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어 조어법

Jmnote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7월 24일 (월) 19:43 판 (새 문서: ==개요== ;한자어 조어법 * 한국어의 어휘 가운데는 고유어 어휘 이외에 한자어 어휘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자는 근본적으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1 개요

한자어 조어법
  • 한국어의 어휘 가운데는 고유어 어휘 이외에 한자어 어휘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한자는 근본적으로 글자 하나가 독립된 뜻을 가진 형태소이기 때문에 서로 결합시키면 수많은 어휘를 만들어 낼 수 있음

2 1

‘인’(人)이란 글자는 의존 형태소로서 다른 글자의 앞이나 뒤에도 설 수 있고 한 단어의 끝에도 올 수 있음

3 2

‘서술어+목적어’나 ‘서술어+부사어’의 구성으로 된 어휘

  • 독서(讀書), 구인(求人), 급수(給水), 문명(問名)
  • 하산(下山), 등산(登山), 하차(下車), 등교(登校)

4 3

여러 글자로 된 말을 중심되는 두 글자를 따서 결합시키는 절단(切斷)현상

  • 대한민국(大韓民國)→한국(韓國)
  • 임시정부(臨時政府)→임정(臨政), 노동조합(勞動組合)→노조(勞組)
  • 일본제국(日本帝國)→일제(日帝)

5 4

접사의 성격

  • 가교사(假校舍), 귀금속(貴金屬), 요리사(料理師), 애국자(愛國者)
  • 이군(李君), 박정숙양(朴貞淑孃), 김기선씨(金基善氏), 정영숙여사(鄭英淑女史)

6 5

접미사의 기능이 가장 분명한 '적(的)'

  • 그는 인간적(人間的)이다.
  • 그는 아주 인간적(人間的)이다.

7 6

‘-스럽’이 붙는 말은 ‘-적’이 오지 못하고 ‘-적’이 붙는 말은 ‘-스럽-’이 첨가되지 않음

  • -스럽다: 고통(苦痛)스럽다, 다정(多情)스럽다
  • -적이다: 개방(開放)적이다, 문화(文化)적이다

8 같이 보기

9 참고

  • 남기심·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