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일본인의 국가인식

Pinkcrimson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1월 17일 (금) 22:02 판 (새 문서: ==개요== ; 근대 일본인의 국가인식 - 메이지 인물 6인의 삶을 관통한 국가 * 박훈·이새봄·조국·박완·오윤정·박은영·이은경 지음(2023) *...)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1 개요

근대 일본인의 국가인식 - 메이지 인물 6인의 삶을 관통한 국가
근대 일본인의 국가인식 - 메이지 인물 6인의 삶을 관통한 국가
1판 1쇄 발행 2023년 12월 1일
박훈·이새봄·조국·박완·오윤정·박은영·이은경 지음
편집 정철 표지 디자인 김상만
발행 정철 출판사 빈서재
이메일 pinkcrimson@gmail.com
ISBN 979‑11‑980639‑5‑3 (94910)

가로 128mm X 세로 188mm
399페이지. 22000원.

913 일본사 > 메이지 시대
991 외교, 국제관계 > 일본 외교사

2 이미지

Toku300-3.jpgToku300-4.jpg

전체 표지 보기

Toku300-1.jpgToku300-2.jpgToku300-3.jpgToku300-4.jpgToku300-5.jpg

3 목차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차 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서장 : ‘대외론’이라는 ‘사상의 실상’ . . . . . . . . . 13

제 1 장 임오군란 ·갑신정변 시기의 대외론 . . . . 35
들어가며 . . . . . . . . . . . . . . . . . . . . . . 35
1.1 ‘조선 개조론’의 구조와 ‘탈아론’ . . . . . . 41
1.2 ‘청일협조론’과 ‘탈아론’ . . . . . . . . . . . 70

제 2 장 청일 ·러일전쟁에 걸친 대외론 . . . . . . . 97
들어가며 . . . . . . . . . . . . . . . . . . . . . . 97
2.1 『일본신문』의 ‘북수남진론’ . . . . . . . . . 105
2.2 ‘중국 분할’의 개시와 ‘북수남진론’ . . . . . 111
2.3 의화단 운동과 ‘북진론’의 대두 . . . . . . . 123
2.4 청일 ·러일전쟁 사이의 대외론 . . . . . . . 132

제 3 장 신해혁명 전후의 대외론 . . . . . . . . . . . 137
들어가며 . . . . . . . . . . . . . . . . . . . . . . 137
3.1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탈아론적 대외론 . . . 141
3.2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아시아주의적 대외론 147
3.3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위안스카이 배척 정책 159
3.4 약간의 전망 . . . . . . . . . . . . . . . . . 171

제 4 장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179
후쿠자와 유키치로 본 메이지 초기의 내정과 외교 . . . 199

후기와 해설 . . . . . . . . . . . . . . . . . . . . . . . 225
초판 후기 . . . . . . . . . . . . . . . . . . . . . 225
문고판 후기 . . . . . . . . . . . . . . . . . . . . 231
해설 : ‘탈아론’과 ‘아시아주의’라는 환영 . . . (가루베 다다시) 235
역자 후기 . . . . . . . . . . . . . . . . . . . . . 243
찾아보기 . . . . . . . . . . . . . . . . . . . . . . . . . 247

4 출판사 책소개

[헤드카피]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인들의 충성 대상은 다이묘, 쇼군에서 천황으로 바뀌었다. 충성심이 애국심으로 바뀌는 과정 속에서 근대 일본인들에게 국가란 어떤 것이었는지 읽어본다.

  • 후쿠자와 유키치의 국가론은 독립된 주체인 개인이 모여 한 나라의 독립으로 이어진다는 발상에 기초한다. 관에 의존하지 않는 민의 존재를 강조했으나 그의 이상론은 국가적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현실론에 종종 가려졌다.
  • 오쿠마 시게노부나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같은 정치가·군인에게는 나라가 망할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있었고 민권도 중요하지만 시기상조라는 인식이 있었다. 그들에게 국민은 국가가 이끌고 가야 할 대상이었고 국가는 그만큼 절대적이었다.
  • 다카무라 고운·우치무라 간조·쓰다 우메코 등의 문화인에게는 예술·종교·여성교육이라는 주요 과업이 눈앞에 있었다. 하지만 시대적 한계로 그들의 과업은 국가라는 대명분의 수단으로 이용되었으며 본인들도 그것을 거부하지 않았다.


[간단 소개]


5 책속 한구절

일본 문화를 구성하는 많은 요소가 외래문화, 특히 중국에서 전래된 것임은 새삼스레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오늘날 ‘일본적’ 문화의 대표라고 생각되는 것들이 실은 전래된 당초에는 ‘이국적’이었기 때문에 지식인들에게 환영받았다가, 근세에 들어선 후 그것이 ‘일본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고 할 만한 것이 있다. 첫손가락에 꼽을 만한 것이 바로 선(禪)이다. – [p40]

근세의 쇄국에 대해 나름의 견해를 서술하겠다. 결론부터 말하면 에도 막부의 쇄국 정책, 특히 정책 실시에 관한 후세의 논평은 그 의의와 공과라는 점에서 심히 부당한 부담을 지웠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현대 일본인의 국제성 결여조차 근세 쇄국의 후유증인 것처럼 말하기도 하는데 일본인의 섬나라 근성이 단순히 쇄국 때문이라고 할 수 없다.– [p75]

기타무라 도코쿠는 『도쿠가와 시대 평민적 이상』에서 “겐로쿠 문학을 비하하여 일본 문학의 치욕”이라 간주하는 설에 반대하며 “일본에서 처음으로 언급된 평민의 목소리”라 주장하면서 평민적 이상의 발로이자 일본의 생명 표현이라 평가하였다. 그러면서 “도쿠가와 3백 년의 저변에 흐르는 큰 강물이 눈앞을 가로지를 때 나는 이를 즐겨 관찰한다. 누가 알겠는가. 도쿠가와 시대에 땅 밑에서 흐르던 큰 강물은 메이지의 정치적 혁신에 막혀 멈출 수 있는 것이 아님을”이라고 논하였다.– [p149]

6 저자 소개

  • 박훈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메이지유신과 사대부적 정치문화』, 『메이지유신은 어떻게 가능했는가』등을 집필했다.
  • 이새봄 세이케이대학 정치학과 교수. 근세 ·근대의 일본 정치사상사를 연구하고 있다.
  • 조국 성신여자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근대 일본의 법제사 ·외교사를 연구하고 있다.
  • 박완 한앙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 조교수. 근대 일본의 정치 ·군사사를 연구하고 있다.
  • 오윤정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조교수. 근대 일본의 미술사와 시각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 박은영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일본 그리스도교사와 근대 일본 여성의 사상 형성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 이은경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부교수. 근대 일본의 역사를 여성 인물과 운동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출판사 / 총서 소개]

에도 말기와 메이지유신 전환기를 주로 공부하는 박훈 교수는 도쿠가와 시대를 다룬 연구서가 매우 적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주변의 연구자들을 모으고 때를 기다리다가 플라톤 아카데미와 함께 연구서를 출간할 기회를 마련했다. 한일관계가 나빠질수록 서로를 알아야 미래를 기약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그간 외면되었던 일본 근세와 근대의 주요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빈서재 출판사는 이에 호응하여 연구총서를 준비했다.

7 띠지의 추천서 목록

메이지 시대 인물 고전/사료 소개
  • 후쿠자와 유키치 자서전 (후쿠자와 유키치, 이산)
  • 일본의 설계자, 시부사와 에이이치 (시부사와 에이이치, 21세기북스)
  • 일본인이 말하는 대표적 일본인 (우치무라 간조, 인문사)
메이지 시대 인물 연구서/교양서 소개
  • 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 - 그들은 왜 칼 대신 책을 들었나 (박훈 / 21세기북스)
  • 후쿠자와 유키치 다시 보기 (마츠다 고이치로 / 아포리아)
  • 이토 히로부미와 대한제국 (한상일 / 까치)
  • 이토 히로부미 (이토 유키오 / 선인)
  • 근대 일본 여성 분투기 - 일본과 여성의 관계사 (이은경 / 한울)
  • 나의 일본미술 순례 1 - 일본 근대미술의 이단자들 (서경식 / 연립서가)
  • 『도련님』의 시대 (세키카와 나쓰오, 다니구치 지로 / 세미콜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