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 사교육"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4번째 줄: 14번째 줄:
*개인이 의사결정의 주체가 되어 이루어지는 교육
*개인이 의사결정의 주체가 되어 이루어지는 교육
*입시경쟁에서 보충교육인 경우가 많음
*입시경쟁에서 보충교육인 경우가 많음
*한국에서는 과다한 사교육비가 사회문제로 인식됨<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8/27/2012082700084.html</ref>
*한국에서는 과다한 사교육비가 사회문제로 인식됨<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8/27/2012082700084.html</ref><ref>http://www.ytn.co.kr/_ln/0101_201212030756109029</ref>


==같이 보기==
==같이 보기==

2012년 12월 5일 (수) 23:16 판

public education
공교육
private education
사교육

1 공교육

  • 공적인 목적으로 운영되는 학교 교육
  • 공립학교, 사립학교 모두 포함[1]
  • 공적 준거와 절차에 따라 공적주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의 내용, 영역, 형식 그리고 체제

2 사교육

  • 학원 교육
  • 개인이 의사결정의 주체가 되어 이루어지는 교육
  • 입시경쟁에서 보충교육인 경우가 많음
  • 한국에서는 과다한 사교육비가 사회문제로 인식됨[2][3]

3 같이 보기

4 주석

  1. 다만, 공립학교의 교육만을 공교육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으나, 주로 사교육의 반대말로 쓰이는 경우가 많음
  2.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8/27/2012082700084.html
  3. http://www.ytn.co.kr/_ln/0101_201212030756109029

5 참고 자료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