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쿠마 신서 역사강의 시리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29번째 줄: 229번째 줄:
* {{리브레위키}}
* {{리브레위키}}


[[분류:   ]]
[[분류: 시리즈]]
[[분류:  ]]

2022년 12월 24일 (토) 01:17 판

1 개요

치쿠마 신서 역사강의 시리즈
ちくま新書歴史講義シリーズ

2 고고학 강의

고고학 강의
考古学講義
호조 요시타카北條芳隆 편, 2019년 5월 7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406

3 고대사 강의

3.1 본편

고대사 강의:야마타이 국에서 헤이안 시대까지
古代史講義ー邪馬台国から平安時代まで
사토 마코토佐藤信 편, 2018년 1월 9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300

3.2 전란편

고대사 강의:전란편
古代史講義【戦乱篇】
사토 마코토 편, 2019년 3월 5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391

3.3 궁도편

고대사 강의:궁도편
古代史講義【宮都篇】
사토 마코토 편, 2020년 3월 5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480

3.4 씨족편

고대사 강의:씨족편
古代史講義【氏族篇】
사토 마코토 편, 2021년 6월 8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579

4 중세사 강의

4.1 본편

중세사 강의:원정기에서 전국시대까지
中世史講義:院政期から戦国時代まで
타카하시 노리유키高橋典幸, 고미 후미히코五味文彦 편, 2019년 1월 7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378

4.2 전란편

중세사 강의:전란편
中世史講義【戦乱篇】
타카하시 노리유키 편, 2020년 4월 6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485

5 근세사 강의

근세사 강의:여성의 힘을 다시 묻는다
近世史講義ー女性の力を問いなおす
타카노 토시히코(高埜利彦) 편, 2020년 1월 6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469

6 메이지사 강의

6.1 테마편

메이지사 강의:테마편
明治史講義【テーマ篇】
코바야시 카즈유키小林和幸 편, 2018년 3월 5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318

6.1.1 목차

  • 쿠스미 신야 - 개국과 존왕양이운동:국시의 모색 / 久住真也:開国と尊王攘夷運動─ 国是の模索
  • 이케다 유타 - 막말 웅번과 공의정체론:'공의' 운동으로 보는 막말 정치 / 池田勇太:幕末雄藩と公議政体論─ 「公議」の運動からみる幕末政治
  • 토모다 마사히로 - 왕정복고와 유신정부:경합하는 유신 관료와 제번 / 友田昌宏:王政復古と維新政府─ せめぎあう維新官僚と諸藩
  • 오치아이 히로키 - 폐번치현・질록처분:분권에서 집권으로 / 落合弘樹:廃藩置県・秩禄処分─ 分権から集権へ
  • 오오시마 아키코 - 육해군의 창설:징병제의 선택과 통수권의 독립 / 大島明子:陸海軍の創設─ 徴兵制の選択と統帥権の独立
  • 야마구치 테루오미 - 메이지 전기의 국가와 신사・종교:신사가 종교가 아니었던 것은 왜인가 / 山口輝臣:明治前期の国家と神社・宗教─ 神社が宗教でなかったのはなぜか
  • 오노 사토코 - 만국공법과 대만 출병:새 국가질서로의 한 사다리 / 小野聡子:万国公法と台湾出兵─ 新しい国際秩序への一階梯
  • 나카모토 타카토시 - 자유민권운동과 번벌정부:이타가키 피습과 민권운동의 전개 / 中元崇智:自由民権運動と藩閥政府─ 板垣遭難と民権運動の展開
  • 스즈키 준 - 서남전쟁과 신기술:해군・기선・구마모토 성 농성 / 鈴木淳:西南戦争と新技術─ 海軍・汽船・熊本城籠城
  • 마나베 마사유키 - 메이지 14년의 정변:오오쿠마 시게노부는 왜 추방되었나 / 真辺将之:明治一四年の政変─ 大隈重信はなぜ追放されたか
  • 니시카와 마코토 - 내각제도의 창설과 황실제도:이토 히로부미 플랜의 재검토 / 西川誠:内閣制度の創設と皇室制度─ 伊藤博文のプランニングの再検討
  • 마에다 료스케 - 대일본제국헌법:정치제도의 설계와 그 자율 / 前田亮介:大日本帝国憲法─ 政治制度の設計とその自律
  • 무라세 신이치 - 제국의회의 개막:중의원의 '민당'과 '이당' / 村瀬信一:帝国議会の開幕─ 衆議院の「民党」と「吏党」
  • 코바야시 카즈유키 - 귀족원의 화족과 칙임의원:창설의 이념과 초기 정치회파 / 小林和幸:貴族院の華族と勅任議員─ 創設の理念と初期の政治会派
  • 코미야 카즈오 - 조약개정문제:불평등 조약의 개정과 국가의 독립 / 小宮一夫:条約改正問題─ 不平等条約の改正と国家の独立
  • 사사키 유이치 - 청일전쟁:일본과 동아시아의 전기 / 佐々木雄一:日清戦争─ 日本と東アジアの転機
  • 치바 이사오 - 영일동맹과 러일전쟁:최초의 제국주의 전쟁 / 千葉功:日英同盟と日露戦争─ 最初の帝国主義戦争
  • 히나타 레오 - 식민지 경영의 개시:통치 형태의 모색과 입헌주의 / 日向玲理:植民地経営の開始─ 統治形態の模索と立憲主義
  • 하라구치 다이스케 - 케이엔 시대:의회정치의 정착과 '타협' / 原口大輔:桂園時代─ 議会政治の定着と「妥協」
  • 사쿠라이 료주 - 다이쇼 개변:정계 재편성에서의 내외요원 / 櫻井良樹:大正改変─ 政界再編成における内外要員

6.2 인물편

메이지사 강의:인물편
明治史講義【人物篇】
츠츠이 키요타다筒井清忠 편, 2018년 4월 5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319

6.2.1 목차

  • 오치아이 히로키 - 키도 타카요시:'조리'를 관철시킨 혁명 정치가 / 落合弘樹:木戸孝允─ 「条理」を貫いた革命政治家
  • 이에치카 요시키 - 사이고 타카모리:수수께끼에 둘러싸인 초 인기인 / 家近良樹:西郷隆盛─ 謎に包まれた超人気者 
  • 카츠타 마사하루 - 오오쿠보 토시미치:유신의 원훈, 메이지 정부의 건설자 / 勝田政治:大久保利通─ 維新の元勲、明治政府の建設者
  • 카루베 타다시 - 후쿠자와 유키치:'문명'과 '자유' / 苅部直:福澤諭吉─ 「文明」と「自由」 
  • 코미야 카즈오 - 이타가키 타이스케:스스로의 부족함을 아는 지도자 / 小宮一夫:板垣退助─ 自らの足りなさを知る指導者 
  • 타키이 카즈히로 - 이토 히로부미:일본형 입헌주의의 조형자 / 瀧井一博:伊藤博文─ 日本型立憲主義の造形者 
  • 유카와 후미히코 - 이노우에 코와시:메이지 유신을 안정시키려고 한 관료 / 湯川文彦:井上毅─ 明治維新を落ち着かせようとした官僚 
  • 이오키베 카오루 - 오오쿠마 시게노부:정치 대립의 연출자 / 五百旗頭薫:大隈重信─ 政治対立の演出者 
  • 나가시마 히로키 - 김옥균:근대 조선 '지사'들의 시대 / 永島広紀:金玉均─ 近代朝鮮における「志士」たちの時代 
  • 나가시마 히로키 - 무츠 무네미츠: 『건건록』으로 읽는 청일전쟁과 조선 / 永島広紀:陸奥宗光─ 『蹇蹇録』で読む日清戦争と朝鮮 
  • 카와시마 신 - 이홍장: 동양의 비스마르크? / 川島真:李鴻章─ 東洋のビスマルク? 
  • 시미즈 유이치로 - 야마가타 아리토모:나가서는 장군, 들어와서는 수상 / 清水唯一郎:山県有朋─ 出ては将軍、入ては首相 
  • 코바야시 카즈유키 - 타니 타테키:국민본위, 입헌정치의 확립을 지향하고 / 小林和幸:谷干城─ 国民本位、立憲政治の確立を目指して 
  • 소요기 신이치 - 에노모토 타케아키:일본과 세계를 묶은 정치가 / 麓慎一:榎本武楊─ 日本と世界を結びつけた政治家 
  • 치바 이사오 - 코무라 주타로:메이지 외교의 성숙이란 무엇인가 / 千葉功:小村寿太郎─ 明治外交の成熟とは何か 
  • 치바 이사오 - 카츠라 타로:'입헌통일당'이란 무엇인가 / 千葉功:桂太郎─ 「立憲統一党」とは何か 
  • 니시카와 마코토 - 메이지 천황:입헌군주로서의 자각 / 西川誠:明治天皇─ 立憲君主としての自覚 
  • 나라오카 소치 - 이와사키 야타로:미쓰비시와 일본 해운업의 자립 / 奈良岡聰智:岩崎弥太郎─ 三菱と日本海運業の自立 
  • 미우라 야스유키 - 마츠우라 타케시로:시대를 바라보고, 모으고, 전한 희대의 나그네 / 三浦泰之:松浦武四郎─ 時代を見つめ、集めて、伝えた、希代の旅人 
  • 타나카 토모코 - 후쿠다 히데코:여자가 자전을 자아낼 때 / 田中智子:福田英子─ 女が自伝を紡ぐとき 
  • 크리스토퍼 W.A. 슈필만 - 카노 지고로:유도와 일본의 근대화 / クリストファー・W・A・スピルマン:嘉納治五郎─ 柔道と日本の近代化 
  • 츠츠이 키요타다 - 노기 마레스케:여순 전투・순사・'쇼와 군벌' / 筒井清忠:乃木希典─ 旅順戦・殉死・「昭和軍閥」

6.3 글로벌 연구편

메이지사 강의:글로벌 연구편
明治史講義【グローバル研究篇】 / 타키이 카즈히로瀧井一博 편, 2022년 6월 7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657

6.3.1 목차

  • 지랄델리 아오키 미유키 - 오스만 관료와 메이지 관료:무스타파 빈 무스타파와 와타나베 히로모토가 본 것 / ジラルデッリ青木美由紀(Girardelli Aoki Miyuki):オスマン官僚と明治官僚―ムスタファ・ビン・ムスタファと渡邉洪基が見たもの
  • 채용보 - 대만에서 재현된 '메이지':코다마・고토 시대의 철도기술자 집단 형성 / 蔡龍保:台湾で再現した「明治」―児玉後藤時代の鉄道技術者集団形成
  • 마크 라비나 - 19세기 혁명으로서의 메이지 유신:나폴레옹의 이미지와 내셔널리즘의 모순 / マーク・ラビナ(Mark Ravina):一九世紀の革命としての明治維新―ナポレオンのイメージとナショナリズムの矛盾
  • 자넷 헌터 - 메이지 일본과 세계경제와의 관련:정보통신의 조직화 / ジャネット・ハンター(Janet Hunter):明治日本と世界経済との関連―情報通信の組織化
  • 존 브린 - 메이지 천황의 황위계승의례와 그 유산 / ジョン・ブリーン(John Breen):明治天皇の皇位継承儀礼とその遺産
  • 진연성, 유악병 - 중국의 메이지 유신 연구 개관: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70년의 전개 / 秦蓮星、劉岳兵:中国の明治維新研究概観―中華人民共和国成立後七〇年の展開
  • 대릴 플라허티 - 메이지에서 배우다:과거・현재・장래의 글로벌화 / ダリル・フラハティ(Darryl Flaherty):明治に学ぶ―過去・現在・将来のグローバル化
  • 마렌 엘러스 - 지역사회의 고유성과 보편성:메이지 유신 전후의 에치젠 오오노를 예로 / マーレン・エーラス(Maren Ehlers):地域社会の固有性と普遍性―明治維新前後の越前大野を例に
  • 핫산 카말 하브 - 근대 이집트에서의 메이지 일본:『동방의 태양』을 중심으로 / ハサン・K・ハルブ(Hassan Kamal HARB):近代エジプトにおける明治日本―『東方の太陽』を中心に
  • 응우옌 부 쿠인 누 - 메이지 유신에 관한 최근 베트남의 연구 관심 / グエン・ヴー・クイン・ニュー(NGUYEN VU QUYNH NHU):明治維新に関するベトナムの近年の研究関心
  • 황자진 - 중국 근대화의 모델로서의 메이지 유신 상:손문과 장개석의 일본인식 비교 / 黃自進:中国近代化のモデルとしての明治維新像―孫文と蔣介石の日本認識の比較
  • 셀추크 에센벨 - 튀르키예에서 본 메이지 유신 / セルチュク・エセンベル(Selçuk Esenbel):トルコから見た明治維新
  • 베르링게 코노 노리코 - 프랑스에서 본 메이지 유신:제 1회 국제 동양학자 회의 / ベルランゲ河野紀子(Berlinguez-Kono Noriko):フランスから見た明治維新―第一回国際東洋学者会議
  • 나가이 후미오 - 태국 지방 행정력 향상 프로젝트:'메이지 일본'의 시점에서 생각하다 / 永井史男:タイ地方行政能力向上プロジェクト―「明治日本」の視点から考える
  • 알리스테어 스웨일 - 제국의 습격:막말 일본의 엘리트 관료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 アリステア・スウェール(Alistair Swale):帝国の襲来―幕末日本のエリート官僚はいかにして生まれたか
  • 사이먼 파트너 - 키슈의 여명:키슈 번 무가 출신 여성의 메이지 시대 적응 / サイモン・パートナー(Simon Partner):紀州の夜明け前―紀州藩武家出身女性の明治時代への適応

7 다이쇼사 강의

7.1 본편

다이쇼사 강의
大正史講義
츠츠이 키요타다 편, 2021년 7월 6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589

7.2 문화편

다이쇼사 강의:문화편
大正史講義【文化篇】
츠츠이 키요타다 편, 2021년 8월 5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590

8 쇼와사 강의

8.1 1권

쇼와사 강의:최신 연구로 보는 전쟁에의 길
昭和史講義ー最新研究で見る戦争への道
츠츠이 키요타다 편, 2015년 7월 6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136

8.2 2권

쇼와사 강의 2:전문 연구자가 보는 전쟁에의 길
昭和史講義2ー専門研究者が見る戦争への道
츠츠이 키요타다 편, 2016년 7월 5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194

8.3 3권

쇼와사 강의 3:리더를 통해 보는 전쟁에의 길
昭和史講義3ーリーダーを通して見る戦争への道
츠츠이 키요타다 편, 2017년 7월 5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266

8.4 군인편

쇼와사 강의:군인편
昭和史講義【軍人篇】
츠츠이 키요타다 편, 2018년 7월 5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341

8.5 전전문화인편

쇼와사 강의:전전문화인편
昭和史講義【戦前文化人篇】
츠츠이 키요타다 편, 2019년 7월 4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421

8.6 전후편

8.6.1 상권

쇼와사 강의:전후편 상권
昭和史講義【戦後篇】上
츠츠이 키요타다 편, 2020년 8월 5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508

8.6.2 하권

쇼와사 강의:전후편 하권
昭和史講義【戦後篇】下
츠츠이 키요타다 편, 2020년 8월 5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509

8.7 전후문화편

8.7.1 상권

쇼와사 강의:전후문화편 상권
昭和史講義【戦後文化篇】上
츠츠이 키요타다 편, 2022년 7월 5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665

8.7.2 하권

쇼와사 강의:전후문하편 하권
昭和史講義【戦後文化篇】下
츠츠이 키요타다 편, 2022년 7월 5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666

9 헤이세이사 강의

헤이세이사 강의
平成史講義
요시미 슌야吉見俊哉 편, 2019년 2월 5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385

10 사상사 강의

10.1 메이지편 1

사상사 강의:메이지편 1
思想史講義【明治篇Ⅰ】
야마구치 테루오미山口輝臣, 후케 타카히로福家崇洋 편, 2022년 10월 6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671

10.2 다이쇼편

사상사 강의:다이쇼편
思想史講義【大正篇】
야마구치 테루오미山口輝臣, 후케 타카히로福家崇洋 편, 2022년 8월 4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673

10.3 전전 쇼와편

사상사 강의:전전 쇼와편
思想史講義【戦前昭和篇】
야마구치 테루오미山口輝臣, 후케 타카히로福家崇洋 편, 2022년 12월 6일 간행, 치쿠마 신서 넘버 1674

11 같이 보기

12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