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미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fermion ;페르미온, 퍼미온, 페르미 입자 * 페르미 통계를 따르는 입자 * 반정수의 스핀을 가짐 * 이탈리아의 물리학자인 엔리코 페...)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참고 자료== +==참고==))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fermion
;fermion
;페르미온, 퍼미온, 페르미 입자
;페르미온, 퍼미온, 페르미 입자
* 페르미 통계를 따르는 입자
* [[페르미 통계]]를 따르는 입자
* 반정수의 스핀을 가짐
* 반정수의 스핀을 가짐
* 이탈리아의 물리학자인 엔리코 페르미의 이름을 땀
* 구별 불가능한 입자이며 파울리 배타 원리를 따름
:즉, 하나 이상의 입자가 같은 양자 상태에 동시에 존재하지 않음
:이러한 배타원리는 입자의 교환연산자 아래 계의 파동함수가 −1의 고유값을 갖는 것을 의미함
*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의 이름을 땀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13번째 줄: 16번째 줄:
* [[페르미-디랙 통계]]
* [[페르미-디랙 통계]]


==참고 자료==
==참고==
* https://ko.wikipedia.org/wiki/페르미_입자
* https://ko.wikipedia.org/wiki/페르미_입자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0&contents_id=113883


[[분류: 입자물리학]]
[[분류: 입자물리학]]

2017년 7월 23일 (일) 04:06 기준 최신판

1 개요[ | ]

fermion
페르미온, 퍼미온, 페르미 입자
  • 페르미 통계를 따르는 입자
  • 반정수의 스핀을 가짐
  • 구별 불가능한 입자이며 파울리 배타 원리를 따름
즉, 하나 이상의 입자가 같은 양자 상태에 동시에 존재하지 않음
이러한 배타원리는 입자의 교환연산자 아래 계의 파동함수가 −1의 고유값을 갖는 것을 의미함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