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서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 * ==같이 보기== * [[]] ==참고 자료== * {{위키백과}} * {{다음사전}} * {{다음백과}} * {{네이버사전}} * {{네이버백과}} 분류: 명사 [...)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
*


==같이 보기==
;兩棲類
* [[]]
;양서류
* 척삭동물의 한 강으로  어류와 파충류의 중간적 위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음(어류에 더 가까움)
* 육상 진출은 척추동물의 진화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기가 되었음
* 허파 호흡과 거의 같은 양의 산소를 피부 호흡에 의존하기 때문에 언제나 물 가까이에서 생활해야만 함
*현재에도 대부분의 번식이 물 속에서 이루어짐
*대부분 매우 온순하지만, 두꺼비·독화살개구리류 등에서는 독샘(귀샘)이 발달되어 있음
* 보통 난생을 하며 번식 습성이 변화된 것도 있음
*사지동물 중에서 가장 원시적인 것은 양서류임
 
== 하위 분류 ==
현생 양서류는 세 목으로 나눈다.
* [[개구리목]] (Anura) 또는 [[무미목]] - [[개구리]], [[두꺼비]] 등. 5,228 종
* [[도롱뇽목]] (Caudata) 또는 [[유미목]] (Urodela) - [[도롱뇽]], [[영원 (동물)|영원]] 등. 552 종
* [[무족영원목]] (Gymnophiona) 또는 [[무족영원목]] (Apoda) - 171 종
 
== 계통 분류 ==
2012년 현재,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ref name="AmphibiaWeb">{{저널 인용|저자=2012. UC Regents, Berkeley, CA. |제목=Phylogenetic view of Amphibia |url=http://www.amphibiaweb.org/taxonomy/treeview.html |저널=AmphibiaWeb}}</ref>
 
{{분지군| style=font-size:85%;line-height:80%
|분류1=양서류
|1={{분지군
  |1=[[무족영원목]] (Gymnophiona)
  |2={{분지군
      |1=[[도롱뇽목]] (Caudata)
      |2=[[개구리목]] (Anura)
      }}
  }}
}}
 
 
 
 
 
 
== 같이 보기 ==
* [[양서류의 과 목록]]
* [[척삭동물]]
* [[파충류]]
* [[어류]]
* [[척추동물]]
* [[사지삭동물]]
* [[난생]]
* [[독샘]]
* [[개구리 목]]
* [[도룡용 목]]
* [[무족영원목]]
 


==참고 자료==
==참고 자료==
14번째 줄: 58번째 줄:


[[분류: 명사]]
[[분류: 명사]]
[[분류: 새문서]]
[[분류: 양서류]]

2017년 6월 9일 (금) 22:14 판

1 개요

兩棲類
양서류
  • 척삭동물의 한 강으로 어류와 파충류의 중간적 위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음(어류에 더 가까움)
  • 육상 진출은 척추동물의 진화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기가 되었음
  • 허파 호흡과 거의 같은 양의 산소를 피부 호흡에 의존하기 때문에 언제나 물 가까이에서 생활해야만 함
  • 현재에도 대부분의 번식이 물 속에서 이루어짐
  • 대부분 매우 온순하지만, 두꺼비·독화살개구리류 등에서는 독샘(귀샘)이 발달되어 있음
  • 보통 난생을 하며 번식 습성이 변화된 것도 있음
  • 사지동물 중에서 가장 원시적인 것은 양서류임

2 하위 분류

현생 양서류는 세 목으로 나눈다.

3 계통 분류

2012년 현재,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

틀:분지군




4 같이 보기


5 참고 자료

  1. 2012. UC Regents, Berkeley, CA. “Phylogenetic view of Amphibia”. 《AmphibiaWeb》.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