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메이드 인 코리아 시대

Jmnote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3월 5일 (일) 16:27 판 (→‎#Jmnote)

1 개요

뉴 메이드 인 코리아 시대 - 축적의 시간
  • KBS 공사창립기획 2부작
제목 방영일
1부 - 착각의 시간 2017-03-04(토)
2부 - 축적에서 길을 찾다 2017-03-05(일)

2 1부

 

  • 경제성장을 로켓에 비유하자면...
  • 1단계 추진은 매우 성공적이었음
외국기술 벤치마크, 외국에서 개념설계를 받아 수행
정확히 빠르게 실수없이 수행
  • 2단계 추진은 잘 안되고 있음
아직도 1단계 성공했던 경험을 답습하고 있음
2단계 추진에 중요한 것은 자체 개념설계역량
  • 개념설계는 시행착오의 축적으로 달성가능
시행착오는 귀중한 실패 경험의 축적임 + 그런데 한국에서는 실패가 용인되지 않음
(글로벌) 창의적으로 시장을 선도하자 + (한국식) 빠르게 실수없이 6개월 내에 ㅠㅠ
→ 국가 R&D 프로젝트의 성공률 90% (의미없는 포장)
→ 시행착오와 실패를 구분하지 못함
  • 기술개발-생산 사이의 피드백을 짧게 해야 시행착오 축적 원활
기존에는 "기술개발은 국내에서, 생산은 해외에서"(오프쇼어링)였으나 → 리쇼어링할 필요가 있음
  • "장기적 안목에서 시행착오를 동반한 선도자가 되자"
꾸준히 시행착오를 반복하는 집요함이 중요

3 같이 보기

4 #Jmnote

1부 내용 중에 있는 것인데 전체 논지와 연결이 잘 안되서 여기에 따로 기록해둠

  • 비교: 윌리엄 캄쾀바의 발전기 풍차 vs 일론 머스크의 재사용가능로켓
  • 원천기술이 없던 상태에서 시행착오를 통해 개념설계역량을 쌓았다는 사실은 동일함
  • 미국 실리콘밸리에는 활용할 수 있는 산업자산이 풍부했음

물론 산업자산이 중요하다는 취지겠지만, 역시 '미국으로 떠나라.'로 들림;; --Jmnote (토론) 2017년 3월 5일 (일) 16:27 (KST)

5 참고 자료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