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대외관

Pinkcrimson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4월 27일 (목) 23:12 판 (새 문서: ==개요== ; 일본의 대외관 * 메이지 시대 이후부터 2차대전 이전까지의 일본의 대외관에 대한 정리 * 주로 반노 준지의 근대 일본과 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1 개요

일본의 대외관

2 청일관계 관련 대외론의 도식화

  1. 구미의 압박→ 중·일 양국의 제휴에 따른 저항→ 『청일협조론』
  2. 제휴국으로 청국이 무력하다는 인식→ 청국의 개조·강화 필요라는 판단→ 이른바 『청국개조론』
  3. 제국주의 시대의 개시→ 청국의 강화를 기다릴 틈이 없다는 긴박감→ 제휴의 포기→ 『탈아론』
  4. 선진 제국주의 세력에 동조→ 『중국분할』 지향→ 청일전쟁→ 침략론”
하시카와 분조橋川文三 『순역의 사상-탈아론 이후順逆の思想―脱亜論以後』(1973), 33쪽)

3 임오군란·갑신정변 시기

4 같이 보기

  • [[ ]]
  • [[ ]]
  • [[ ]]
  • [[ ]]
  • [[ ]]
  • [[ ]]

5 참고

[[분류: ]] [[분류: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