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 cloud-controller-manager"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쿠버네티스 Cloud Controller Manager (CCM)
;쿠버네티스 Cloud Controller Manager ([[CCM]])
;Kubernetes 클라우드 컨트롤러 매니저
;Kubernetes 클라우드 컨트롤러 매니저
;cloud-controller-manager
* 쿠버네티스를 다른 클라우드와 연동하는 방법
* 쿠버네티스를 다른 클라우드와 연동하는 방법
* 외부 클라우드 매니저와 상호작용
* 코어 릴리즈 사이클 바깥에서 개발된 기능을 허용할 수 있다.
* 각 kubelet은 <code>--cloud-provider-external</code>을 사용해야 한다.
* v1.8에서 알파, v1.12에서 베타
* v1.8에서 알파, v1.12에서 베타
* 쿠버네티스 v1.6에 <code>cloud-controller-manager</code>라는 새로운 바이너리가 도입됨
* 쿠버네티스 v1.6에 <code>cloud-controller-manager</code>라는 새로운 바이너리가 도입됨
:클라우드-관련 컨트롤 루프를 내장한 데몬
:클라우드-관련 컨트롤 루프를 내장한 데몬
:( 이전에는 클라우드-관련 컨트롤 루프가 [[kube-controller-manager]]에 있었음 )
:( 이전에는 클라우드-관련 컨트롤 루프가 [[kube-controller-manager]]에 있었음 )
* 쿠버네티스 프로젝트에 비해 클라우드 프라바이더들은 각기 다른 페이스(pace)로 개발·배포하기 때문에, 특정 프로바이더에 국한된 코드를 클라우드-컨트롤러-매니저 바이너리로 추상화함으로써 클라우드 벤더들이 코어 쿠버네티스 코드와 독립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
* 쿠버네티스 프로젝트에 비해 클라우드 프라바이더들은 각기 다른 페이스(pace)로 개발·배포를 진행하는데, 특정 프로바이더에 국한된 코드를 클라우드-컨트롤러-매니저 바이너리로 추상화함으로써 클라우드 벤더들이 코어 쿠버네티스 코드와 독립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CCM 도입 이전 아키텍처 (구식)==
[[File:pre-ccm-arch.png|800px]]
 
==CCM 도입 이후 아키텍처 (현행)==
[[File:post-ccm-arch.png|800px]]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controller-manager]]
* [[kube-controller-manager]]
* [[kube-controller-manager]]
* [[쿠버네티스 용어]]
* [[k8s 용어]]
* [[k8s 아키텍처]]
* [[k8s 컴포넌트]]
* [[k8s 컨트롤 플레인]]


==참고==
==참고==
17번째 줄: 31번째 줄:
* https://kubernetes.io/docs/tasks/administer-cluster/running-cloud-controller/
* https://kubernetes.io/docs/tasks/administer-cluster/running-cloud-controller/


[[분류: kubernetes]]
[[분류:K8s]]

2024년 5월 7일 (화) 12:54 기준 최신판

1 개요[ | ]

쿠버네티스 Cloud Controller Manager (CCM)
Kubernetes 클라우드 컨트롤러 매니저
cloud-controller-manager
  • 쿠버네티스를 다른 클라우드와 연동하는 방법
  • 외부 클라우드 매니저와 상호작용
  • 코어 릴리즈 사이클 바깥에서 개발된 기능을 허용할 수 있다.
  • 각 kubelet은 --cloud-provider-external을 사용해야 한다.
  • v1.8에서 알파, v1.12에서 베타
  • 쿠버네티스 v1.6에 cloud-controller-manager라는 새로운 바이너리가 도입됨
클라우드-관련 컨트롤 루프를 내장한 데몬
( 이전에는 클라우드-관련 컨트롤 루프가 kube-controller-manager에 있었음 )
  • 쿠버네티스 프로젝트에 비해 클라우드 프라바이더들은 각기 다른 페이스(pace)로 개발·배포를 진행하는데, 특정 프로바이더에 국한된 코드를 클라우드-컨트롤러-매니저 바이너리로 추상화함으로써 클라우드 벤더들이 코어 쿠버네티스 코드와 독립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2 CCM 도입 이전 아키텍처 (구식)[ | ]

Pre-ccm-arch.png

3 CCM 도입 이후 아키텍처 (현행)[ | ]

Post-ccm-arch.png

4 같이 보기[ | ]

5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