로 꼽을 수 있다.

9.하이테크 트렌드
컴퓨터나 인터넷을 응용한 기술은 창업시장에 꾸준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컴퓨터를 이용해서 다양한 포토 팬시 제품을 제작하는 포토아트 전문점은 보다업그레이드된 성능의 캠코드와 프린터를 이용하는 디지털 사진관으로 변신해 새롭게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인터넷을 활용해 기존 노래방을 업그레이드한 디지털 노래방도 등장했다.

10.전통음식의 현대화
지난 2~3년간 각국의 외식문화가 유입돼 퓨전음식이 확산됐다면 올해는 월드컵을 계기로 전통음식이 인기상품으로 부상,세계화의 기반을 다진 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음식의 현대화는 한국적인 음식문화에 서구적인 문화가 결합돼 순화된 모습을 보였다는게 특징이다. 게요리 순대요리 비빔밥 감자탕 낙지요리 전문점이 이런 경향을 이끌었다.

강창동 유통전문기자 mailto:cdkang@hankyung.com
도움말=이경희 한국창업전략연구소장장(786-8406)
[자료원]:한국경제/2002.12.09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